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ATM: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 (added Category:항공정책 using HotCat)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UATM (UAM Air Traffic Management) ==
UATM (UAM Air Traffic Management) : [[UAM 회랑|UAM]] 용 항공교통관리([[ATM]])
도심항공교통([[UAM]]) 용 항공교통관리([[ATM]])을 말한다. * Urban Air Traffic Management


== 설명 ==
기존 ATM과는 달리 도심 환경에 부합하는 통신, 항법, 보안 시스템을 적용해야하며 ATM과의 연계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ATM과는 달리 도심 환경에 부합하는 통신, 항법, 보안 시스템을 적용해야하며 ATM과의 연계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도심항공교통 개념이 구체화되면서 효율적으로 [[공역]]을 관리하고 비행체들이 운항할 수 있도록 고도를 세 구역으로 분할하여 가장 낮은 고도에서는 드론 등 소형 무인비행체가 운용되고 중간 고도에서는 [[UAM]]이 운항되며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기존 항공기가 운용되도록 하는 도심항공교통관리 체계인 UATM(Urban Air Traffic Management) 체계가 나타나게 됐다.
도심항공교통 개념이 구체화되면서 효율적으로 [[공역]]을 관리하고 비행체들이 운항할 수 있도록 고도를 세 구역으로 분할하여 가장 낮은 고도에서는 드론 등 소형 무인비행체가 운용되고 중간 고도(2021년 도심항공교통 운용개념서에서는 300-600미터 고도)에서는 [[UAM]]이 운항되며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기존 [[항공기]]가 운용되도록 하는 도심항공교통관리 체계인 UATM(Urban Air Traffic Management) 체계가 나타나게 됐다.


UATM은 기존 항공기들과 저고도 무인 항공기들의 운항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ATM(Air Traffic Management) 체계와 UTM(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체계 사이에서 항공 교통편을 관리하고 공역 상황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UATM은 기존 항공기들과 저고도 무인 항공기들의 운항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ATM(Air Traffic Management) 체계와 [[UTM]](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체계 사이에서 항공 교통편을 관리하고 공역 상황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관제 서비스 구분 ==
{| class="wikitable"
!구분
!내용
!비행체
|-
|[[ATM]]
|전 공역에 해당하는 항공 관리 체계
|고정익 항공기
|-
|[[UATM]]
|300-600미터 공역
|[[UAM]], [[헬리콥터]]
|-
|[[UTM]]
|400피트 이하
|무인항공기([[UAS]])
|}
 
== 참고 ==
 
* [[UAM 회랑]]
* [[UTM]]
{{각주}}
{{각주}}


[[분류:항공정책]]
[[분류:항공정책]]
[[분류:운항]]

2023년 1월 25일 (수) 14:40 기준 최신판

UATM (UAM Air Traffic Management) : UAM 용 항공교통관리(ATM)

설명[편집 | 원본 편집]

기존 ATM과는 달리 도심 환경에 부합하는 통신, 항법, 보안 시스템을 적용해야하며 ATM과의 연계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도심항공교통 개념이 구체화되면서 효율적으로 공역을 관리하고 비행체들이 운항할 수 있도록 고도를 세 구역으로 분할하여 가장 낮은 고도에서는 드론 등 소형 무인비행체가 운용되고 중간 고도(2021년 도심항공교통 운용개념서에서는 300-600미터 고도)에서는 UAM이 운항되며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기존 항공기가 운용되도록 하는 도심항공교통관리 체계인 UATM(Urban Air Traffic Management) 체계가 나타나게 됐다.

UATM은 기존 항공기들과 저고도 무인 항공기들의 운항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ATM(Air Traffic Management) 체계와 UTM(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체계 사이에서 항공 교통편을 관리하고 공역 상황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관제 서비스 구분[편집 | 원본 편집]

구분 내용 비행체
ATM 전 공역에 해당하는 항공 관리 체계 고정익 항공기
UATM 300-600미터 공역 UAM, 헬리콥터
UTM 400피트 이하 무인항공기(UAS)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