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Preighter: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 (added Category:대한항공 using HotCat)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객실에서 단순히 좌석만 탈거했기 때문에 객실([[메인데크]])에 [[ULD]] 등을 탑재할 수 없어 화물 수송량 및 탑재 효율은 [[화물기|화물 전용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객실에서 단순히 좌석만 탈거했기 때문에 객실([[메인데크]])에 [[ULD]] 등을 탑재할 수 없어 화물 수송량 및 탑재 효율은 [[화물기|화물 전용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가 중대형 [[광동체]] 여객기를 세미 화물기로 개조한 바 있으며, [[제주항공]]은 B737 기종의 좌석을 탈거해 화물 수송에 나섰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가 중대형 [[광동체]] 여객기를 세미 화물기로 개조한 바 있으며, [[제주항공]]은 B737 기종의 좌석을 탈거해 화물 수송에 나섰다. 다른 나라에서도 화물수송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여객기를 개조하는 방법을 잇달아 선택했다. 중국에서도 관련 개조를 통해 화물을 수송했지만 중국 정부는 2022년부터 안전을 이유로 객실에 화물 탑재를 불허하면서 Preighter는 사라졌다.


==참고==
==참고==

2021년 12월 21일 (화) 15:48 판

Preighter(세미 화물기)

Passenger(여객) + Freighter(화물기)의 합성어다.

2020년 코로나19 발발 이후 여객 수요가 급감하면서 유휴 여객기를 활용할 목적으로 객실에 화물 탑재를 위해 좌석을 탈거하는 형태로 세미 화물기로 개조한 것을 말한다.

객실에서 단순히 좌석만 탈거했기 때문에 객실(메인데크)에 ULD 등을 탑재할 수 없어 화물 수송량 및 탑재 효율은 화물 전용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가 중대형 광동체 여객기를 세미 화물기로 개조한 바 있으며, 제주항공은 B737 기종의 좌석을 탈거해 화물 수송에 나섰다. 다른 나라에서도 화물수송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여객기를 개조하는 방법을 잇달아 선택했다. 중국에서도 관련 개조를 통해 화물을 수송했지만 중국 정부는 2022년부터 안전을 이유로 객실에 화물 탑재를 불허하면서 Preighter는 사라졌다.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