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부킹)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overbooking.jpg|thumb|오버부킹은 관행?]]오버부킹(초과예약, 超過豫約, Over-Booking): 공급 대비 초과해서 예약하는 것 | |||
초과예약, | |||
== 설명 == | |||
초과예약, 오버세일(Over-Sale)이라고도 표현하는 것으로 [[항공사]]에서 [[예약]] 승객([[노쇼|노쇼, No-Show]])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고 효율적인 항공좌석의 판매를 위해 일정한 비율의 승객에 대해 실제 판매가능 좌석 수보다 초과하여 [[예약]]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 | |||
==오버부킹 원인== | |||
[항공 | [[오버부킹]]은 [[항공사]]가 수익 극대화를 위해 '공항에 나타나지 않을 손님' 수를 예상해 그 만큼 더 예약을 받는 것으로 자칫 항공 이용객이 선의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예약]]을 하고 확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항]]에서 좌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마디로 [[항공사]] 이익을 위해 중복예약이라는 위험성(Risk)을 감수하는 것으로 항공노선의 특성에 따라 그 오버부킹 비율은 달라진다. | ||
어떤 상황이든 오버부킹은 | 어떤 상황이든 오버부킹은 [[항공사]]의 잘못된 관행이다. 하지만 이를 조장하는 전반적인 문화는 항공 이용객이 스스로 개선하고 만들어가야 하는 책임과 의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27836 항공 오버세일(Over Booking), 관행인가? 어쩔 수 없는 선택인가?]</ref> 그래서 간혹 어처구니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18989 없다던 좌석, 공항 나와 보니 널널한 이유?]</ref> 없는 일도 발생한다. | ||
==오버부킹 시 항공사가 취하는 행동== | |||
[[오버부킹]]은 어떠한 이유든 [[항공사]] 귀책이다. 따라서 다른 대체 항공편으로 조정하거나,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 그 도착시간 정도에 따라 보상금을 지불해야 한다. | |||
==사건·사고== | |||
오버부킹 정책에 따른 사소한 트러블은 늘 존재해 왔지만, 2017년 4월 발생한 [[유나이티드항공]]의 오버부킹 사건<ref>[항공 해프닝] [http://www.airtravelinfo.kr/xe/1206567 오버부킹, 승객을 강제로 끌어내린 유나이티드항공(2017/4/11)]</ref>은 전 세계를 분노케 하며 오버부킹이라는 정책이 정당한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오버부킹이라는 정책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승객에 대한 폭력적인 대응 방법이 가장 큰 문제였지만 문제를 유발한 오버부킹 정책에 대한 비판은 적지 않았다. | |||
==참고== | |||
* [[유나이티드항공 오버부킹 사건]] | |||
* [[일본항공 오버부킹 사건]] | |||
==관련 용어== | |||
* [[탑승거절]] | |||
* [[DBC]] | |||
* [[초과판매]] | |||
{{각주}} | |||
[[분류:여객]] | |||
[[분류:예약]] |
2023년 3월 5일 (일) 22:30 기준 최신판
오버부킹(초과예약, 超過豫約, Over-Booking): 공급 대비 초과해서 예약하는 것
설명[편집 | 원본 편집]
초과예약, 오버세일(Over-Sale)이라고도 표현하는 것으로 항공사에서 예약 승객(노쇼, No-Show)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고 효율적인 항공좌석의 판매를 위해 일정한 비율의 승객에 대해 실제 판매가능 좌석 수보다 초과하여 예약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
오버부킹 원인[편집 | 원본 편집]
오버부킹은 항공사가 수익 극대화를 위해 '공항에 나타나지 않을 손님' 수를 예상해 그 만큼 더 예약을 받는 것으로 자칫 항공 이용객이 선의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예약을 하고 확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항에서 좌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마디로 항공사 이익을 위해 중복예약이라는 위험성(Risk)을 감수하는 것으로 항공노선의 특성에 따라 그 오버부킹 비율은 달라진다.
어떤 상황이든 오버부킹은 항공사의 잘못된 관행이다. 하지만 이를 조장하는 전반적인 문화는 항공 이용객이 스스로 개선하고 만들어가야 하는 책임과 의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1] 그래서 간혹 어처구니 [2] 없는 일도 발생한다.
오버부킹 시 항공사가 취하는 행동[편집 | 원본 편집]
오버부킹은 어떠한 이유든 항공사 귀책이다. 따라서 다른 대체 항공편으로 조정하거나,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 그 도착시간 정도에 따라 보상금을 지불해야 한다.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오버부킹 정책에 따른 사소한 트러블은 늘 존재해 왔지만, 2017년 4월 발생한 유나이티드항공의 오버부킹 사건[3]은 전 세계를 분노케 하며 오버부킹이라는 정책이 정당한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오버부킹이라는 정책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승객에 대한 폭력적인 대응 방법이 가장 큰 문제였지만 문제를 유발한 오버부킹 정책에 대한 비판은 적지 않았다.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관련 용어[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항공상식] 항공 오버세일(Over Booking), 관행인가? 어쩔 수 없는 선택인가?
- ↑ [항공상식] 없다던 좌석, 공항 나와 보니 널널한 이유?
- ↑ [항공 해프닝] 오버부킹, 승객을 강제로 끌어내린 유나이티드항공(2017/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