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흑산공항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
{{공항
| img = 파일:Heuksan-apo.jpg
| img = [[파일:Heuksan-apo.jpg|280px]]
| iata = -
| iata = -
| icao = -
| icao = -
7번째 줄: 7번째 줄:
| asl = -
| asl = -
| rwy1 = -
| rwy1 = -
| rwy_len1 = 1200
| rwy_len1 = 1200m
| rwy_remarks1 =  
| rwy_remarks1 =  
| pax =  
| pax =  
13번째 줄: 13번째 줄:
| flight =  
| flight =  
}}
}}
[[흑산공항]] : 2025년 완공 목표로 건설 추진 중인 공항이다.
==흑산공항==


==개요==
전남 신안군 흑산도에 건설이 검토되고 있는 [[공항]]으로 50인승 항공기 이착륙 가능한 [[활주로]](1200미터) 1본을 갖출 예정이다.


전남 신안군 흑산도에 건설이 검토되고 있는 [[공항]]으로 50인승 항공기 이착륙 가능한 [[활주로]](1200미터) 1본을 갖출 예정이다. '2C' 등급 공항(ICAO 기준)에 해당한다.
==건설==
 
국토교통부가 2008년 [[울릉공항]]과 함께 건설 확정했으며 2015년 신규 공항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7282 울릉도/흑산도 공항 건설 - 유스카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호재]</ref> 2025년 완공되면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항공교통망으로서 큰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2021년 현재 국립공원 가치 훼손, 자연 문제 등을 이유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논란==


==건설==
흑산도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라는 이유로 국립공원위원회의 공원 계획 변경 승인이 필요하다. 2016년부터 세 차례나 환경부 국립공권위원회 회의가 열렸지만 철새 보호 대책과 국립공원 가치 훼손, 안전성 등에서 찬반 의견이 맞서며 계속 보류되고 있다.
{{온글
 
| 온글 = 흑산공항 건설
하지만 일본, 필리핀 등에는 국립공원 안에 소형공항이 여러고 있고 인도네시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코모도제도 국립공원에 [[공항]]이 2개나 있다는 점을 들어 전향적인 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
 
{{:흑산공항 건설}}
신안군은 현실적 대안으로 2020년 8월 [[흑산공항]] 예정 부지를 국립공원에서 제외하는 대신 4.3배에 달하는 신안지역 갯벌을 대체 부지로 제공하는 국립공원 대체 편입지역 변경안을 제출한 상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국립공원위원회 심의가 열리지 않았다.


==참고==
==참고==


*[[소형항공사]]
* [[소형항공사]]
*[[울릉공항]]
* [[울릉공항]]
*[[백령공항]]  
* [[백령공항]]
*[[대한민국 공항 현황]]
* [[대한민국 공항 현황]]
* [[PSO]] (공익서비스 비용보상제도)


{{각주}}
{{각주}}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