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added Category:소식 using HotCat) |
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한진그룹, 제주도에 생수 증산 요청 임박 === | === 한진그룹, 제주도에 생수 증산 요청 임박 === | ||
[[대한항공]]과 [[한국공항]]을 운영하는 [[한진그룹]]이 최근 제주도 지하수 취수량 증산 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진이 다음 달께 제주도에 증산 신청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며 규모가 커지자 기내 생수 공급량을 늘릴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다. 제주특별법상 지하수자원은 민간기업의 이윤 창출을 위해 사용하면 안된다고 주장한다.<ref>[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270205 한진, 다음달 제주 지하수 증산신청 예정…지역사회 집단 발발 움직임(2025.3.1)]</ref> | [[대한항공]]과 [[한국공항]]을 운영하는 [[한진그룹]]이 최근 제주도 지하수 취수량 증산 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진이 다음 달께 제주도에 증산 신청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며 규모가 커지자 기내 생수 공급량을 늘릴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다. 제주특별법상 지하수자원은 민간기업의 이윤 창출을 위해 사용하면 안된다고 주장한다.<ref>[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270205 한진, 다음달 제주 지하수 증산신청 예정…지역사회 집단 발발 움직임(2025.3.1)]</ref> | ||
=== 중국발 이커머스, LCC 화물 사업 확장 === | |||
[[항공화물]] 운송사업이 [[LCC]](저비용항공사)의 캐시카우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발 전자상거래 플랫폼 성장에 따라 운송 물량이 증가했고 홍해 사태 장기화로 인해 항공 화물이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춰 주요 LCC들은 화물 운송업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ref>[https://www.sentv.co.kr/article/view/sentv202502270147 C커머스 무한 확장...LCC, 화물 운송 띄운다(2025.3.1)]</ref> | |||
{{각주}} | {{각주}} | ||
[[분류:소식]] | [[분류:소식]] |
2025년 3월 1일 (토) 19:12 판
최근 항공 소식 |
---|
2025년 3월 2일자 항공 및 여행 관련 소식이다.
한진그룹, 제주도에 생수 증산 요청 임박
대한항공과 한국공항을 운영하는 한진그룹이 최근 제주도 지하수 취수량 증산 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진이 다음 달께 제주도에 증산 신청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며 규모가 커지자 기내 생수 공급량을 늘릴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다. 제주특별법상 지하수자원은 민간기업의 이윤 창출을 위해 사용하면 안된다고 주장한다.[1]
중국발 이커머스, LCC 화물 사업 확장
항공화물 운송사업이 LCC(저비용항공사)의 캐시카우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발 전자상거래 플랫폼 성장에 따라 운송 물량이 증가했고 홍해 사태 장기화로 인해 항공 화물이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춰 주요 LCC들은 화물 운송업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