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Toggle preferences menu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4번째 줄: 34번째 줄:
! 국가 !! 감염자(명) !! 사망자(명) !! 비고
! 국가 !! 감염자(명) !! 사망자(명) !! 비고
|-
|-
| 미국 || 960,896 || 54,265 || 3/13, 국가비상선언, 유럽으로부터 [[입국]] 전면 금지
| 미국 || 987,322 || 55,415 || 3/13, 국가비상선언, 유럽으로부터 [[입국]] 전면 금지
|-
|-
| 스페인 || 223,759 || 22,902 || 3/15, 국가비상사태 선포(15일간), 자택 대기, 비상사태 연장(15일)
| 스페인 || 226,629 || 23,190 || 3/15, 국가비상사태 선포(15일간), 자택 대기, 비상사태 연장(15일)
|-
|-
| 이탈리아 || 195,351 || 26,384 || 3월 초부터 급증. 3/9, 전국 이동제한령
| 이탈리아 || 197,675 || 26,644 || 3월 초부터 급증. 3/9, 전국 이동제한령
|-
|-
| 독일 || 156,513 || 5,877 || 
| 독일 || 157,781 || 5,976 || 
|-
|-
| 영국 || 148,377 || 20,319 || 
| 영국 || 152,840 || 20,732 || 
|-
|-
| 프랑스 || 124,114 || 22,614 || 3월 초부터 급증, 3/15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자택 대기
| 프랑스 || 124,575 || 22,856 || 3월 초부터 급증, 3/15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자택 대기
|-
|-
| 터키 || 107,773 || 2,706 || 
| 터키 || 110,130 || 2,805 || 
|-
|-
| 이란 || 89,328 || 5,650 || 3월 초부터 급증
| 이란 || 91,472 || 5,806 || 3월 초부터 급증
|-
|-
| 중국 || 82,827 || 4,632 || 최초 발생 지역
| 러시아 || 87,147 || 794 || 
|-
|-
| 러시아 || 74,588 || 681 || 
| 중국 || 82,830 || 4,633 || 최초 발생 지역
|-
|-
| 브라질 || 59,324 || 4,057 || 
| 브라질 || 63,100 || 4,286 || 
|-
|-
| 캐나다 || 45,354 || 2,465 || 3/17 이후 각 주별로 비상사태 선포
| 벨기에 || 46,687 || 7,207 || 
|-
|-
| 벨기에 || 45,325 || 6,917 || 
| 캐나다 || 46,895 || 2,560 || 3/17 이후 각 주별로 비상사태 선포
|-
|-
| 네덜란드 || 37,190 || 4,409 || 
| 네덜란드 || 37,845 || 4,475 || 
|-
|-
| 스위스 || 28,894 || 1,599 || 3/16, 국가 비상사태(~4/19) 선포. 행사 금지 외출 통제
| 스위스 || 29,061 || 1,610 || 3/16, 국가 비상사태(~4/19) 선포. 행사 금지 외출 통제
|-
|-
| 인도 || 26,496 || 825 || 
| 인도 || 27,977 || 884 || 
|-
|-
| 페루 || 25,331 || 700 || 3/16, 국가 비상사태(15일간) 선포. 국경 폐쇄
| 페루 || 27,517 || 728 || 3/16, 국가 비상사태(15일간) 선포. 국경 폐쇄
|-
|-
| 포르투갈 || 23,392 || 880 || 
| 포르투갈 || 23,864 || 903 || 
|-
|-
| 에콰도르 || 22,719 || 576 || 
| 에콰도르 || 22,719 || 576 || 
|-
|-
| 아일랜드 || 18,561 || 1,063 || 
| 아일랜드 || 19,262 || 1,087 || 
|-
|-
| 스웨덴 || 18,177 || 2,192 || 집단 면역 체계 방식으로 대응하다가 4월 초 확진자 급증하면서 적극 대응 형태로 전환
| 스웨덴 || 18,640 || 2,194 || 집단 면역 체계 방식으로 대응하다가 4월 초 확진자 급증하면서 적극 대응 형태로 전환
|-
|-
| 사우디아라비아 || 16,299 || 136 || 
| 사우디아라비아 || 17,522 || 139 || 
|-
|-
| 이스라엘 || 15,298 || 199 || 
| 이스라엘 || 15,466 || 202 || 
|-
|-
| 오스트리아 || 15,148 || 536 || 
| 오스트리아 || 15,274 || 549 || 
|-
|-
| 일본 || 13,943 || 364 || 다이아몬드<ref>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요코하마 정박)</ref> 739명(13명 사망) + 코스타<ref>코스타 아틀란티카 크루즈선(나가사키 정박)</ref> 148명 포함<br /> 4/7, 비상사태 선언(~5/6)
| 멕시코 || 14,677 || 1,351 || 
|-
|-
| 멕시코 || 13,842 || 1,305 || 
| 싱가포르 || 14,423 || 12 || 
|-
|-
| 칠레 || 12,858 || 181 || 
| 일본 || 14,153 || 385 || 다이아몬드<ref>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요코하마 정박)</ref> 739명(13명 사망) + 코스타<ref>코스타 아틀란티카 크루즈선(나가사키 정박)</ref> 148명 포함<br /> 4/7, 비상사태 선언(~5/6)
|-
|-
| 파키스탄 || 12,723 || 269 || 
| 칠레 || 13,331 || 189 || 
|-
|-
| 싱가포르 || 12,693 || 12 || 
| 파키스탄 || 13,328 || 281 || 
|-
|-
| 폴란드 || 11,273 || 524 || 
| 폴란드 || 11,761 || 539 || 
|-
|-
| '''한국''' || '''10,728''' || '''242''' || 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
| 루마니아 || 11,339 || 631 || 
|-
|-
| 루마니아 || 10,635 || 601 || 
| 벨라루스 || 11,289 || 75 || 
|-
|-
| 아랍에미레이트 || 9,813 || 71 || 
| 카타르 || 11,244 || 10 || 
|-
|-
| 벨라루스 || 9,590 || 67 || 
| '''한국''' || '''10,738''' || '''243''' || 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
|-
|-
| 카타르 || 9,358 || 10 || 
| 아랍에미레이트 || 10,349 || 76 || 
|-
|-
| 인도네시아 || 8,607 || 720 || 
| 인도네시아 || 9,096 || 765 || 
|-
|-
| 덴마크 || 8,445 || 418 || 
| 우크라이나 || 9,009 || 220 || 
|-
|-
| 우크라이나 || 8,125 || 201 || 
| 덴마크 || 8,698 || 422 || 
|-
|-
| 세르비아 || 7,779 || 151 || 비상사태 선포
| 세르비아 || 8,042 || 156 || 비상사태 선포
|-
|-
| 노르웨이 || 7,499 || 201 || 
| 필리핀 || 7,777 || 511 || 3/17, 국가 비상사태(~4/13) 선포
|-
|-
| 체코 || 7,352 || 218 || 비상사태 선포
| 노르웨이 || 7,527 || 202 || 
|-
|-
| 필리핀 || 7,294 || 494 || 3/17, 국가 비상사태(~4/13) 선포
| 체코 || 7,408 || 221 || 비상사태 선포
|-
|-
| 호주 || 6,710 || 83 || 
| 호주 || 6,720 || 83 || 
|-
|-
| 도미니카공화국 || 5,926 || 273 || 
| 도미니카공화국 || 6,135 || 278 || 
|-
|-
| 말레이시아 || 5,742 || 98 || 
| 방글라데시 || 5,913 || 152 || 
|-
|-
| 파나마 || 5,538 || 159 || 
| 말레이시아 || 5,820 || 99 || 
|-
|-
| 콜롬비아 || 5,142 || 233 || 
| 파나마 || 5,779 || 165 || 
|-
|-
| 방글라데시 || 4,998 || 140 || 
| 콜롬비아 || 5,379 || 244 || 
|-
|-
| 핀란드 || 4,475 || 186 || 
| 핀란드 || 4,695 || 190 || 
|-
|-
| 남아프리카공화국 || 4,361 || 86 || 3/15, 국경 폐쇄 등 비상조치 발표
| 남아프리카공화국 || 4,546 || 87 || 3/15, 국경 폐쇄 등 비상조치 발표
|-
|-
| 이집트 || 4,319 || 307 || 
| 이집트 || 4,534 || 317 || 
|-
|-
| 모로코 || 3,897 || 159 || 
| 모로코 || 4,115 || 165 || 
|-
|-
| 아르헨티나 || 3,780 || 185 || 
| 아르헨티나 || 3,892 || 192 || 
|-
|-
| 룩셈부르크 || 3,711 || 85 || 
| 룩셈부르크 || 3,723 || 88 || 
|-
|-
| 몰도바 || 3,304 || 94 || 
| 몰도바 || 3,408 || 101 || 
|-
|-
| 알제리 || 3,256 || 419 || 
| 알제리 || 3,382 || 425 || 
|-
|-
| 태국 || 2,907 || 51 || 
| 쿠웨이트 || 3,075 || 20 || 
|-
|-
| 쿠웨이트 || 2,892 || 19 || 
| 태국 || 2,931 || 52 || 
|-
|-
| 카자흐스탄 || 2,601 || 25 || 
| 카자흐스탄 || 2,791 || 25 || 
|-
|-
| 바레인 || 2,588 || 8 || 
| 바레인 || 2,647 || 8 || 
|-
|-
| 그리스 || 2,506 || 130 || 
| 헝가리 || 2,583 || 280 || 
|-
|-
| 헝가리 || 2,443 || 262 || 
| 그리스 || 2,517 || 134 || 
|-
|-
| 크로아티아 || 2,016 || 54 || 
| 오만 || 2,049 || 10 ||
|-
|-
| 오만 || 1,905 || 10 ||
| 크로아티아 || 2,030 || 55 || 
|-
|-
| 우즈베키스탄 || 1,862 || 8 || 
| 우즈베키스탄 || 1,887 || 8 || 
|-
|-
| 아이슬란드 || 1,790 || 10 || 
| 이라크 || 1,820 || 87 || 
|-
|-
| 이라크 || 1,763 || 86 || 
| 아르메니아 || 1,808 || 29 || 
|-
|-
| 아르메니아 || 1,677 || 28 || 
| 아이슬란드 || 1,792 || 10 || 
|-
|-
| 에스토니아 || 1,635 || 46 || 
| 아프가니스탄 || 1,703 || 57 ||
|-
|-
| 아제르바이잔 || 1,617 || 21 || 
| 에스토니아 || 1,647 || 50 || 
|-
|-
| 카메룬 || 1,518 || 53 ||
| 아제르바이잔 || 1,645 || 21 ||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486 || 57 || 
| 카메룬 || 1,621 || 56 ||
|-
|-
| 뉴질랜드 || 1,470 || 18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516 || 59 || 
|-
|-
| 아프가니스탄 || 1,463 || 47 ||
| 뉴질랜드 || 1,470 || 19 || 
|-
|-
| 리투아니아 || 1,426 || 41 || 
| 리투아니아 || 1,449 || 41 || 
|-
|-
| 슬로베니아 || 1,388 || 81 || 
| 슬로베니아 || 1,402 || 83 || 
|-
|-
| 슬로바키아 || 1,373 || 17 ||
| 북마케도니아 || 1,386 || 61 ||
|-
|-
| 북마케도니아 || 1,367 || 59 ||
| 슬로바키아 || 1,381 || 18 ||
|-
|-
| 쿠바 || 1,337 || 51 ||
| 쿠바 || 1,369 || 54 ||
|-
|-
| 가나 || 1,279 || 10 ||
| 가나 || 1,550 || 11 ||
|-
|-
| 불가리아 || 1,247 || 55 ||
| 불가리아 || 1,348 || 56 ||
|-
|-
| 나이지리아 || 1,182 || 35 ||
| 나이지리아 || 1,273 || 40 ||
|-
|-
| 코트디브아르 || 1,077 || 14 ||
| 코트디브아르 || 1,150 || 14 ||
|-
|-
| 홍콩 || 1,037 || 4 || 
| 홍콩 || 1,037 || 4 || 
|-
|-
| 지부티 || 1,008 || 2 ||
| 지부티 || 1,023 || 2 ||
|-
|-
| 기타 || colspan="3"|전 세계 215개 국가/지역에서 확진자 발생, WHO 3/11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 기타 || colspan="3"|전 세계 215개 국가/지역에서 확진자 발생, WHO 3/11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
|-
! 계 !! 2,883,711 !! 203,247 !! 치사율 7.05%
! 계 !! 2,970,318 !! 207,328 !! 치사율 7.05%
|}
|}



2020년 4월 27일 (월) 20:49 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동물을 기원으로하는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2019년 중국 우한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종 전염병이 되었다. 공식 명칭은 COVID-19('CO'rona 'VI'rus 'D'isease)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 명명했다. 우한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우한 폐렴'이라고도 불린다.

발병

2019년 12월 2003년 발병했던 사스(SARS)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 7명에 대해 우한시중심병원 의사였던 리원량이 감염 확산을 우려하며 12월 30일 동료 의사 7명과 함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알렸다. 하지만 중국 당국으로부터 허위 정보를 퍼트려 민심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혐의로 강제 서약서를 쓰게 하고 이들의 활동을 금지했다. 하지만 결국 이것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중국 당국은 1월말 이들에게 사과했다. 그러나 처음 이 사실을 알렸던 의사 리원량은 자신도 이 병에 감염되어 사망했다.

2020년 1월 초 중국 우한 지역에서 원인을 알수 없는 폐렴이 확산되면서 '우한 폐렴'이라고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월 13일 중국 당국이 이 질병을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폐렴'이라고 언급했다. 바이러스 발원지로 알려진 중국 우한시장(화난수산시장)은 수산물, 야생동물도 처리, 거래되고 있어 야생동물이 감염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일부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닌 중국 실험실에서 유출된 것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중국 광저우 화난 이공대학 샤오보타오 교수는 글로번 학술 사이트 리서치 게이트에 코로나19는 박쥐에서 중간숙주를 거쳐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보다는 후베이성 우한 실험실 두 곳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을 제기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우한바이러스연구소보다는 우한질병예방통제센터가 진원지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WHO 비상사태, 팬데믹 선포

국제보건기구(WHO)는 전세계적 위협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창궐 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포할 수 있다.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비상사태 선포는 없었으나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결국 1월 30일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하지만 WHO는 비상사태 선포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비상사태 선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이동 제한 등에는 반대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WHO에 막대한 지원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WHO가 중국과의 물류 및 이동 제한 반대 의견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후베이성 체류 14일 이내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본, 남미 등에서도 중국발 외국인 입국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2월 중국을 넘어 한국과 일본 및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3월 초순 유럽과 미국 등 110개 국가에서 10만 명 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나타났고 WHO는 3월 11일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팬데믹'을 선언했다.

감염 확산 현황

발원지인 중국 우한 지역을 비롯한 인근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이후 인접 국가 및 항공 교통이 닿는 세계 28개 국가 및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2월 13일 현재 중국에서만 약 6만 명 확진자가 나왔고 사망자도 1,300명을 넘어섰다. 일본은 자국 내 29명 확진자 발생 외에 크루즈 선에서 174명이 발생하며 중국 다음으로 많은 확진자가 나왔으며 우리나라도 28명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 대부분은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홍콩, 필리핀 등에서도 각각 사망자가 나왔다.

발병 후 사망자는 중국에서만 발생했으나 2월 2일 필리핀에서 사망자가 나오면서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우한 폐렴 사망자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월 12일 일본, 2월 15일 프랑스, 대만에서도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다. 2월 20일 우리나라에서도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하루에 50여 명 확진자가 급증했다. 일본 크루즈선에서도 감염자 2명이 사망했다.

2월 중순 이후 중국에서의 확진자 증가세는 다소 주춤해졌으나 우리나라 확진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사태는 유럽, 중동으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3월 8일 현재 이탈리아, 이란 등에서는 확진자가 5천 명을 넘어섰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전국 이동을 제한,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렀고 미국도 3/13 국가비상선언을 공표하면서 바이러스에 적극 대응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3일 1백만 명, 4월 15일 2백만 명을 넘어섰다.

2020년 4월 26일 기준 (감염자 1000명 이상)
국가 감염자(명) 사망자(명) 비고
미국 987,322 55,415 3/13, 국가비상선언, 유럽으로부터 입국 전면 금지
스페인 226,629 23,190 3/15, 국가비상사태 선포(15일간), 자택 대기, 비상사태 연장(15일)
이탈리아 197,675 26,644 3월 초부터 급증. 3/9, 전국 이동제한령
독일 157,781 5,976  
영국 152,840 20,732  
프랑스 124,575 22,856 3월 초부터 급증, 3/15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자택 대기
터키 110,130 2,805  
이란 91,472 5,806 3월 초부터 급증
러시아 87,147 794  
중국 82,830 4,633 최초 발생 지역
브라질 63,100 4,286  
벨기에 46,687 7,207  
캐나다 46,895 2,560 3/17 이후 각 주별로 비상사태 선포
네덜란드 37,845 4,475  
스위스 29,061 1,610 3/16, 국가 비상사태(~4/19) 선포. 행사 금지 외출 통제
인도 27,977 884  
페루 27,517 728 3/16, 국가 비상사태(15일간) 선포. 국경 폐쇄
포르투갈 23,864 903  
에콰도르 22,719 576  
아일랜드 19,262 1,087  
스웨덴 18,640 2,194 집단 면역 체계 방식으로 대응하다가 4월 초 확진자 급증하면서 적극 대응 형태로 전환
사우디아라비아 17,522 139  
이스라엘 15,466 202  
오스트리아 15,274 549  
멕시코 14,677 1,351  
싱가포르 14,423 12  
일본 14,153 385 다이아몬드[1] 739명(13명 사망) + 코스타[2] 148명 포함
4/7, 비상사태 선언(~5/6)
칠레 13,331 189  
파키스탄 13,328 281  
폴란드 11,761 539  
루마니아 11,339 631  
벨라루스 11,289 75  
카타르 11,244 10  
한국 10,738 243 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
아랍에미레이트 10,349 76  
인도네시아 9,096 765  
우크라이나 9,009 220  
덴마크 8,698 422  
세르비아 8,042 156 비상사태 선포
필리핀 7,777 511 3/17, 국가 비상사태(~4/13) 선포
노르웨이 7,527 202  
체코 7,408 221 비상사태 선포
호주 6,720 83  
도미니카공화국 6,135 278  
방글라데시 5,913 152  
말레이시아 5,820 99  
파나마 5,779 165  
콜롬비아 5,379 244  
핀란드 4,695 190  
남아프리카공화국 4,546 87 3/15, 국경 폐쇄 등 비상조치 발표
이집트 4,534 317  
모로코 4,115 165  
아르헨티나 3,892 192  
룩셈부르크 3,723 88  
몰도바 3,408 101  
알제리 3,382 425  
쿠웨이트 3,075 20  
태국 2,931 52  
카자흐스탄 2,791 25  
바레인 2,647 8  
헝가리 2,583 280  
그리스 2,517 134  
오만 2,049 10
크로아티아 2,030 55  
우즈베키스탄 1,887 8  
이라크 1,820 87  
아르메니아 1,808 29  
아이슬란드 1,792 10  
아프가니스탄 1,703 57
에스토니아 1,647 50  
아제르바이잔 1,645 21  
카메룬 1,621 5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516 59  
뉴질랜드 1,470 19  
리투아니아 1,449 41  
슬로베니아 1,402 83  
북마케도니아 1,386 61
슬로바키아 1,381 18
쿠바 1,369 54
가나 1,550 11
불가리아 1,348 56
나이지리아 1,273 40
코트디브아르 1,150 14
홍콩 1,037 4  
지부티 1,023 2
기타 전 세계 215개 국가/지역에서 확진자 발생, WHO 3/11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2,970,318 207,328 치사율 7.05%

우리나라 코로나19 확산

1월 21일 첫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2월 초순까지 코로나19 확산세를 잘 통제했다고 평가받았던 우리나라는 중순 이후 감염자가 급증했다. 2월 20일 감염자 수가 100명을 넘어서면서 23일 600명, 26일 1200명, 28일 2300명, 29일 3100명을 넘어섰다.

급증하기 시작한 계기는 대구에서 신천지 교회다. 당국에서는 중국 우한의 신천지 교회를 방문했던 신천지 교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국내로 들어온 것이 확산을 일으킨 주 원인으로 보고 있다. 2월 29일 현재 3150여 감염자 가운데 대구, 경북 지역에서만 2800여 명으로 전체 감염자의 90% 가까이 차지했다. 외국에서도 우리나라 지역 가운데 대구, 경북지역으로 한정해 우리 국민 입국을 제한하는 경우가 증가했다. 3월 10일 현재 우리나라 국민에 대해 입국을 금지하는 등 제한하는 국가가 100개를 넘었다.

일부 외신에서는 우리나라 감염자는 1만 명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 보기도 했다.

특수:IframePage/koreacorona19

3월 중순들어서면서 확진자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3월 11일 콜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단체로 확진자가 나오면서 위기는 감소되지 않고 있다. 3월 15일 이후 4일 연속 신규 확진자가 100명 아래로 떨어졌고 4월 6일부터는 신규 확진자가 50명선 아래로 떨어져 안정세로 접어 들었다.

일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 집단 발병

일본에서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에서 집단 발병해 충격을 주었다. 총 3700여 탑승객 가운데 273명 감염 의심되어 진단한 결과 61명이 확진자로 판명되었으며 나머지 승객들은 크루즈선에서 하선이 금지된 채 2주간 각 선실에 격리되는 조치가 시행되었다. 2월 8일 3명이 추가로 확진자로 확인되면서 크루즈 선 감염자는 64명으로 늘었다. 2월 9일 확진자 6명 추가 되면서 크루즈 선에서만 확진자 70명으로 늘었고 2월 12일 174명까지 늘었다. 일본 정부는 배 안에 있는 3700여 명에 대해 전원 감염 여부 검사까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WHO에 크루즈선에서 발병한 코로나19 확진자는 자국 외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공식적인 일본 확진자 수에 포함하지 않도록 요구했다. 이것은 2020년 열리는 도쿄올림픽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본은 초기 일부 증상을 보인 사람만 진단해 일부 하선시키고 나머지 승선객을 모두 크루즈선에 격리라는 방법을 선택했지만 이것이 오히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를 확산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해외 일부 언론에서는 이 크루즈선을 두고 바이러스 배양접시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는 등 일본의 선택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했다.

2월 초 처음 진단 시 61명에 불과했던 확진자를 하선시킨 후 나머지 승선객을 크루즈선에 14일 격리시키는 방법을 선택한 일본의 결정은 더욱 더 큰 참사를 불러왔다. 이후 더욱 급격하게 확진자가 증가해 2월 17일 현재 454명까지 늘어났다. 미국은 일본의 결정과 대응을 더 이상 참지 못하고 2월 17일 자국 전세기 2대를 보내 크루즈선 탑승한 미국인 340명을 미국 본토로 수송했다.

2월 19일, 크루즈선 탑승객 모두 하선했으며, 우리나라는 공군 3호기를 통해 한국으로 수송했다.[3]

참고

각주


  1.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요코하마 정박)
  2. 코스타 아틀란티카 크루즈선(나가사키 정박)
  3. '코로나19' 혼란 속 일본 크루즈 한국인 7명, 공군 3호기로 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