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문서 : 2025년 2월 12일

2025년 2월 12일: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2024년 항공업계 실익 없었다 … 대한항공 빼고 모두 수익성 급락 ===
=== 2024년 항공업계 실익 없었다 … 대한항공 빼고 모두 수익성 급락 ===
지난해 국내 항공사들 모두 매출 규모는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호실적을 거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실익은 크지 않았다. 오히려 전년보다 이익 규모가 급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환율 상승과 사업량 증가에 따라 대부분 항공사들의 이익 규모가 급락했거나 심지어 적자로 전환된 경우도 있었다. 다만 [[대한항공]]은 전년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했다.<ref>[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1102109932057003 〃손님 많아도 남는건 없었다〃… 항공업계, 대한항공 빼고 영업익 급감(2025.2.11)]</ref>{{각주}}
지난해 국내 항공사들 모두 매출 규모는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호실적을 거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실익은 크지 않았다. 오히려 전년보다 이익 규모가 급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환율 상승과 사업량 증가에 따라 대부분 항공사들의 이익 규모가 급락했거나 심지어 적자로 전환된 경우도 있었다. 다만 [[대한항공]]은 전년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했다.<ref>[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1102109932057003 〃손님 많아도 남는건 없었다〃… 항공업계, 대한항공 빼고 영업익 급감(2025.2.11)]</ref>
 
=== 티웨이항공, 대명소노 공세 적극 대응한다 "항공 전문성 부족" ===
[[티웨이항공]]이 [[대명소노그룹]]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11일 소액주주연대에 서신을 보내 "주주가치 보호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대명소노그룹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주주배정 유상증자가 현실화될 경우 소액주주 지분율 희석과 주가 하락에 대한 손실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1_0003061668 티웨이 "대명소노, 항공 전문성 없어…경영권 적극 대응"(2025.2.11)]</ref>{{각주}}


[[분류:소식]]
[[분류:소식]]

2025년 2월 12일 (수) 07:28 판

최근 항공 소식

4.1 | 4.2 | 4.3 | 4.4 | 4.5 | 4.6 | 4.7 | 오늘 | 4.9 |

2025년 2월 12일자 항공 및 여행 관련 소식이다.

올해도 알테쉬 … 중국발 항공화물 호황

글로벌 이커머스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내 항공업계에 화물 사업이 새로운 수익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도 중국발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쉐인)로 대변되는 온라인 쇼핑 거래가 글로벌화되면서 항공사들의 매출도 커질 전망이다.[1]

2024년 항공업계 실익 없었다 … 대한항공 빼고 모두 수익성 급락

지난해 국내 항공사들 모두 매출 규모는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호실적을 거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실익은 크지 않았다. 오히려 전년보다 이익 규모가 급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환율 상승과 사업량 증가에 따라 대부분 항공사들의 이익 규모가 급락했거나 심지어 적자로 전환된 경우도 있었다. 다만 대한항공은 전년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했다.[2]

티웨이항공, 대명소노 공세 적극 대응한다 "항공 전문성 부족"

티웨이항공대명소노그룹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11일 소액주주연대에 서신을 보내 "주주가치 보호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대명소노그룹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주주배정 유상증자가 현실화될 경우 소액주주 지분율 희석과 주가 하락에 대한 손실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3]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