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분리 매각: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onlyinclude>
<onlyinclude>


2020년 말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결정에 따라 산하 [[LCC]]([[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통합 계획이었으나, 2023년 말까지 합병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통합 LCC 거점이 수도권으로 예상되자 부산시 및 부산지역 기업(동일 등)들이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에어부산을 존속시키기 위해 별도로 분리해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2020년 말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결정에 따라 산하 [[LCC]]([[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통합 계획이었으나, 2023년 말까지 합병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통합 LCC 거점이 수도권으로 예상되자 부산시 및 부산지역 기업(동일 등)들이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에어부산을 존속시키기 위해 별도로 분리해 매각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onlyinclude>
</onlyinclude>
== 배경 ==
에어부산은 출범 당시 부산시와 상공업계 등이 중심이었다. [[아시아나항공]]은 단순히 원활한 신생 항공사 출범을 위해 위탁 경영에 참여했을 뿐이라는 것이 부산시와 상공계의 입장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미 '부산국제항공'이라는 이름으로 회사가 설립된 상태였다. 이후 아시아나항공에게 출자와 위탁경영을 요청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이를 받아들여 46% 지분을 확보했다. 아시아나항공 주도로 사업면허와 [[운항증명]]을 획득한 후 공식 취항했다.
하지만 이후 성장 과정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지속적으로 출자를 더한 반면 부산시와 상공계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면서 50%가 넘었던 지분율이 16%대(2024년 기준)로 떨어졌고, 경영 의사결정과정에서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됐다.
부산 거점의 항공사라는 필요가 강했던 출범 당시의 입장처럼 [[가덕도신공항|가덕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부산 거점 항공사가 필요하다는 부산 지역 민심은 여전하다. 이런 점에서 [[진에어]]와 통합해 본사와 거점을 서울·인천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반대하고 있다.


== 진행 과정 ==
== 진행 과정 ==
19번째 줄: 26번째 줄:
2023년 [[11월 27일]], 에어부산 주식을 보유한 부산시, 부산상의 및 지역 기업 7곳(동일, 서원홀딩스, 아이에스동서, 부산은행, 세운철강, 부산롯데호텔, 윈스틸) 중 부산롯데호텔을 제외한 지역 주주사가 모두 참석해 부산시 주재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에어부산 분리 매각 시 부산시·지역 주주 전담팀'을 구성했다.
2023년 [[11월 27일]], 에어부산 주식을 보유한 부산시, 부산상의 및 지역 기업 7곳(동일, 서원홀딩스, 아이에스동서, 부산은행, 세운철강, 부산롯데호텔, 윈스틸) 중 부산롯데호텔을 제외한 지역 주주사가 모두 참석해 부산시 주재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에어부산 분리 매각 시 부산시·지역 주주 전담팀'을 구성했다.


2023년 12월 12일,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장인화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에게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ref>[https://www.asiae.co.kr/article/2023121308554821228 부산시·부산상의 ‘에어부산 분리매각’ 공식 요청(2023.12.13)]</ref>
2023년 [[12월 12일]],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장인화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에게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ref>[https://www.asiae.co.kr/article/2023121308554821228 부산시·부산상의 ‘에어부산 분리매각’ 공식 요청(2023.12.13)]</ref>
 
2024년 2월,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까지 (조건부) 기업결합 승인을 내리자 에어부산 분리매각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가덕도신공항]]의 성장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 거점 항공사가 필요하다는 이유였다.<ref>[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32610453941701 부산시의회 "대한항공 흡수 전 에어부산 분리매각해야"(2024.3.26)]</ref>
 
2024년 [[5월 7일]], 부산 범시민단체(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미국 결합심사가 확정되기 전에 산업은행을 향해 [[에어부산]] 분리매각 결단을 촉구했다.<ref>[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80535 부산시민단체 “에어부산 분리매각, 산은 미국심사 결정 전 정부 결단해야”(2024.5.7)]</ref>
 
2024년 [[10월 30일]], '에어부산 분리매각 가덕신공항 거점항공사 추진 부산시민운동본부'가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ref>[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103015554771349 부산 시민사회 "대통령이 에어부산 분리매각 결단 내려야"(2024.10.30)]</ref>
 
2024년 11월 28일, 유럽연합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을 승인하며 양사 통합이 확정되자 그에 따른 산하 LCC 통합 역시 확정된 것이나 다름 없게 된다. 이에 부산지역 상공계는 12월 1일 설명서를 내고 '에어부산 분리매각과 관련한 산업은행과 국토교통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 항공사 설립 ==
2024년 11월 유럽연합의 [[기업결합]] 승인으로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이 현실상 어렵게 되자 정부는 [[가덕도신공항|가덕신공항]] 거점의 신규 [[LCC]]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12월 초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부산 지역 국회의원이 가덕신공항 거점 신규 LCC 관련한 비공식 논의를 가졌다. 하지만 부산시와 상공계 및 지역사회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분리매각 등 에어부산 존치 방안을 재차 주장한다는 방침이다.<ref>[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120418074267178 “신규 LCC 설립하라”는 정부에 지역사회 ‘부글부글’(2024.12.4)]</ref>
 
또 한편에서는 에어부산을 [[대한항공]] 자회사로 독립법인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현재 아시아나항공 자회사로 운영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다.
 
2024년 12월 23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및 특별위원회는 2025년초까지 가덕신공항 거점 항공사에 대한 성과가 없으면 부산시민과 가칭 '부산에어'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41223064500051 민주 부산시당, 에어부산 분리매각 난항에 '부산에어' 설립 추진(2024.12.23)]</ref>


== 참고 ==
== 참고 ==

2024년 12월 23일 (월) 12:09 기준 최신판

2020년 합병 합의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관련해 에어부산 분리 매각 움직임

개요[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말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결정에 따라 산하 LCC(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통합 계획이었으나, 2023년 말까지 합병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통합 LCC 거점이 수도권으로 예상되자 부산시 및 부산지역 기업(동일 등)들이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에어부산을 존속시키기 위해 별도로 분리해 매각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배경[편집 | 원본 편집]

에어부산은 출범 당시 부산시와 상공업계 등이 중심이었다. 아시아나항공은 단순히 원활한 신생 항공사 출범을 위해 위탁 경영에 참여했을 뿐이라는 것이 부산시와 상공계의 입장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미 '부산국제항공'이라는 이름으로 회사가 설립된 상태였다. 이후 아시아나항공에게 출자와 위탁경영을 요청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이를 받아들여 46% 지분을 확보했다. 아시아나항공 주도로 사업면허와 운항증명을 획득한 후 공식 취항했다.

하지만 이후 성장 과정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지속적으로 출자를 더한 반면 부산시와 상공계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면서 50%가 넘었던 지분율이 16%대(2024년 기준)로 떨어졌고, 경영 의사결정과정에서 별다른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됐다.

부산 거점의 항공사라는 필요가 강했던 출범 당시의 입장처럼 가덕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부산 거점 항공사가 필요하다는 부산 지역 민심은 여전하다. 이런 점에서 진에어와 통합해 본사와 거점을 서울·인천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반대하고 있다.

진행 과정[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12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방안이 합의되고 산하 LCC가 통합되는 '1 메이저 항공사 + 1 대형 LCC' 계획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합병을 앞두고 부산시와 부산지역 기업 및 시민단체는 지역에 기반을 둔 에어부산이 통합 LCC에 흡수되어 부산 기반 항공사가 사라질 것을 우려해 통합 LCC 본사를 부산에 둘 것을 요구했다. 특히 2029년 말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 개항 관련하여 부산 거점의 항공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당시 이에 대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측은 구체적인 확답을 주지 않은 채 검토해 보겠다는 식의 입장만 표명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통합 LCC 거점이 서울 등 수도권으로 귀결되는 분위기가 짙어졌고, 2023년이 되도록 양사의 합병이 지지부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하는 방안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다시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에어부산을 차라리 분리해 매각하도록 하는 요구가 거세졌다. 에어부산 지분 약 16%를 소유한 부산시와 부산지역 기업들은 컨소시엄(건설사 동일 중심)을 구성해 추가 지분 매입을 추진했다.[1]

2023년 11월, 부산시와 부산상의가 일차적으로 실무단 TF를 구성했고 법률적 검토에 들어갔다. 아시아나항공 주채권단인 산업은행 강석훈 회장도 부산을 찾아 "에어부산 인수에 대한 지역 기업의 의지, 존치 취지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2][3]

2023년 11월 27일, 에어부산 주식을 보유한 부산시, 부산상의 및 지역 기업 7곳(동일, 서원홀딩스, 아이에스동서, 부산은행, 세운철강, 부산롯데호텔, 윈스틸) 중 부산롯데호텔을 제외한 지역 주주사가 모두 참석해 부산시 주재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에어부산 분리 매각 시 부산시·지역 주주 전담팀'을 구성했다.

2023년 12월 12일,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장인화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에게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4]

2024년 2월,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까지 (조건부) 기업결합 승인을 내리자 에어부산 분리매각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가덕도신공항의 성장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 거점 항공사가 필요하다는 이유였다.[5]

2024년 5월 7일, 부산 범시민단체(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미국 결합심사가 확정되기 전에 산업은행을 향해 에어부산 분리매각 결단을 촉구했다.[6]

2024년 10월 30일, '에어부산 분리매각 가덕신공항 거점항공사 추진 부산시민운동본부'가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7]

2024년 11월 28일, 유럽연합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을 승인하며 양사 통합이 확정되자 그에 따른 산하 LCC 통합 역시 확정된 것이나 다름 없게 된다. 이에 부산지역 상공계는 12월 1일 설명서를 내고 '에어부산 분리매각과 관련한 산업은행과 국토교통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항공사 설립[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11월 유럽연합의 기업결합 승인으로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이 현실상 어렵게 되자 정부는 가덕신공항 거점의 신규 LCC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12월 초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부산 지역 국회의원이 가덕신공항 거점 신규 LCC 관련한 비공식 논의를 가졌다. 하지만 부산시와 상공계 및 지역사회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분리매각 등 에어부산 존치 방안을 재차 주장한다는 방침이다.[8]

또 한편에서는 에어부산을 대한항공 자회사로 독립법인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현재 아시아나항공 자회사로 운영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다.

2024년 12월 23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및 특별위원회는 2025년초까지 가덕신공항 거점 항공사에 대한 성과가 없으면 부산시민과 가칭 '부산에어'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9]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