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본 문서 : 특수:모바일차이/30833 » 특수:모바일차이/31750 » 특수:모바일차이/12746 » 특수:모바일차이/54027 » 특수:모바일차이/39632

정석비행장: 두 판 사이의 차이

30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2월 18일 (일)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rwy_remarks2 =  
| rwy_remarks2 =  
}}
}}
==정석비행장==
'''정석비행장'''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운영 중인 비행장으로 비행훈련원을 확장했다.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제동목장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대한항공]]이 소유하고 운영 중인 비행장으로 비행훈련원으로 확장했다.  


== 개요 ==
1989년 1월, 제주도에 비행훈련원을 세운 대한항공은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3월 활주로와 관제탑을 포함한 건물을 짓기 시작해 1998년 8월 정식 비행장으로 개항했다. 2002년에는 정식으로 관제권을 부여받았다.
1989년 1월, 제주도에 비행훈련원을 세운 대한항공은 [[조종사]] 양성 및 훈련을 위해 1995년 3월 활주로와 관제탑을 포함한 건물을 짓기 시작해 1998년 8월 정식 비행장으로 개항했다. 2002년에는 정식으로 관제권을 부여받았다.


28번째 줄: 29번째 줄:
과거 대한항공이 사용했던 록히드마틴 L-749A 콘스텔레이션, A300, B747-200<ref>B747-200 HL7463 기체는 대한항공이 최초로 도입한 B747 기종이었다.</ref> 항공기가 야외에 전시되어 있고 8대의 항공기와 헬리콥터는 격납고에 전시하고 있다.   
과거 대한항공이 사용했던 록히드마틴 L-749A 콘스텔레이션, A300, B747-200<ref>B747-200 HL7463 기체는 대한항공이 최초로 도입한 B747 기종이었다.</ref> 항공기가 야외에 전시되어 있고 8대의 항공기와 헬리콥터는 격납고에 전시하고 있다.   


현재는 이곳에서는 자체 조종사 훈련 및 [[한국항공대학교]] 비행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다. 2021년까지 총 3,258명의 조종사 수료생을 배출했다. 특히 입사한 예비 운항 승무원들이 4달간 이곳에서 교육을 받는다.  
현재는 이곳에서는 자체 조종사 훈련 및 [[한국항공대학교]] 비행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다. 2021년까지 총 3,258명의 조종사 수료생을 배출했다. 특히 입사한 예비 운항 승무원들이 4개월 간 이곳에서 교육을 받는다.  


== 제주 제2공항 대안 ==
== 제주 제2공항 대안 ==
34번째 줄: 35번째 줄:


정석비행장은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임시 국제공항으로 운영된 바 있다.   
정석비행장은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임시 국제공항으로 운영된 바 있다.   
제주공항 혼잡 등으로 공항 추가 소요 논란이 제기될 때마다 대안으로 거론된다.<ref>[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9034 "제주 마이스산업 최대 난제 항공좌석난...정석비행장 활용해야"(2022.12.18)]</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