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5,037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새 문서: ==진에어 국토부 제재== 2018년 8월 시작된 저비용항공사 진에어에 대한 국토교통부 제재다. ==발단== 2018년 초 불거진 물컵갑질의 주인...)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제재 사항== | ==제재 사항== | ||
국토교통부는 진에어의 | 국토교통부는 진에어의 경영행태 정상화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신규 [[노선]] 취항, [[항공기]] 도입, [[부정기편]] 운항 제한 등의 제재를 결정했다. | ||
==진행사항 및 영향== | ==진행사항 및 영향== | ||
* 2018년 8월, 국토부 제재 시작과 함께 진에어는 인도 결정되어 있던 [[항공기]] 도입을 취소·연기하고 [[승무원]] 채용 등도 연기하는 등 영업활동에 제한이 시작되었다. | * 2018년 8월, 국토부 제재 시작과 함께 진에어는 인도 결정되어 있던 [[항공기]] 도입을 취소·연기하고 [[승무원]] 채용 등도 연기하는 등 영업활동에 제한이 시작되었다. | ||
* 2019년 3월, 진에어는 2019년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점으로 | * 2019년 3월, 진에어는 2019년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점으로 경영행태 정상화 조건을 충족시켜 제재에서 벗어난다는 계획이었지만 국토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 ||
** 진에어 경영 결정에서 한진그룹 계열사 임원 결재 제외 | |||
** 사외이사 역할 강화 (절반 이상 사외이사로 구성) | |||
** 내부신고제 도입(법무실 신설) | |||
** 사내고충처리체계 보완 | |||
* 2019년 5월, 중국 국제선 [[운수권]] 배분에서도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주35회 운수권을 받아가는 사이에 진에어는 단 1회도 배분받지 못했다 | * 2019년 5월, 중국 국제선 [[운수권]] 배분에서도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주35회 운수권을 받아가는 사이에 진에어는 단 1회도 배분받지 못했다 | ||
* 2019년 9월, 진에어는 최종 | * 2019년 9월, 진에어는 최종 ''''경영문화 개선 보고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 ||
** 독립적인 의사결정 시스템 재정립 | |||
** 이사회 역할 강화 | |||
** 사외이사 자격 검증 절차 강화 | |||
** 준법지원조직 신설 | |||
** 수평적 조직문화 구축 | |||
** 사회공헌 확대 등 17개 항목 | |||
* 개선안 자료 제출 후 3-4개월이 지나도록 국토부의 검토 결과에 대한 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다. 제출된 자료가 미흡하다면 그 내용을 적시해 회신하고 다시 개선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장시간 움직임이 없는 것에 대해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 |||
* 2019년 12월 11일, 국토부 관계자의 언급을 통해 '내부 검토는 진행해 왔으며 외부 전문가들이 검토를 시작'한 상황이 알려졌다. | * 2019년 12월 11일, 국토부 관계자의 언급을 통해 '내부 검토는 진행해 왔으며 외부 전문가들이 검토를 시작'한 상황이 알려졌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