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문서 : 브로큰애로우 » 노즈랜딩기어 » 에티하드항공 » 에티하드항공

에티하드항공

도움말닫기
편집할 때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면 보고해 주세요.
알림 2개닫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이 편집기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항공위키
접기에티하드항공
auto
EY
ETD
ETIHAD
설립 2003년 7월
( 21년 )
취항 2003년 11월 12일
항공기 83대
H/P etihad.com

에티하드항공(Etihad Airways): 아랍에미레이트 아부다비 거점 항공사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 항공사로 아부다비공항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2003년 설립되어 102대 항공기로 81개 도시를 운항하는 항공사로 성장했다.

에미레이트항공, 카타르항공과 함께 중동 3대 항공사로 불린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상용고객 프로그램[편집 | 원본 편집]

  • Etihad Guest, Etihad One Club

특징[편집 | 원본 편집]

항공사 지분 인수를 통한 파트너십[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서비스 측면에서는 고급화를 추진하며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2010년대 들어서면서 에티하드항공은 다른 항공사의 지분을 매입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하지만 투자한 항공사가 대부분 잇따라 부진을 겪으며 파산하거나 부실해지면서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전략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에어베를린, 다윈항공은 2017년 파산했으며, 제트에어웨이즈도 2019년 운항을 중단했다. 알리탈리아는 파산 보호 절차를 거쳐 국유화 되었다.[1]

한때 49% 지분을 보유했던 에어세르비아는 2018년 이후 파트너십이 약화되기 시작해 2020년 기준 지분은 18%로 감소했다.[2] 에어세이셸 지분(40%) 역시 세이셸 정부에 단돈 1달러에 매각했다.[3]

투자 항공사 지분(최대 시점) 비고
에어베를린 29.21% 2017년 파산
에어세이셸 40% 2021년 세이셸 정부에 지분 매각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24.2% 2020년 파산 후 매각
에어링구스 4.1%
에어세르비아 49% 2020년 12월 지분 대부분 매각
알리탈리아 49% 파산 → 국유화
다윈항공 33% 지분 아드리아항공에 매각 → 2017년 파산
제트에어웨이즈 24% 2019년 파산

항공동맹체[편집 | 원본 편집]

에티하드항공은 세계 대표적인 항공동맹체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으며 이전에 자사가 투자한 항공사들을 모아 에티하드 이쿼티라는 세미 항공동맹체를 운영하기도 했다.

항공기[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4월 기준
항공기 보유 주문 비고
A320-200 14 -
A321-200 9 -
A321neo - 26
A350-1000 5 15
A380-800 4 - 2021년 4월 기준 기재 목록에서 사라져 (10대 )
B777-300ER 9 -
B777-9 - 25
B787-9 33 8
B787-10 10 20
A350F - 7 화물기
B777F 5 - 화물기
89 101

기타[편집 | 원본 편집]

미국 항공업계와 불법 보조금 갈등[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에티하드항공
auto
EY
ETD
ETIHAD
설립2003년 7월
( 21년 )
취항2003년 11월 12일
항공기83대
H/Petihad.com

에티하드항공(Etihad Airways): 아랍에미레이트 아부다비 거점 항공사

개요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 항공사로 아부다비공항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2003년 설립되어 102대 항공기로 81개 도시를 운항하는 항공사로 성장했다.

에미레이트항공, 카타르항공과 함께 중동 3대 항공사로 불린다.

연혁

상용고객 프로그램

  • Etihad Guest, Etihad One Club

특징

항공사 지분 인수를 통한 파트너십

기본적으로 서비스 측면에서는 고급화를 추진하며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2010년대 들어서면서 에티하드항공은 다른 항공사의 지분을 매입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하지만 투자한 항공사가 대부분 잇따라 부진을 겪으며 파산하거나 부실해지면서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전략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에어베를린, 다윈항공은 2017년 파산했으며, 제트에어웨이즈도 2019년 운항을 중단했다. 알리탈리아는 파산 보호 절차를 거쳐 국유화 되었다.[1]

한때 49% 지분을 보유했던 에어세르비아는 2018년 이후 파트너십이 약화되기 시작해 2020년 기준 지분은 18%로 감소했다.[2] 에어세이셸 지분(40%) 역시 세이셸 정부에 단돈 1달러에 매각했다.[3]

투자 항공사

지분(최대 시점)

비고

에어베를린

29.21%

2017년 파산

에어세이셸

40%

2021년 세이셸 정부에 지분 매각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24.2%

2020년 파산 후 매각

에어링구스

4.1%

에어세르비아

49%

2020년 12월 지분 대부분 매각

알리탈리아

49%

파산 → 국유화

다윈항공

33%

지분 아드리아항공에 매각 → 2017년 파산

제트에어웨이즈

24%

2019년 파산

항공동맹체

에티하드항공은 세계 대표적인 항공동맹체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으며 이전에 자사가 투자한 항공사들을 모아 에티하드 이쿼티라는 세미 항공동맹체를 운영하기도 했다.

항공기

2024년 4월 기준

항공기

보유

주문

비고

A320-200

14

-

A321-200

9

-

A321neo

-

26

A350-1000

5

15

A380-800

4

-

2021년 4월 기준 기재 목록에서 사라져 (10대 )

B777-300ER

9

-

B777-9

-

25

B787-9

33

8

B787-10

10

20

A350F

-

7

화물기

B777F

5

-

화물기

89

101

기타

미국 항공업계와 불법 보조금 갈등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