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본 문서 : 특수:모바일차이/59913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두 판 사이의 차이

1,109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1월 29일 (수)
편집 요약 없음
32번째 줄: 32번째 줄:
== 조사 ==
== 조사 ==
사고 직후, [[국토교통부]]는 에어부산 391편 항공기가 [[계류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중 기내 뒤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관 등 7명을 현장에 보내 사고 원인 조사에 들어갔다.
사고 직후, [[국토교통부]]는 에어부산 391편 항공기가 [[계류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중 기내 뒤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관 등 7명을 현장에 보내 사고 원인 조사에 들어갔다.
에어부산은 29일 발표를 통해 최초 발화가 발생한 위치는 28열 [[선반]]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선반에서 발화한 것이라면 추정할 수 있는 원인으로 배터리 압착이 지목되었다.


== 사고 원인 ==
== 사고 원인 ==
{{빈 문단}}
{{빈 문단}}
== 논란 ==
=== 비상탈출 ===
[[에어부산]]은 "화재 확인 증시 [[승무원]]이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 계통을 차단한 후 [[Evacuation|비상탈출]]을 선포해 신속하게 전원 대피했다"고 설명하면서 비상탈출 시 별도 화재 안내방송이 없어 기내가 혼란스러웠다는 탑승자 주장에 대해 "안내 방송을 시행할 시간적 여력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루어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부 승객이 직접 [[비상구]] 문을 열었다는 주장에도 "비상구열 착석 손님은 탑승 직후 승무원에게 비상탈출 시 비상구 개폐 방법에 대해 안내 받았으며 승무원이 비상구 좌석 승객에게 협조를 요청해 승객이 문을 연 것"이라고 말했다.


== 항공기 ==
== 항공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