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산마리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왕산마리나== | ==왕산마리나== | ||
[[파일:Wangsan-marina.jpg|섬네일|왕산마리나 전경]] | [[파일:Wangsan-marina.jpg|섬네일|왕산마리나 전경]] | ||
정식 명칭은 왕산레저개발로 2011년 | 정식 명칭은 왕산레저개발로 2011년 [[대한항공]]이 자본금 60억 원을 투입해 설립한 레저 시설이다. 왕산레저개발 100% 지분을 보유한 대한항공은 설립 이후 적자가 지속된 왕산마리나에 2019년까지 총 1500억 원 가량 출자금을 투입했다. | ||
== 코로나19 사태와 매각 == | |||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계가 파산위기에 처했고 대한항공 역시 긴급 운영자금이 필요해지면서 자산을 매각하기 시작했다. [[기내식]] 사업, [[칼리무진]] 매각에 이어 왕산마리나도 2020년 11월 1300억 원 매각 MOU를 체결해 2021년 1분기 중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0972 대한항공, 왕산마리나 1300억 매각]</ref> | |||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칸서스·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과 3개월여 매각 협의를 진행했지만 본계약 체결에는 합의에 이르지 못해 2021년 4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종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5116 대한항공, 왕산마리나 매각 무산 ·· 코로나 극복 자금 확보에 일부 차질]</ref> | |||
우선협상대상자로 | 대한항공은 2021년 [[6월 30일]] 칸서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다시 선정했다고 밝혀 4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종료 후에도 협의를 지속해온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5970 대한항공, 왕산마리나 매각 ·· 칸서스 우선협상대상자 재선정]</ref> 그러나 다시 협상이 결렬되면서 2021년 10월 대한항공은 칸서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종료를 통보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45556 대한항공 왕산마리나 매각 재차 불발, 하지만 계속 추진]</ref> | ||
== 기타 == | |||
[[왕산레저개발]] 초대 대표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으로 [[땅콩회항]] 사건으로 2014년 12월 모든 직책에서 물러날 때까지 해양레저시설 왕산마리나 운영을 맡아 왔다. | |||
== 참고 == | == 참고 == |
2021년 10월 6일 (수) 11:34 판
왕산마리나
정식 명칭은 왕산레저개발로 2011년 대한항공이 자본금 60억 원을 투입해 설립한 레저 시설이다. 왕산레저개발 100% 지분을 보유한 대한항공은 설립 이후 적자가 지속된 왕산마리나에 2019년까지 총 1500억 원 가량 출자금을 투입했다.
코로나19 사태와 매각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계가 파산위기에 처했고 대한항공 역시 긴급 운영자금이 필요해지면서 자산을 매각하기 시작했다. 기내식 사업, 칼리무진 매각에 이어 왕산마리나도 2020년 11월 1300억 원 매각 MOU를 체결해 2021년 1분기 중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1]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칸서스·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과 3개월여 매각 협의를 진행했지만 본계약 체결에는 합의에 이르지 못해 2021년 4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종료했다.[2]
대한항공은 2021년 6월 30일 칸서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다시 선정했다고 밝혀 4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종료 후에도 협의를 지속해온 것으로 나타났다.[3] 그러나 다시 협상이 결렬되면서 2021년 10월 대한항공은 칸서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종료를 통보했다.[4]
기타
왕산레저개발 초대 대표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으로 땅콩회항 사건으로 2014년 12월 모든 직책에서 물러날 때까지 해양레저시설 왕산마리나 운영을 맡아 왔다.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