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80 항공기 운항 공항 조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Singapore Airlines Airbus A380 woah!.jpg|섬네일]]A380 항공기 운항 공항 조건 | |||
[[공항]] 시설의 한계로 인해 [[항공기 등급]]에 따라 이착륙은 물론 운용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A380 기종은 F급 항공기로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다. 운항 및 기동 가능한 공항은 전 세계 대형 공항 일부로 제한된다. | == 설명 == | ||
[[공항]] 시설의 한계로 인해 [[항공기 등급]]에 따라 이착륙은 물론 운용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A380]] 기종은 F급 항공기로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다. 운항 및 기동 가능한 공항은 전 세계 대형 공항 일부로 제한된다. 에어버스에 따르면 전 세계 약 140개 공항에서 정기 운행을 할 수 있다. | |||
정기 운행이 아닌 기체 문제로 비상 [[회항]] 등 불가피한 상황 발생 시 긴급 착륙할 수 있는 공항은 기술적으로 최대 400개가량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F급 항공기 공항 시설 조건== | ==F급 항공기 공항 시설 조건== | ||
B747-8 기종은 [[윙스팬]]은 F급에 해당하지만 주륜외곽폭은 E급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경우 B747-400 기종 운용 조건과 거의 유사하다. | |||
===기동 지역=== | ===기동 지역=== | ||
9번째 줄: | 14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 | ||
!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br>(A380) !! 인천공항 !! 비고 | !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br>(A380) !! [[인천공항]] !! 비고 | ||
|- | |- | ||
| 활주로 길이 || || 3,350m || 3,750m || | | [[활주로]] 길이 || || 3,350m || 3,750m || | ||
|- | |- | ||
| 활주로 폭(갓길 포함) || 45m(60m) || 60m(75m) || 60m(84m) || | | 활주로 폭(갓길 포함) || 45m(60m) || 60m<ref>ACI는 숄더 등 안전 확보가 된 경우 폭 45m도 가능하다는 입장</ref>(75m) || 60m(84m) || | ||
|- | |- | ||
| 활주로 강도 || 70/F/B<br>75/R/B || 69/F/B<br>67/R/B || 75~88/F/B<br>85~86/R/B || | | 활주로 강도 || 70/F/B<br>75/R/B || 69/F/B<br>67/R/B || 75~88/F/B<br>85~86/R/B || | ||
|- | |- | ||
| 유도로(갓길 포함) || 23m(44m) || 25m(60m) || 30m(60m) || | | [[유도로]](갓길 포함) || 23m(44m) || 25m(60m) || 30m(60m) || | ||
|- | |- | ||
| 활주로-유도로 간격 || 190m || 190m || 192m || | | 활주로-유도로 간격 || 190m || 190m || 192m || | ||
30번째 줄: | 35번째 줄: | ||
!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br>(A380) !! 인천공항 !! 비고 | !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br>(A380) !! 인천공항 !! 비고 | ||
|- | |- | ||
| 계류장 강도 || 75/F/B || 67/F/B || 87/F/B || | | [[계류장]] 강도 || 75/F/B || 67/F/B || 87/F/B || | ||
|- | |- | ||
| 유도로-유도로 간격 || 79.4m || 91m || 97.5~99m || | | 유도로-유도로 간격 || 79.4m || 91m || 97.5~99m || | ||
36번째 줄: | 41번째 줄: | ||
| 유도로-장애물 간격 || 45.2m || 51m || 57.5~60m || | | 유도로-장애물 간격 || 45.2m || 51m || 57.5~60m || | ||
|- | |- | ||
| 유도선-유도선 간격 || 75.9m || 87.5m || 97.5m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80m, 97.5m | | 유도선-유도선 간격 || 75.9m || 87.5m || 97.5m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80m, 97.5m | ||
|- | |- | ||
| 유도선-장애물 간격 || 41.7m || 47.5m || 42.5m 이상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45m, 50.5m | | 유도선-장애물 간격 || 41.7m || 47.5m || 42.5m 이상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45m, 50.5m | ||
|} | |} | ||
2023년 1월 26일 (목) 21:31 기준 최신판
A380 항공기 운항 공항 조건
설명[편집 | 원본 편집]
공항 시설의 한계로 인해 항공기 등급에 따라 이착륙은 물론 운용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A380 기종은 F급 항공기로 현존하는 가장 큰 여객기다. 운항 및 기동 가능한 공항은 전 세계 대형 공항 일부로 제한된다. 에어버스에 따르면 전 세계 약 140개 공항에서 정기 운행을 할 수 있다.
정기 운행이 아닌 기체 문제로 비상 회항 등 불가피한 상황 발생 시 긴급 착륙할 수 있는 공항은 기술적으로 최대 400개가량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F급 항공기 공항 시설 조건[편집 | 원본 편집]
B747-8 기종은 윙스팬은 F급에 해당하지만 주륜외곽폭은 E급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경우 B747-400 기종 운용 조건과 거의 유사하다.
기동 지역[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 (A380) |
인천공항 | 비고 |
---|---|---|---|---|
활주로 길이 | 3,350m | 3,750m | ||
활주로 폭(갓길 포함) | 45m(60m) | 60m[1](75m) | 60m(84m) | |
활주로 강도 | 70/F/B 75/R/B |
69/F/B 67/R/B |
75~88/F/B 85~86/R/B |
|
유도로(갓길 포함) | 23m(44m) | 25m(60m) | 30m(60m) | |
활주로-유도로 간격 | 190m | 190m | 192m | |
유도로-유도로 간격 | 79.4m | 91m | 97.5~99m |
계류장[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B747-8 조건 | ICAO F 조건 (A380) |
인천공항 | 비고 |
---|---|---|---|---|
계류장 강도 | 75/F/B | 67/F/B | 87/F/B | |
유도로-유도로 간격 | 79.4m | 91m | 97.5~99m | |
유도로-장애물 간격 | 45.2m | 51m | 57.5~60m | |
유도선-유도선 간격 | 75.9m | 87.5m | 97.5m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80m, 97.5m |
유도선-장애물 간격 | 41.7m | 47.5m | 42.5m 이상 | 인천공항 화물 계류장 45m, 50.5m |
인천공항의 경우 F급 항공기 가운데 B747-8 기종은 전 계류장 이동 가능하며 A380 기종은 일부 지역 제한된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ACI는 숄더 등 안전 확보가 된 경우 폭 45m도 가능하다는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