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1
KT-1(웅비), 대한민국의 조종사 훈련기로 우리 기술로 처음 제작한 군용 항공기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이 설계한 비행기로 전투기 조종사 훈련생들이 기초 조종술을 익히기 위해 활용하는 훈련기로 사용된다. 양산에 성공하면서 상업적으로도 가능성을 보여준 비행기다. 웅비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개발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88년, 개발 계획 결정
- 1991년 12월 12일, 첫 시험 비행 성공
- 1999년 11월 3일, 양산 시작
- 2001년, 인도네시아 조종 훈련기로 12대 수출 결정
- 2007년, 터키로 40대 수출 확정
제원[편집 | 원본 편집]
- 조종사: 2명
- 길이: 10.26 m
- 날개폭(윙스팬): 10.60 m
- 중량: 1,872 kg (4,127 lb)
- 탑재중량: 2,422 kg ()
- 최대이륙중량: 2,495 kg (5,500 lb)
- 엔진: 1× Pratt & Whitney Canada PT6A-62, 950 hp (708 kW)
- 최대속도: 648 km/h (350 knots)
- 항속거리: 1,688 km (900 n mi)
생산[편집 | 원본 편집]
- 2019년 기준, 197대 생산 (KT-1 베이스로 개발한 전선통제기 KA-1 포함)
- 대한민국 공군에서 102대 운용 (KT-1 82대, KA-1 19대)
수출[편집 | 원본 편집]
- 인도네시아: 17대
- 터키: 40대 (15대 옵션 별도)
- 페루: 20대 (2억 달러 규모, 2012년)
- 세네갈: 4대 + ∝ (2020년 4대 + 2022년 ∝)[1]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 2022년 12월 26일, 공군 8전투비행단 소속 KA-1 전술통제기 추락. 조종사 2명 모두 비상탈출[2]
- 2022년 4월 1일, 공중충돌 사고 : 사천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KT-1 훈련기 2대가 불과 5분 만에 공중충돌해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하고 있던 조종사 4명 모두 비상탈출했지만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3]
- 2003년 11월 : 추락사고로 조종사 1명 사망. 조종사의 엔진전자제어장치 스위치 조작 잘못이 사고 원인이었다.
대한민국 비행기 개발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개발 비행기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