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사건/사고) |
(→사건/사고)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사건/사고 == | == 사건/사고 == | ||
* 2024년 9월 17일, [[이지젯]] 여객기 내에서 배터리 폭발, 승객과 승무원 모두 [[비상탈출]] | |||
* 2023년 8월, [[중국동방항공]] 여객기 기내 배터리 폭발로 [[비상착륙]]<ref>[https://airtravelinfo.kr/happening/1538548 보조 배터리 화재 연기, 항공기 비상착륙 소동(2023.8.16)]</ref> | |||
* 2023년 [[2월 7일]], [[유나이티드항공]] 여객기(B737)가 뉴어크 리버티공항으로 비행하던 중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외부 배터리 팩이 발화해 승무원 일부가 부상을 당했다. 항공기는 다시 출발지인 샌디에이고공항으로 되돌아 왔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30208008200075 탑승객 노트북 배터리 화재로 美 항공기 회항…4명 병원 이송(2023.2.8)]</ref> | * 2023년 [[2월 7일]], [[유나이티드항공]] 여객기(B737)가 뉴어크 리버티공항으로 비행하던 중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외부 배터리 팩이 발화해 승무원 일부가 부상을 당했다. 항공기는 다시 출발지인 샌디에이고공항으로 되돌아 왔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30208008200075 탑승객 노트북 배터리 화재로 美 항공기 회항…4명 병원 이송(2023.2.8)]</ref> | ||
* 2023년 1월 10일, [[스쿠트항공]] 여객기가 출발 직전 승객의 휴대전화 배터리가 발화해 되돌아 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2949 스쿠트, 기내서 휴대전화 배터리 폭발 사고(2023.1.13)]</ref> | * 2023년 1월 10일, [[스쿠트항공]] 여객기가 출발 직전 승객의 휴대전화 배터리가 발화해 되돌아 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2949 스쿠트, 기내서 휴대전화 배터리 폭발 사고(2023.1.13)]</ref> | ||
* 2022년 12월 24일, 제트블루 여객기에서 갑자기 화재 발생. 승객 67명 모두 비상탈출 하면서 경미한 부상 발생<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1646 제트블루, 기내에서 배터리 화재로 비상탈출(2022.12.31)]</ref> | * 2022년 12월 24일, 제트블루 여객기에서 갑자기 화재 발생. 승객 67명 모두 비상탈출 하면서 경미한 부상 발생<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1646 제트블루, 기내에서 배터리 화재로 비상탈출(2022.12.31)]</ref> | ||
* 2018년 8월 1일, 라이언에어 승객 배터리 폭발로 비상탈출<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83512 라이언에어, 승객 배터리 화재로 비상 탈출 (동영상)(2018.8.4)]</ref> | |||
* 2018년 2월 25일, [[중국남방항공]] 여객기가 홍차오공항 출발 직전 선반의 승객 수하물에서 화재 발생. 가방 안의 배터리 가 폭발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59929 중국 항공기, 선반 보관한 가방 배터리 화재(2018.2.26)]</ref> | * 2018년 2월 25일, [[중국남방항공]] 여객기가 홍차오공항 출발 직전 선반의 승객 수하물에서 화재 발생. 가방 안의 배터리 가 폭발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59929 중국 항공기, 선반 보관한 가방 배터리 화재(2018.2.26)]</ref> | ||
* 2018년 | * 2018년, [[제주항공 배터리 수송 과징금 부과 취소 소송]] | ||
* 2016년,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45485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2016.1.28)]</ref> | * 2016년,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45485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2016.1.28)]</ref> | ||
* 2016년 4월, 국토부 기내 배터리 휴대 제한 실시<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53678 국토부, 리튬배터리 160Wh 이하만 기내휴대 가능(2016.3.25)]</ref> | |||
* 2016년, 미국 삼성 스마트폰(노트7) 항공기 휴대 금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81935 미국, 스마트폰 노트7 전면 항공기 휴대 금지(2016.10.15)]</ref> | * 2016년, 미국 삼성 스마트폰(노트7) 항공기 휴대 금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181935 미국, 스마트폰 노트7 전면 항공기 휴대 금지(2016.10.15)]</ref> | ||
{{각주}} | {{각주}} |
2024년 9월 25일 (수) 16:15 판
배터리(Battery)
개요
항공여행에서 배터리는 위험품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등 수송 조건이 까다롭다. 승객이 직접 휴대하는 경우에는 상태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으나 화물칸에 실리는 배터리는 기온, 압력 등의 영향으로 자칫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종류
건식 배터리(Dry Cell Battery)
우리가 흔히 "건전지"라고 말하는 것으로 랜턴, 리모콘 등 우리 생활 전반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배터리다. 일반적인 알카리, 망간, 니켈카드뮴, 니켓수소 등의 배터리는 위험물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화물로 다량 탑재하는 경우 항공화물운송장(AWB)에 배터리 관련 내용을 명기해야 한다.
습식 배터리(Wet Cell Battery)
전해질이 존재하는 배터리를 말한다. 차량이나 각종 산업용 기계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수송에서 위험물로 분류된다.
- 용액 누출형 배터리(Spillable battery)
- 용액 비누출형 배터리(Non-spillable battery)
항공 승객과 관련된 부문으로는 전동 휠체어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여기에 해당하는 습식 배터리다.
리튬 배터리(Lithium battery)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 종류로 그 활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로 대표되는 이 배터리는 충격, 압력에 상대적으로 취약해 화재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항공 수송에서는 운송 규정이 매우 까다롭다. 기본적으로 일정 용량 이상은 화물칸에 탑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사건/사고
- 2024년 9월 17일, 이지젯 여객기 내에서 배터리 폭발, 승객과 승무원 모두 비상탈출
- 2023년 8월, 중국동방항공 여객기 기내 배터리 폭발로 비상착륙[1]
- 2023년 2월 7일, 유나이티드항공 여객기(B737)가 뉴어크 리버티공항으로 비행하던 중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외부 배터리 팩이 발화해 승무원 일부가 부상을 당했다. 항공기는 다시 출발지인 샌디에이고공항으로 되돌아 왔다.[2]
- 2023년 1월 10일, 스쿠트항공 여객기가 출발 직전 승객의 휴대전화 배터리가 발화해 되돌아 왔다.[3]
- 2022년 12월 24일, 제트블루 여객기에서 갑자기 화재 발생. 승객 67명 모두 비상탈출 하면서 경미한 부상 발생[4]
- 2018년 8월 1일, 라이언에어 승객 배터리 폭발로 비상탈출[5]
- 2018년 2월 25일, 중국남방항공 여객기가 홍차오공항 출발 직전 선반의 승객 수하물에서 화재 발생. 가방 안의 배터리 가 폭발했다.[6]
- 2018년, 제주항공 배터리 수송 과징금 부과 취소 소송
- 2016년,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7]
- 2016년 4월, 국토부 기내 배터리 휴대 제한 실시[8]
- 2016년, 미국 삼성 스마트폰(노트7) 항공기 휴대 금지[9]
각주
- ↑ 보조 배터리 화재 연기, 항공기 비상착륙 소동(2023.8.16)
- ↑ 탑승객 노트북 배터리 화재로 美 항공기 회항…4명 병원 이송(2023.2.8)
- ↑ 스쿠트, 기내서 휴대전화 배터리 폭발 사고(2023.1.13)
- ↑ 제트블루, 기내에서 배터리 화재로 비상탈출(2022.12.31)
- ↑ 라이언에어, 승객 배터리 화재로 비상 탈출 (동영상)(2018.8.4)
- ↑ 중국 항공기, 선반 보관한 가방 배터리 화재(2018.2.26)
- ↑ ICAO, 여객기 화물칸에 리튬 배터리 탑재 금지(2016.1.28)
- ↑ 국토부, 리튬배터리 160Wh 이하만 기내휴대 가능(2016.3.25)
- ↑ 미국, 스마트폰 노트7 전면 항공기 휴대 금지(2016.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