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5,037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발단== | ==발단== | ||
2018년 초 불거진 [[물컵갑질]]의 주인공인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외국인 국적임에도 불구하고 [[진에어]] 등기임원으로 재직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항공사업법에 따라 면허취소 논란으로 이어졌다. 2018년 8월, 심의 결과 [[진에어]]는 면허취소라는 최악의 결과는 면했지만 대신 국토교통부는 사업 관련 제재를 결정했다. | 2018년 초 불거진 [[물컵갑질]]의 주인공인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외국인 국적임에도 불구하고 [[진에어]] 등기임원으로 재직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항공사업법에 따라 면허취소 논란으로 이어졌다. 2018년 8월, 심의 결과 [[진에어]]는 면허취소라는 최악의 결과는 면했지만 대신 국토교통부는 사업 관련 제재를 결정했다. | ||
==제재 사항== | ==제재 사항==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2018년 8월, 국토부 제재 시작과 함께 진에어는 인도 결정되어 있던 [[항공기]] 도입을 취소·연기하고 [[승무원]] 채용 등도 연기하는 등 영업활동에 제한이 시작되었다. | * 2018년 8월, 국토부 제재 시작과 함께 진에어는 인도 결정되어 있던 [[항공기]] 도입을 취소·연기하고 [[승무원]] 채용 등도 연기하는 등 영업활동에 제한이 시작되었다. | ||
* 2019년 3월, 진에어는 2019년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점으로 경영행태 정상화 조건을 충족시켜 제재에서 벗어난다는 계획이었지만 국토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 * 2019년 3월, 진에어는 2019년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점으로 경영행태 정상화 조건을 충족시켜 제재에서 벗어난다는 계획이었지만 국토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 ||
** 진에어 경영 결정에서 한진그룹 계열사 임원 결재 배제 | ** [[진에어]] 경영 결정에서 한진그룹 계열사 임원 결재 배제 | ||
** 사외이사 역할 강화 (절반 이상 사외이사로 구성) | ** 사외이사 역할 강화 (절반 이상 사외이사로 구성) | ||
** 내부신고제 도입(법무실 신설) | ** 내부신고제 도입(법무실 신설)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2020년 3월, [[진에어]] 주주총회에 상정된 이사회 개선안에 대해 국토부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며 제재해제 여부 논의 가능성 언급했다. | * 2020년 3월, [[진에어]] 주주총회에 상정된 이사회 개선안에 대해 국토부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며 제재해제 여부 논의 가능성 언급했다. | ||
** 사외이사 비중 확대: 총 7명 가운데 사외이사 4명 (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구성) | ** 사외이사 비중 확대: 총 7명 가운데 사외이사 4명 (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구성) | ||
** 거버넌스 위원회 | ** 거버넌스 위원회 설치 | ||
==참고== | ==참고==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각주}} | {{각주}} | ||
[[분류:항공사]] | [[분류:항공사]] | ||
[[분류:항공정책]] | [[분류:항공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