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948
번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항공위키는 항공, 비행, 여행과 관련된 내용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 외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삭제 혹은 변경될 수 있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요약 없음 |
(→사건 흐름)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동일 기종 항공기, 그것도 출고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형 항공기가 불과 5개월 사이에 연속으로 추락했고, 그 유형까지 유사하자 단순한 조종 실수가 아닌 근본적인 항공기 결함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 사고 이후 동일 기종을 96대나 보유한 중국이 사고가 발생한지 채 20시간도 안돼 해당 기종 운항 중지 명령을 내렸다. 항공사 자체 결정이 아닌 국가 주도로 특정 항공기종 비행이 금지된 것이었다. | 동일 기종 항공기, 그것도 출고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형 항공기가 불과 5개월 사이에 연속으로 추락했고, 그 유형까지 유사하자 단순한 조종 실수가 아닌 근본적인 항공기 결함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 사고 이후 동일 기종을 96대나 보유한 중국이 사고가 발생한지 채 20시간도 안돼 해당 기종 운항 중지 명령을 내렸다. 항공사 자체 결정이 아닌 국가 주도로 특정 항공기종 비행이 금지된 것이었다. | ||
중국이 운항 금지 조치가 나왔지만 미국 항공당국([[FAA]])은 해당 기종 운항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하지만 항공기 추락사고가 이전 [[라이온에어]] 추락사고 유사성이 지속 제기되었고 중국의 선제 조치 영향으로 전세계 항공사들은 물론 영국, 프랑스 등 국가 차원에서 운항을 중지시키는 분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결국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항공사]] B737 MAX 기종 운항 중단 지시가 나오면서 해당 기종은 전 세계 하늘에서 (상업)비행이 중지되었다. | 중국이 운항 금지 조치가 나왔지만 미국 항공당국([[FAA]])은 해당 기종 운항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하지만 항공기 추락사고가 이전 [[라이온에어]] 추락사고 유사성이 지속 제기되었고 중국의 선제 조치 영향으로 전세계 항공사들은 물론 영국, 프랑스 등 국가 차원에서 운항을 중지시키는 분위기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결국 3월 13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항공사]] B737 MAX 기종 운항 중단 지시가 나오면서 해당 기종은 전 세계 하늘에서 (상업)비행이 중지되었다. | ||
보잉은 사고를 일으킨 결정적인 환경이 [[실속]]방지 장치 소프트웨어([[MCAS]], 조종특성향상시스템)에 있다고 보고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으로 개선했다. 미국 항공당국은 전 세계 주요 국가 항공규제기관을 개선 과정에 참가시켰으며, 5월 FAA 청장은 'B737 MAX 운항 중단 일정을 연장할 필요없다'며 개선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알렸다. 하지만 실제 개선이 더뎌지면서 항공업계는 2019년내 운항 재개에 부정적 전망을 | 보잉은 사고를 일으킨 결정적인 환경이 [[실속]]방지 장치 소프트웨어([[MCAS]], 조종특성향상시스템)에 있다고 보고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으로 개선했다. 미국 항공당국은 전 세계 주요 국가 항공규제기관을 개선 과정에 참가시켰으며, 5월 FAA 청장은 'B737 MAX 운항 중단 일정을 연장할 필요없다'며 개선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알렸다. 하지만 실제 개선이 더뎌지면서 항공업계는 2019년내 운항 재개에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 ||
[[FAA]]는 저경력 조종사 등을 모집해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2019년 9월 기준 최종 검증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 [[FAA]]는 저경력 조종사 등을 모집해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2019년 9월 기준 최종 검증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됐다. 유럽 항공안전청([[EASA]]) 역시 자체 조종사를 미국에 파견해 FAA와 합동으로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 ||
FAA는 2019년내 안전검증 완료 예정으로 2020년 1월부터는 운항 재개 가능할 것으로 | FAA는 2019년내 안전검증 완료 예정으로 2020년 1월부터는 운항 재개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유럽안전청은 미국과는 별개로 2020년 1월경 자체 검증을 통해 인증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 ||
2019년 11월, FAA는 B737 MAX 항공기에 대해서 그동안 제조사가 수행했던 출고전 [[감항증명]] 인증서 및 수출 증명서 발급 권한을 회수하고 FAA가 직접 전수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보잉에 통보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49003 美 FAA, 보잉 B737 MAX 항공사 인도 전에 직접 전수 검사한다]</ref> 2019년 11월 기준 보잉이 제작해 보관하고 있는 B737 MAX 항공기는 약 400대(추정)에 | 2019년 11월, FAA는 B737 MAX 항공기에 대해서 그동안 제조사가 수행했던 출고전 [[감항증명]] 인증서 및 수출 증명서 발급 권한을 회수하고 FAA가 직접 전수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보잉에 통보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49003 美 FAA, 보잉 B737 MAX 항공사 인도 전에 직접 전수 검사한다]</ref> 2019년 11월 기준 보잉이 제작해 보관하고 있는 B737 MAX 항공기는 약 400대(추정)에 이르렀다. | ||
2019년 12월, 전망했던 항공기 [[FAA]] 재인증(면허 갱신)이 2020년 초로 연기되면서 보잉은 B737 MAX 항공기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50944 보잉, B737 MAX 생산 내년 초 잠정 중단 ·· 재고 포화?]</ref> | 2019년 12월, 전망했던 항공기 [[FAA]] 재인증(면허 갱신)이 2020년 초로 연기되면서 보잉은 B737 MAX 항공기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50944 보잉, B737 MAX 생산 내년 초 잠정 중단 ·· 재고 포화?]</ref> | ||
2020년 1월, B737 MAX 재인증 과정이 지연되고 있으나 [[FAA]]는 새로운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연 중반에는 비행 가능할 수 있다고 항공업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은 B737 MAX 항공기 재운항 시기를 각각 8, 9월 등으로 | 2020년 1월, B737 MAX 재인증 과정이 지연되고 있으나 [[FAA]]는 새로운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연 중반에는 비행 가능할 수 있다고 항공업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은 B737 MAX 항공기 재운항 시기를 각각 8, 9월 등으로 연기했다. | ||
20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면서 B737 MAX 기종의 안정성 확인 업무가 지연되었다. 보잉은 자체 테스트 비행을 2천 시간 이상 실시했으며, 미 연방항공청(FAA)는 6월 29일부터 3일에 걸쳐 FAA 소속 조종사들이 탑승한 가운데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연방항공청 관계자는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지만 비행 중 수집된 데이터 등을 통한 많은 검증 작업들이 남았다'며 비행 재개까지 시간이 더 필요함을 밝혔다. | 20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면서 B737 MAX 기종의 안정성 확인 업무가 지연되었다. 보잉은 자체 테스트 비행을 2천 시간 이상 실시했으며, 미 연방항공청(FAA)는 6월 29일부터 3일에 걸쳐 FAA 소속 조종사들이 탑승한 가운데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연방항공청 관계자는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지만 비행 중 수집된 데이터 등을 통한 많은 검증 작업들이 남았다'며 비행 재개까지 시간이 더 필요함을 밝혔다. | ||
2020년 [[9월 30일]], 미국 [[FAA]]청장이 직접 조종하는 시험비행이 이뤄졌으며 이때 청장은 만족감을 표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11월 경에는 미국 FAA와 유럽 [[EASA]] 등의 비행재개 허가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 2020년 [[9월 30일]], 미국 [[FAA]]청장이 직접 조종하는 시험비행이 이뤄졌으며 이때 청장은 만족감을 표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11월 경에는 미국 FAA와 유럽 [[EASA]] 등의 비행재개 허가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
===운항 재개=== | ===운항 재개===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우리나라(2021년 11월)와 중국(12월)도 B737 MAX 기종의 비행금지 제한을 해제하며 사실상 전 세계적으로 제한됐던 비행이 대부분 풀리며 정상화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1733 국토교통부, B737 MAX 비행 중지 해제 ·· 2년8개월 만]</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5009 중국도 B737 MAX 비행 재개 허용 ·· 전 세계 대부분 제한 해제]</ref> 2022년 [[1월 9일]], [[하이난항공]] 소속 B737 MAX 항공기가 비행을 시작했다.<ref>[https://m.yna.co.kr/view/AKR20220110144900083 중국, 보잉 737맥스 3년만에 운항 재개…승객은 안 태워]</ref> | 우리나라(2021년 11월)와 중국(12월)도 B737 MAX 기종의 비행금지 제한을 해제하며 사실상 전 세계적으로 제한됐던 비행이 대부분 풀리며 정상화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1733 국토교통부, B737 MAX 비행 중지 해제 ·· 2년8개월 만]</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65009 중국도 B737 MAX 비행 재개 허용 ·· 전 세계 대부분 제한 해제]</ref> 2022년 [[1월 9일]], [[하이난항공]] 소속 B737 MAX 항공기가 비행을 시작했다.<ref>[https://m.yna.co.kr/view/AKR20220110144900083 중국, 보잉 737맥스 3년만에 운항 재개…승객은 안 태워]</ref> | ||
추락사고 피해 당사국이었던 인도네시아는 12월 운항금지 조치를 해제했으며 에티오피아도 2022년 2월 운항 재개 준비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0377 인도네시아도 B737 MAX 기종 운항금지 해제]</ref> | 추락사고 피해 당사국이었던 인도네시아는 2021년 12월 운항금지 조치를 해제했으며 에티오피아도 2022년 2월 운항 재개 준비에 들어갔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0377 인도네시아도 B737 MAX 기종 운항금지 해제]</ref> | ||
==항공기 결함== | ==항공기 결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