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본 문서 : 특수:모바일차이/21305 » 특수:모바일차이/25293

B737 MAX 비행 중지 사태: 두 판 사이의 차이

27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3일 (일)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31번째 줄:
20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면서 B737 MAX 기종의 안정성 확인 업무가 지연되었다. 보잉은 자체 테스트 비행을 2천 시간 이상 실시했으며, 미 연방항공청(FAA)는 6월 29일부터 3일에 걸쳐 FAA 소속 조종사들이 탑승한 가운데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연방항공청 관계자는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지만 비행 중 수집된 데이터 등을 통한 많은 검증 작업들이 남았다'며 비행 재개까지 시간이 더 필요함을 밝혔다.
20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면서 B737 MAX 기종의 안정성 확인 업무가 지연되었다. 보잉은 자체 테스트 비행을 2천 시간 이상 실시했으며, 미 연방항공청(FAA)는 6월 29일부터 3일에 걸쳐 FAA 소속 조종사들이 탑승한 가운데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연방항공청 관계자는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지만 비행 중 수집된 데이터 등을 통한 많은 검증 작업들이 남았다'며 비행 재개까지 시간이 더 필요함을 밝혔다.


2020년 9월 30일, 미국 [[FAA]]청장이 직접 조종하는 시험비행이 이뤄졌으며 이때 청장은 만족감을 표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11월 경에는 미국 FAA와 유럽 [[EASA]] 등의 비행재개 허가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20년 [[9월 30일]], 미국 [[FAA]]청장이 직접 조종하는 시험비행이 이뤄졌으며 이때 청장은 만족감을 표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11월 경에는 미국 FAA와 유럽 [[EASA]] 등의 비행재개 허가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운항 재개===
===운항 재개===


2020년 11월 18일, FAA, B737 MAX 기종 운항 재개 승인<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0061 FAA, B737 MAX 항공기 비행 재개 승인 ·· 운항 중지 1년 8개월 만]</ref>
2020년 [[11월 18일]], FAA, B737 MAX 기종 운항 재개 승인<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0061 FAA, B737 MAX 항공기 비행 재개 승인 ·· 운항 중지 1년 8개월 만]</ref>


[[아메리칸항공]]이 12월 29일부터 마이애미-뉴욕 구간에 B737 MAX 기종 투입 예정으로 비행 중단 이후 첫 상업 비행을 계획했지만 실제 첫 상업 비행 재개는 브라질 항공사 [[Gol]]이 12월 9일 상파울로-포르투알레그리 노선에 B737 MAX를 투입하면서 먼저 운항 재개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2082 브라질 골(Gol), B737 MAX 첫 운항 재개]</ref> 아메리칸항공도 계획대로 12월 29일 B737 MAX 기종 운항 재개에 들어갔다. [[유나이티드항공]]은 2020년 2월, [[사우스웨스트항공]]은 3월 B737 MAX 기종 운항을 재개한다.
[[아메리칸항공]]이 [[12월 29일]]부터 마이애미-뉴욕 구간에 B737 MAX 기종 투입 예정으로 비행 중단 이후 첫 상업 비행을 계획했지만 실제 첫 상업 비행 재개는 브라질 항공사 [[Gol]]이 12월 9일 상파울로-포르투알레그리 노선에 B737 MAX를 투입하면서 먼저 운항 재개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2082 브라질 골(Gol), B737 MAX 첫 운항 재개]</ref> 아메리칸항공도 계획대로 12월 29일 B737 MAX 기종 운항 재개에 들어갔다. [[유나이티드항공]]은 2020년 2월, [[사우스웨스트항공]]은 3월 B737 MAX 기종 운항을 재개한다.


2021년 1월 27일, 유럽 항공안전청([[EASA]])가 B737 MAX 기종에 대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비행 재개를 허가했다.<ref>[https://www.easa.europa.eu/newsroom-and-events/press-releases/easa-declares-boeing-737-max-safe-return-service-europe EASA declares Boeing 737 MAX safe to return to service in Europe]</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7264 유럽, B737 MAX 안전성 확인 ·· 비행 재개 허가]</ref> 이후 영국, 캐나다, 브라질, 아랍 에미레이트연합(UAE)이 운항 재개를 허가했으며 2021년 2월 26일, 호주도 B737 MAX 운항 정지 해제했다.
2021년 [[1월 27일]], 유럽 항공안전청([[EASA]])가 B737 MAX 기종에 대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비행 재개를 허가했다.<ref>[https://www.easa.europa.eu/newsroom-and-events/press-releases/easa-declares-boeing-737-max-safe-return-service-europe EASA declares Boeing 737 MAX safe to return to service in Europe]</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7264 유럽, B737 MAX 안전성 확인 ·· 비행 재개 허가]</ref> 이후 영국, 캐나다, 브라질, 아랍 에미레이트연합(UAE)이 운항 재개를 허가했으며 2021년 [[2월 26일]], 호주도 B737 MAX 운항 정지 해제했다.


==항공기 결함==
==항공기 결함==
57번째 줄: 57번째 줄:
2019년 6월 아제르바이잔항공 10대 주문 취소에 이어 7월 사우디의 플라야딜도 B737 MAX 기종 30대 주문을 취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31151 사우디 플라야딜, B737 MAX 계약 파기 A320neo 50대 선택]</ref>
2019년 6월 아제르바이잔항공 10대 주문 취소에 이어 7월 사우디의 플라야딜도 B737 MAX 기종 30대 주문을 취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31151 사우디 플라야딜, B737 MAX 계약 파기 A320neo 50대 선택]</ref>


비행 중지에 따라 생산되었지만 항공사에 인도하지 못한 B737 MAX 항공기가 2020년 10월 기준 400대를 넘었다.
비행 중지에 따라 생산되었지만 항공사에 인도하지 못한 B737 MAX 항공기가 2020년 10월 기준 400대를 넘었다. 2020년 말 B737 MAX 기종이 감항증명을 다시 확인함에 따라 항공사로 인도되면서 2021년 6월 기준 재고로 [[그라운드]] 상태였던 B737 MAX 기체는 대부분 항공사 또는 임대업체로 인도되었다.


==우리나라 영향==
==우리나라 영향==


2019년 3월 현재 B737 MAX 기종을 운영하는 항공사는 [[이스타항공]] 뿐으로 2대가 운항 중이었으나 3월 13일부로 일단 운항을 중지했다. 국토교통부는 [[국적 항공사]] 여부를 가리지 않고 영공 내 B737 MAX 항공기 운항을 3개월 금지시켰다. 5월, 6월부터 해당 기종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던 대한항공, [[티웨이항공]]은 항공기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비행에 투입하지 않겠다는 공지를 게시했다. [[제주항공]]도 해당 기종을 50대 주문한 상태로 2022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다.
2019년 3월 현재 B737 MAX 기종을 운영하는 항공사는 [[이스타항공]] 뿐으로 2대가 운항 중이었으나 [[3월 13일]]부로 일단 운항을 중지했다. 국토교통부는 [[국적 항공사]] 여부를 가리지 않고 영공 내 B737 MAX 항공기 운항을 3개월 금지시켰다. 5월, 6월부터 해당 기종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던 [[대한항공]], [[티웨이항공]]은 항공기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비행에 투입하지 않겠다는 공지를 게시했다. [[제주항공]]도 해당 기종을 50대 주문한 상태로 2022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다.


==비행 중지에 따른 손해배상==
==비행 중지에 따른 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