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탑재량: 두 판 사이의 차이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Fuel | Fuel | ||
| colspan="3" |Taxi Fuel | | colspan="3" |Taxi Fuel | ||
| 공항사정 | |||
|- | |- | ||
| rowspan="7" |Planned | | rowspan="7" |Planned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rowspan="4" |법정연료 | | rowspan="4" |법정연료 | ||
|- | |- | ||
|Destination Altenate Fuel | | Destination Altenate Fuel | ||
|- | |- | ||
|Final Reserve Fuel | | Final Reserve Fuel | ||
|- | |- | ||
|Contingency Fuel | |Contingency Fuel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colspan="2" |Company Compensation Fuel | | colspan="2" |Company Compensation Fuel | ||
|} | |} | ||
2022년 6월 8일 (수) 15:06 판
연료 탑재량
항공기가 출발하여 도착지에 안전하게 도착하기까지 필요한 연료량을 산정하여 탑재하는데, 그 과정에서 각종 개념의 항공기 중량이 제한된 상황에서 승객과 화물을 고려하여 연료 탑재량을 결정해야 한다.
연료 탑재량 산정 시 고려사항
연료 탑재량 산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거리, 목적지와 교체공항의 거리, 이들 예상 운항 구간의 상층의 기온, 제트기류(Jet-Stream)의 풍향·풍속, 그리고 해당 노선의 항공 교통량, 이에 따른 각 공역의 국지적인 관제절차, 운항 중 비상상황의 발생에 대비한 교체공항, 항공기의 노후화에 따른 엔진 연료소모량의 차이, 목적지 공항에서의 급유 가능여부, 관제상의 고도제한, 목적지 공항의 국지적인 특수성, Curfew, 특이한 기상현상, 항공기의 제한사항 MEL/CDL 및 항공기 상태,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노선경험, 해당 노선의 숙련도 등 이 모든 제반 환경이 해당된다.
연료 탑재량 구성
- 연료 탑재량 = Taxi Fuel + Trip Fuel + Contingency Fuel + Alternate Fuel + Holding Fuel + Additional Fuel(Tankering Fuel, Extra Fuel, Pad Fuel 등)
항공기 출발 준비를 마치고 최종 푸시백 하기 전 연료량이 가장 많으며 이를 Ramp Fuel 이라고 부른다.
Ramp-out
Fuel |
Taxi Fuel | 공항사정 | ||
Planned
Takeoff Fuel |
Minimum
Takeoff Fuel |
Trip Fuel | 법정연료 | |
Destination Altenate Fuel | ||||
Final Reserve Fuel | ||||
Contingency Fuel | ||||
Additional Fuel | 항공사 판단 추가 | |||
Discretionary Fuel | ||||
Company Compensation Fuel |
관련 용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