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Toggle preferences menu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잔글 (문구 수정)
잔글 (added Category:공항 using HotCat)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空港, Airport)==
[[공항]](空港 Airport):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비행장]]에 항공교통 공공 서비스 기능을 포함한 시설을 말한다.
[[file:airport_lhr.jpg|thumb|400px|영국 히드로공항]]


공항은 상업용 비행기가 출도착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공개 비행장을 말한다. 영어로는 Airport 라는 명칭으로 Seaport 와 반대되는 개념의 용어로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이용하는 항구라는 뜻이다. ''''Airport'''' 공항/비행장에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지만 정확히는 공항은 Airport, 비행장은 Airfield 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 개요 ==
[[file:airport_lhr.jpg|thumb|영국 런던 히드로공항]][[공항]]은 상업용 [[비행기]]가 출도착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공개 비행장을 말한다. 영어로는 Airport Seaport 와 반대되는 개념의 용어로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이용하는 항구를 Airport 로 배가 이용하는 항구를 Seaport 로 구분했다고 할 수 있다. ''''Airport''''라는 용어를 [[공항]]/[[비행장]]에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지만 정확히는 [[공항]]은 Airport, 비행장은 Airfield 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Airfield 라는 명칭은 주로 군부대 비행장을 일컫기도 한다.


==공항이 갖추어야 할 요소==
[[공항]]이 비행장과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비행장(Airfield)은 단순히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시설과 요건만 갖추면 되지만 [[공항]](Airport)은 [[비행장]]에 상업적인 기능이 더해진다는 점이다. 즉 [[승객]]이나 [[화물]]이 이용하는 [[터미널]]을 갖추야 하고 그에 따른 제도적 시설을 갖춘 곳을 [[공항]]이라 할 수 있다.


==공항이 갖추어야 할 요소==
== 운항 범위에 따른 구분 ==
공항이 비행장(Airfield)과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비행장은 단순히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시설과 요건만 갖추면 되지만 공항(Airport)은 비행장에 상업적인 기능이 더해진다는 점이다. 즉 승객이나 화물이 이용하는 터미널을 갖추야 하고 그에 따른 제도적 시설을 갖춘 곳을 공항이라 할 수 있다.


===국내공항(Domestic Airport)===


==국내공항(Domestic Airport)==
한 국가 내의 도시 간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하며, 기본적으로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활주로]](Runway)와 상업적 시설인 여객/화물 [[터미널]](Terminal)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 국가 내의 도시 간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하며, 기본적으로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활주로(Runway)와 상업적 시설인 여객/화물 터미널(Terminal)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국제공항(International Airport)===


==국제공항(International Airport)==
국제공항은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는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한다. 국제공항에는 국내공항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활주로]], [[터미널]] 외에 [[출입국심사]](Immigration) 기능과 [[검역]](Quarantine) 기능을 갖추고 있다. 세계 최초로 국제항공편을 정기적으로 운영한 [[공항]]은 영국의 Hounslow Health Aerodrome (1919년 8월) 이다.  
국제공항은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는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한다. 국제공항에는 국내공항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활주로, 터미널 외에 출입국심사(Immigration) 기능과 검역(Quarantine) 기능을 갖추고 있다. 세계 최초로 국제항공편을 정기적으로 운영한 공항은 영국의 Hounslow Health Aerodrome (1919년 8월) 이다.  


전 세계에 약 1,200개의 국제공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약 1,200개의 국제공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혼잡도에 따른 공항 구분(IATA) ==
[[IATA]]는 특정 항공편이 출도착하는 시간대인 [[슬롯]]의 규모와 여유에 따라 [[공항]] 혼잡도를 구분한다.<ref>[https://airtravelinfo.kr/apoinfo/1470447 전세계 공항별 슬롯 가이드라인 (S21, W21 & S22) … Annex 12.7]</ref>
{{참고
| 참고1 = WSG
| 참고2 =
| 참고3 =
}}
=== 1종 공항(Level 1 Airport) ===
언제라도 항공기 운영자의 신청에 따라 항공기 운항이 가능할 정도로 슬롯 여유가 충분한 공항이다.
=== 2종 공항(Level 2 Airport) ===
일간, 주간 혹은 시즌 중 잠재적으로 일부 혼잡(정체) 가능성을 가진 공항을 말한다. 항공사의 항공기 스케줄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항공사]]는 해당 공항 당국에 Slot 사용 계획을 사전에 제출하여 확인을 받으면 되는 공항을 말한다.
=== 3종 공항(Level 3 Airport) ===
공항 수용 능력의 한계로 항공기 운영자의 신청대로 슬롯 배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혼잡도가 큰 공항을 말한다. 공항 운영당국의 조정, 배분, 승인이 필요하다. 각 국가의 관문 공항 등 대형 공항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공항 가운데서는 [[인천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이 레벨3에 해당한다.
==크기에 따른 분류(ICAO)==
비행장의 등급은 공항에서 운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합한 비행장 시설을 하기 위하여 항공기의 성능 및 특성에 따라 공항 설계 기준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부호체계로서 문자 및 숫자, 부호 또는 기타 종류로 비행장을 분류한다. ex) '2C', '3C', '4D'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등급
!활주로 길이(m)
!등급부호
!날개폭(m)
! 외측차륜간격(m)
|-
|1
|800 미만
|A
|15 미만
|4.5 미만
|-
|2
|800~1200
|B
|15~24
|4.5~6
|-
|3
|1200~1600
|C
|24~36
|6~8
|-
| rowspan="2" |4
| rowspan="2" |1800 이상
|D
|36~52
|9~14
|-
|E
|53~60
|9~14
|}
== 대한민국 분류 ==
=== 역할에 따른 구분 ===
우리나라 [[국토교통부]]가 설정한 국내 지역에서의 역할에 따른 구분이다.
{| class="wikitable"
!구분
!성격
!세부 기능
!비고
|-
|중추공항
|글로벌 항공시장에서 국가를 대표
|전세계 항공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동북아지역의 허브
| rowspan="2" |국제선 출도착 등 국가 또는 권역별 [[관문공항]] 기능 수행
|-
|[[거점공항]]
|권역 내 거점
|권역을 중심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수요 처리
|-
|일반공항
|주변지역 수요 담당
| 주변지역의 국내선 수요 위추 처리
|
|}
=== 공항운영등급 ===
공항운영등급제는 공항의 특성 및 항공기의 운항 규모 등을 감안하여 해당 등급에 맞는 “공항운영증명서(AOC)”를 발급하고 공항의 안전운영기준을 공항의 특성 즉, 등급에 맞게 차등 적용하는 제도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전세계가 추구하는 안전성(safety), 효율성(efficiency), 규칙성(regularity)의 균형을 이루는 정책, 즉 공항의 규모나 특성에 맞게 합리적으로 안전기준을 차등 적용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공항범주
!구분 기준
!대상 공항
|-
|Class I
|국내/국제항공운송, 최근 5년 평균 연간 운항횟수 3만 회 이상
|인천, 김포, 제주, 김해
|-
|Class II
|국내/국제항공운송, 최근 5년 평균 연간 운항횟수 3만 회 미만
|대구, 청주, 무안, 양양
|-
|Class III
|국내항공운송에만 사용되는 공항
|광주, 여수
|-
|Class IV
|기타 항공운송(부정기편, 소형 항공기운송사업)에 사용되는 공항
|
|}


==기타==
==기타==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1004353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공항은?]<ref>공항(Airport)이라는 이름으로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비행기 개발을 위한 비행장 개념이었다.</ref>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1004353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공항은?]<ref>공항(Airport)이라는 이름으로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비행기 개발을 위한 비행장 개념이었다.</ref>
*[[우리나라 공항 역사]]
*[[대한민국 공항 현황]]


==참고==
==참고==


[[분류:공항]] [[분류:항공기]] [[분류:여객]]
*[[공항 코드]](Airport Code)
*[[항공사 코드]](Carrier Code)
*[[비행장]]
 
{{각주}}
 
[[분류:공항]]

2023년 10월 4일 (수) 10:48 기준 최신판

공항(空港 Airport):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비행장에 항공교통 공공 서비스 기능을 포함한 시설을 말한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영국 런던 히드로공항

공항은 상업용 비행기가 출도착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공개 비행장을 말한다. 영어로는 Airport 로 Seaport 와 반대되는 개념의 용어로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이용하는 항구를 Airport 로 배가 이용하는 항구를 Seaport 로 구분했다고 할 수 있다. 'Airport'라는 용어를 공항/비행장에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지만 정확히는 공항은 Airport, 비행장은 Airfield 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Airfield 라는 명칭은 주로 군부대 비행장을 일컫기도 한다.

공항이 갖추어야 할 요소[편집 | 원본 편집]

공항이 비행장과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비행장(Airfield)은 단순히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시설과 요건만 갖추면 되지만 공항(Airport)은 비행장에 상업적인 기능이 더해진다는 점이다. 즉 승객이나 화물이 이용하는 터미널을 갖추야 하고 그에 따른 제도적 시설을 갖춘 곳을 공항이라 할 수 있다.

운항 범위에 따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국내공항(Domestic Airport)[편집 | 원본 편집]

한 국가 내의 도시 간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하며, 기본적으로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활주로(Runway)와 상업적 시설인 여객/화물 터미널(Terminal)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국제공항(International Airport)[편집 | 원본 편집]

국제공항은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는 항공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을 말한다. 국제공항에는 국내공항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활주로, 터미널 외에 출입국심사(Immigration) 기능과 검역(Quarantine) 기능을 갖추고 있다. 세계 최초로 국제항공편을 정기적으로 운영한 공항은 영국의 Hounslow Health Aerodrome (1919년 8월) 이다.

전 세계에 약 1,200개의 국제공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혼잡도에 따른 공항 구분(IATA)[편집 | 원본 편집]

IATA는 특정 항공편이 출도착하는 시간대인 슬롯의 규모와 여유에 따라 공항 혼잡도를 구분한다.[1]

WSG 참고

1종 공항(Level 1 Airport)[편집 | 원본 편집]

언제라도 항공기 운영자의 신청에 따라 항공기 운항이 가능할 정도로 슬롯 여유가 충분한 공항이다.

2종 공항(Level 2 Airport)[편집 | 원본 편집]

일간, 주간 혹은 시즌 중 잠재적으로 일부 혼잡(정체) 가능성을 가진 공항을 말한다. 항공사의 항공기 스케줄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항공사는 해당 공항 당국에 Slot 사용 계획을 사전에 제출하여 확인을 받으면 되는 공항을 말한다.

3종 공항(Level 3 Airport)[편집 | 원본 편집]

공항 수용 능력의 한계로 항공기 운영자의 신청대로 슬롯 배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혼잡도가 큰 공항을 말한다. 공항 운영당국의 조정, 배분, 승인이 필요하다. 각 국가의 관문 공항 등 대형 공항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공항 가운데서는 인천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이 레벨3에 해당한다.

크기에 따른 분류(ICAO)[편집 | 원본 편집]

비행장의 등급은 공항에서 운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합한 비행장 시설을 하기 위하여 항공기의 성능 및 특성에 따라 공항 설계 기준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부호체계로서 문자 및 숫자, 부호 또는 기타 종류로 비행장을 분류한다. ex) '2C', '3C', '4D'

등급 활주로 길이(m) 등급부호 날개폭(m) 외측차륜간격(m)
1 800 미만 A 15 미만 4.5 미만
2 800~1200 B 15~24 4.5~6
3 1200~1600 C 24~36 6~8
4 1800 이상 D 36~52 9~14
E 53~60 9~14

대한민국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역할에 따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 국토교통부가 설정한 국내 지역에서의 역할에 따른 구분이다.

구분 성격 세부 기능 비고
중추공항 글로벌 항공시장에서 국가를 대표 전세계 항공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동북아지역의 허브 국제선 출도착 등 국가 또는 권역별 관문공항 기능 수행
거점공항 권역 내 거점 권역을 중심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수요 처리
일반공항 주변지역 수요 담당 주변지역의 국내선 수요 위추 처리

공항운영등급[편집 | 원본 편집]

공항운영등급제는 공항의 특성 및 항공기의 운항 규모 등을 감안하여 해당 등급에 맞는 “공항운영증명서(AOC)”를 발급하고 공항의 안전운영기준을 공항의 특성 즉, 등급에 맞게 차등 적용하는 제도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전세계가 추구하는 안전성(safety), 효율성(efficiency), 규칙성(regularity)의 균형을 이루는 정책, 즉 공항의 규모나 특성에 맞게 합리적으로 안전기준을 차등 적용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공항범주 구분 기준 대상 공항
Class I 국내/국제항공운송, 최근 5년 평균 연간 운항횟수 3만 회 이상 인천, 김포, 제주, 김해
Class II 국내/국제항공운송, 최근 5년 평균 연간 운항횟수 3만 회 미만 대구, 청주, 무안, 양양
Class III 국내항공운송에만 사용되는 공항 광주, 여수
Class IV 기타 항공운송(부정기편, 소형 항공기운송사업)에 사용되는 공항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전세계 공항별 슬롯 가이드라인 (S21, W21 & S22) … Annex 12.7
  2. 공항(Airport)이라는 이름으로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비행기 개발을 위한 비행장 개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