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역사(11월 14일)
11월 14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 사고 및 기록
1910년
미 해군 소속 Eugene Burton Ely, 사상 최초로 선상(USS 버밍햄) 이륙에 성공했다.
1930년
1928년 Imperial Airways(영국) 요청에 따라 개발하기 시작한 4발 복엽기 Handley Page H.P.42, 처음 비행에 성공했다.
![ASrvV0y.jpg](https://i.imgur.com/ASrvV0y.jpg)
1932년
여성 조종사 Amy Johnson은 런던-케이프타운까지 Havilland Puss Moth를 조종해 새로운 비행기록(속도)을 세웠다. 이날 출발, 18일 케이프타운에 도착해, 그해 봄 남편인 Jim Mollison이 세웠던 비행기록을 11시간이나 단축하게 된다.
1938년
네덜란드 항공인 KLM 소속 항공기(DC-3)가 시정이 악화된 상태에서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으로 접근하던 중 추락해 탑승자 19명 중 6명 사망했다.
1946년
KLM 소속 Douglas DC-3 항공기가 악천후 속에 암스테르담 스키폴공항으로 착륙 중 사고로 탑승자 26명 전원 사망했다. 항공기는 앞서 2번의 복행(Missed Approach, Go-Around) 후에 3번째 착륙을 시도했으나 활주로에 강하게 충돌하면서 사고로 이어졌다. KLM은 1938년에 이어 같은 날 같은 기종에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8일 전에는 KLM 소속 동일 항공기종(DC-3)이 역시 악천후 속에 런던 크로이든 공항에 착륙 중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사망자 없었으나 기체는 폐기)
1953년
우리나라 국립 항공대학, 4년제 대학으로 개편
1961년
Zantop Air Transport 소속 Douglas DC-4 항공기가 신시내티공항 접근 중 장애물(나무)에 걸리면서 방향을 잃고 추락해 탑승자 3명 사망했다.
1968년
정부, 대한항공공사의 민영화 방침 확정
1969년
두번 째 유인 우주선인 아폴로 12호가 달을 향해 출발했다.
1970년
Southern Air 소속 932편 항공기(DC-9)가 노스캐롤라이나 킹스톤에서 버지니아 세레도로 비행해 Tri-State 공항 접근 중 언덕에 충돌해 탑승자 75명 전원 사망했다. 그 중 37명은 Marshall 대학 풋볼팀 선수들이었다.
사고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조종실 장비와 고도계 오류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이 사고를 바탕으로 'We are Marshall' 이라는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1974년
첫 F-15 Eagle 전투기가 미공군에 인도되어 실전 배치에 들어갔다.
1982년
일본 시즈오카 하마마츠에서 열린 에어쇼에서 시범 비행 중이던 일본 공군 비행시범단 소속 Mitsubishi T-2B 비행기가 주택가로 추락해 조종사 1명 사망, 28명이 크게 다치고 290대 차량이 파손되었다.
1987년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을 베이스로 설립된 Air Transat 이 첫 비행(몬트리올 - 아카풀코)을 시작했다.
1990년
알이탈리아(Alitalia) 항공 소속 404편 항공기(DC-9)가 스위스 취리히공항 인근 산에 충돌해 탑승자 46명 전원 사망했다. 항공기의 계기착륙장치인 ILS 수신부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1999년
아프리카 항공 자유화 협정인 Yamoussoukro Declaration 체결
![120425_dlh747-8-640.jpg](https://blog-imgs-53.fc2.com/7/7/7/7774787/120425_dlh747-8-640.jpg)
2005년
보잉사가 B747-400 대형 항공기 성능을 대폭 개선한 B747-8 시리즈 개발에 들어간다고 공식 발표했다.
개발 시작한 지 5년 만인 2010년 2월 8일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초도 비행 성공 이후, 화물기인 B747-8F는 2011년 10월 12일 Cargolux, 여객기인 B747-8i는 2012년 6월 1일 루프트한자를 통해 공식 상용 비행에 들어갔다. 2021년 7월 기준, 총 145대 생산되었다.
하지만 대형 항공기 수요의 감소로 인해 보잉은 B747 기종 생산을 중단할 예정으로 B747-8 기종의 운명도 밝지만은 않다.[1][2]
2024년
에어버스 협동체 기종인 A321neo 계열 A321XLR 기종이 대서양 횡단 노선(마드리드-보스턴)에서 상업 비행을 시작했다.[3]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