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4.2천
720
370
5.4만
항공위키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자동수하물위탁: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자동수하물위탁(Self Bag Drop)==
자동 수하물 위탁(Self Bag Drop)


== 설명 ==
[[공항]]에서 [[수하물]]을 일반적으로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위탁하지만 최근 이용객이 스스로 자신의 수하물을 위탁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공항이 늘기 시작했다. 셀프백드랍은 [[셀프체크인]]이 증가하면서 수하물만 따로 부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늘고 있다.
[[공항]]에서 [[수하물]]을 일반적으로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위탁하지만 최근 이용객이 스스로 자신의 수하물을 위탁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공항이 늘기 시작했다. 셀프백드랍은 [[셀프체크인]]이 증가하면서 수하물만 따로 부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늘고 있다.


== 국내 현황 ==
국내는 2019년 [[인천공항]]에서 첫 도입됐다. 2019년 8월 20일, [[셀프 백드롭]](자동수하물위탁) [[키오스크]] 28대를 신규 배치해 스마트서비스를 확대했다. 2023년 2월, [[대한항공 480편 기내 난동 사건|대한항공]]이 [[김해공항]]에서 셀프 백드롭 서비스를 도입하며 국내선으로 확대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5080 대한항공, 국내선 셀프 수하물 체크인 개시(2023.2.2)]</ref>


==장점==
==장점==
8번째 줄: 11번째 줄:
[[셀프체크인]] 후 수하물만 간단하고 빠르게 부칠 수 있어 공항 혼잡도 완화에 도움이 된다.
[[셀프체크인]] 후 수하물만 간단하고 빠르게 부칠 수 있어 공항 혼잡도 완화에 도움이 된다.


==참고==
* [[CUBD]]
* [[셀프체크인]]


{{각주}}
{{각주}}


[[분류:공항]]
[[분류:공항]]
[[분류:수하물]]
[[분류:수하물]]

2023년 2월 2일 (목) 17:12 판

자동 수하물 위탁(Self Bag Drop)

설명

공항에서 수하물을 일반적으로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위탁하지만 최근 이용객이 스스로 자신의 수하물을 위탁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공항이 늘기 시작했다. 셀프백드랍은 셀프체크인이 증가하면서 수하물만 따로 부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늘고 있다.

국내 현황

국내는 2019년 인천공항에서 첫 도입됐다. 2019년 8월 20일, 셀프 백드롭(자동수하물위탁) 키오스크 28대를 신규 배치해 스마트서비스를 확대했다. 2023년 2월, 대한항공김해공항에서 셀프 백드롭 서비스를 도입하며 국내선으로 확대됐다.[1]

장점

셀프체크인 후 수하물만 간단하고 빠르게 부칠 수 있어 공항 혼잡도 완화에 도움이 된다.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