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Toggle preferences menu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ile:jinair_logo.jpg|thumb|300px|진에어 로고]]
==진에어(Jin Air)==
{{항공사
{{항공사
|airlines=진에어  
|airlines=진에어  
9번째 줄: 5번째 줄:
|callsign=JIN AIR
|callsign=JIN AIR
|homepage=[http://www.jinair.com jinair.com]
|homepage=[http://www.jinair.com jinair.com]
|start=2008년 1월 23일
|start=2008년 [[1월 23일]]
|flying=2008년 [[7월 17일]]
|end=
|end=
|airplane=28대
|age={{나이|2008|1|23}}
|pax=8,660,296명 (2019년)
|airplane=29대
|revenue=9,102억 원 (2019년, 개별매출)<ref>2018년 매출 1조 원을 넘겼으나 2019년 업황 악화와 국토부 제재 등으로 역성장했다.</ref>
|pax=9,826,824명(2023년)
|revenue=1조2772억 원(2023년/개별)
|img=파일:Boeing 777-2B5ER ‘HL7733’ Jin Air (48587894702).jpg
}}
}}
진에어(Jin Air): [[대한항공]]이 출자해 2008년 출범한 [[저비용항공사]]
== 개요 ==
우리나라에서 [[LCC]] 사업 모델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을 고려해 유럽·미국과 같은 저가 항공[[운임]]을 제공하는 LCC가 아닌 그 과도기 단계 성격의 저비용항공사로 '프리미엄 LCC'를 지향하며 출범했다.


[[대한항공]]이 출자해 설립한 [[저비용항공사]]로 '프리미엄 LCC'를 지향한다. 우리나라에서 [[LCC]] 사업모델 전망 불투명으로 인해 유럽, 미국과 같은 저가 항공[[운임]]을 제공하는 LCC가 아닌 그 과도기 단계 성격의 저비용항공사를 표방하고 있어 초저가 [[운임]]은 제공하지 않거나 매우 적으며 대신 좌석간 [[피치]], 무료 [[기내식]] 등으로 여타 저비용항공사 모델과 특징을 달리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대 들어서면서 치열한 가격 경쟁 속에 초저가 [[운임]] 등을 제공하고 무료 [[기내식]] 등을 없애며 여타 저비용항공사와 같은 카테고리로 전환되었다.


==연혁==
==연혁==


* 2008년 1월 23일 : 진에어 설립
* 2008년 [[1월 23일]]: 진에어 설립
* 2008년 7월 17일 : 상업비행 시작 (김포-제주)
* 2008년 [[7월 17일]]: 상업비행 시작 (김포-제주)
* 2009년 12월 : 국제선(인천-방콕) 취항
* 2009년 12월: 국제선(인천-방콕) 취항
* 2013년 11월 : 화물운송 사업 개시
* 2013년 11월: 화물운송 사업 개시
* 2015년 3월 : 국내 [[LCC]] 최초로 [[CAT]]-IIIb 등급 인가
* 2015년 3월: 국내 [[LCC]] 최초로 [[CAT]]-IIIb 등급 인가
* 2017년 12월 :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7년 12월: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8년 8월 : 국토부, 외국인 등기임원 재직 위반 혐의로 면허취소 대신 신규 [[취항]], 증편, 신규 항공기 등록, 신규 채용 금지 등 제재 시작 ([[진에어 국토부 제재]])
* 2018년 8월: 국토부, 외국인 등기임원 재직 위반 혐의로 면허취소 대신 신규 [[취항]], 증편, 신규 항공기 등록, 신규 채용 금지 등 제재 시작 ([[진에어 국토부 제재]] → 2020년 3월 31일 해제됨)
* 2020년 3월 31일, 국토교통부 제재 해제
* 2022년 [[10월 30일]], 무료 [[기내식]] 서비스 종료<ref name=":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07242 진에어, 무료 기내식 서비스 종료]</ref>
 
===코로나19 사태와 경영 위기===
2019년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매출감소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업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맞았으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 재무구조는 이전 대비 크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참고
| 참고1 = 한일 갈등과 항공편 감축
| 참고2 = 코로나19 사태와 국적 항공사 경영 위기
| 참고3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자본·부채 현황 (개별, 단위: 억 원)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비고
|-
|자본총계
|2662
|1917
|982
|1727
| 1090
|1430
|
|-
|부채총계
|2533
|5127
|4586
|4288
|6629
|8093
|
|-
|부채비율(%)
|95.17
|267.37
|467.20
|248.25
|607.87
|566.02
|
|-
|자본잠식률(%)
| N/A
| N/A
| N/A
| N/A
| N/A
| N/A
|2022년 3분기 완전 자본잠식
|}


==유니폼==
==유니폼 ==


진에어 직원 유니폼은 여타 [[항공사]]와 달리 캐쥬얼한 분위기다. 청바지(진)와 셔츠, 그리고 스니커즈 형태의 신발이 기본이며 형광 그린색 야구 모자를 착용하기도 했다. [[객실승무원]] 역시 같은 유니폼이나 최근에는 야구 모자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운항승무원]] 역시 청바지에 자켓을 착용하고 있다. 2019년 7월부터 블랙진/청치마로 제작한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진에어 직원 유니폼은 여타 [[항공사]]와 달리 캐쥬얼한 분위기다. 청바지(진)와 셔츠, 그리고 스니커즈 형태의 신발이 기본이며 형광 그린색 야구 모자를 착용하기도 했다. [[객실승무원]] 역시 같은 유니폼이나 최근에는 야구 모자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운항승무원]] 역시 청바지에 자켓을 착용하고 있다. 2019년 7월부터 블랙진/청치마로 제작한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노선==
==특징==


===노선 특징===
=== 노선===


진에어는 [[저비용항공사]]가 일반적으로 단거리 [[노선]]만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호놀룰루<ref>[http://www.airtravelinfo.kr/xe/1138890 저비용항공사 국내 최초 장거리 노선, 19일 취항 - 진에어 하와이]</ref>, 케언즈<ref>[http://www.airtravelinfo.kr/xe/1188686 진에어, 두번째 장거리 케언즈 노선 운항 시작]</ref> 등의 장거리 노선도 비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이는 여타 LCC가 B737, A320 등 소형 제트항공기만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B777이라는 중대형 장거리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어 가능하다.  
진에어는 [[저비용항공사]]가 일반적으로 단거리 [[노선]]만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호놀룰루<ref>[http://www.airtravelinfo.kr/xe/1138890 저비용항공사 국내 최초 장거리 노선, 19일 취항 - 진에어 하와이]</ref>, 케언즈<ref>[http://www.airtravelinfo.kr/xe/1188686 진에어, 두번째 장거리 케언즈 노선 운항 시작]</ref> 등의 장거리 노선도 비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이는 여타 LCC가 B737, A320 등 소형 제트항공기만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B777이라는 중대형 장거리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어 가능하다.  
=== 운임 구조 ===
저비용항공사 콘셉트대로 기본 [[항공권]] 운임과는 별도로 (유료) [[부가 서비스]]가 추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좌석 지정]], [[수하물]] 구매, [[라운지]] 이용 등이 있으며 일부 상품을 묶어 번들 형태(좌석팩, 수하물팩, 라운지팩)로 판매하기도 한다.
* 좌석팩: 전 좌석 지정, [[수하물 우선 서비스]], 전용 체크인 카운터 (19,000~42,000원)
* 수하물팩: [[초과 수하물]] 5KG, 일부 좌석 지정 (47,000~61,000원)
* 라운지팩: 공항 라운지 이용권, 전 좌석 지정, 전용 체크인 카운터 (55,000~70,000원)


==기내 서비스==
==기내 서비스==


프리미엄 LCC를 표방하는데서 알 수 있듯이 [[기내식]]은 기존 일반 항공사([[FSC]])와 마찬가지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좌석간 앞뒤 간격인 [[피치]]도 넓은 편이고 그 보다 더 넓은 '[[지니 플러스]]'라는 일종의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와 유사한 운임도 제공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내서비스에 대해서 다른 여타 LCC 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리미엄 LCC를 표방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기내식]]은 기존 일반 항공사([[FSC]])와 마찬가지로 무료로 제공되었다. (2022년 10월 30일 부로 무료 기내식 중단) 좌석간 앞뒤 간격인 [[피치(좌석)]]도 넓은 편이고 그 보다 더 넓은 '[[지니 플러스]]'라는 일종의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와 유사한 운임도 제공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내 서비스에 대해서 다른 여타 LCC 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1년 12월 B737-900 기종 도입과 함께 [[비즈니스클래스]] '[[지니비즈]]'를 도입했다. 좌석 위치 및 특징에 따라 [[사전좌석구매]] 요금을 추가했다.
{{#lst:진에어 유료 좌석|seat}}
프리미엄 저비용항공사를 지향하며 출범 이래 줄곧 기내식 무료 제공을 지켜왔으나 2022년 10월 무료 제공은 중단했다.<ref name=":0" />
==회원 프로그램==
==회원 프로그램==


* [[나비포인트]]
*[[나비포인트]]
{{참고
| 참고1 = 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
| 참고2 =
| 참고3 =
}}


==보유 항공기==
==보유 항공기==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0년 8월 기준
|+2024년 10월 기준
|-
!항공기!!보유 !!주문!! 비고
|-
|B737-8
|3
| -
|
|-
|-
! 항공기 !! 보유 !! 주문 !! 비고
|B737-800|| 19||-|| 2021년 1-2월 4대 송출
|-
|-
| B737-800 || 24 || - ||
|B737-900
|3
| -
|2021년 12월 도입
|-
|-
| B777-200ER || 4 || - ||  
|B777-200ER||4||-||
|-
!계!!29!!-!!
|}
|}


2018년 추가 도입 예정이었으나 [[물컵갑질]] 영향으로 인한 국토부 제재([[항공기]] 신규 도입 금지,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증편 금지 등)로 제재가 풀린 2020년 3월까지 단 한 대의 항공기도 추가하지 못했다.
2018년 추가 도입 예정이었으나 [[물컵갑질]] 영향으로 인한 국토부 제재([[항공기]] 신규 도입 금지,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증편 금지 등)로 제재가 풀린 2020년 3월까지 단 한 대의 항공기도 추가하지 못했다.


==사건/사고==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2021년 1월 고정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리스]] 계약기간이 만료된 항공기 2대를 반납했으며 2월 추가로 2대도 반납할 예정이어서 항공기 규모는 28대에서 24대로 줄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9773 진에어, 항공기 4대 감축해 고정비 지출 줄인다]</ref>


===물컵갑질, 외국인 임원 논란===
== 사건/사고==


2018년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일으킨 [[물컵갑질]] 여파로 자신이 등기임원으로 재직했던 [[진에어]]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쳤다. 항공사업법상 외국 국적 소유자는 [[국적 항공사]] 등기임원으로 재직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진에어 [[항공운송사업]] 면허취소까지 검토되었지만 다행히 최악의 경우는 면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경영문화 개선을 조건으로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신규 [[항공기]] 등록 금지 등의 제재를 가하면서 2018년 중반부터 2020년 3월까지 사업 확장이 불가능하며 경쟁력이 크게 상실됐다.
===국토교통부 제재(2018년)===
{{온글
| 온글 = 진에어 국토부 제재
}}{{:진에어 국토부 제재}}{{참고
| 참고1 =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 참고2 =
| 참고3 =
}}


*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제재 기간 동안 신규 [[운수권]] 배분에서 배제된 이후에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통합 이슈에 맞물려 2022년까지 단 한 개의 신규 운수권을 확보하지 못하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2670 제주·티웨이, 울란바타르 운수권 따내 … 10개 노선 운수권 배분]</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3730 진에어 노조, "운수권 배제는 부당" 행정조치 통해 확인할 것]</ref>
* [[진에어 국토부 제재]]
 
==기타==
 
===지분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4년 6월 기준
!주주
!비중(%)
!비고
|-
|대한항공
|54.91
| 모기업, 2022년 6월 한진칼로부터 취득
|-
| 국민연금공단
| 8.28
|
|-
|우리사주조합
|3.92
|
|}
 
===지배 구조===
[[조원태]] 외 특수관계인 → [[한진칼]] → [[대한항공]] → [[진에어]]


==참고==
==참고==


* [[저비용항공사]]
*[[저비용항공사]]
* [[물컵갑질]]
*[[물컵갑질]]
*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 [[대한항공]]
*[[대한항공]]
* [[연도별 우리나라 항공사 설립 현황]]
*[[연도별 우리나라 항공사 설립 현황]]


{{각주}}
{{각주}}


[[분류:항공사]]
[[분류:항공사]]
[[분류:진에어]]

2024년 11월 1일 (금) 21:58 기준 최신판

진에어
auto
LJ
JNA
JIN AIR
설립 2008년 1월 23일
( 16년 )
취항 2008년 7월 17일
항공기 29대
여객 9,826,824명(2023년)
매출 1조2772억 원(2023년/개별)
H/P jinair.com

진에어(Jin Air): 대한항공이 출자해 2008년 출범한 저비용항공사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우리나라에서 LCC 사업 모델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을 고려해 유럽·미국과 같은 저가 항공운임을 제공하는 LCC가 아닌 그 과도기 단계 성격의 저비용항공사로 '프리미엄 LCC'를 지향하며 출범했다.

하지만 2020년대 들어서면서 치열한 가격 경쟁 속에 초저가 운임 등을 제공하고 무료 기내식 등을 없애며 여타 저비용항공사와 같은 카테고리로 전환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2008년 1월 23일: 진에어 설립
  • 2008년 7월 17일: 상업비행 시작 (김포-제주)
  • 2009년 12월: 국제선(인천-방콕) 취항
  • 2013년 11월: 화물운송 사업 개시
  • 2015년 3월: 국내 LCC 최초로 CAT-IIIb 등급 인가
  • 2017년 12월: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
  • 2018년 8월: 국토부, 외국인 등기임원 재직 위반 혐의로 면허취소 대신 신규 취항, 증편, 신규 항공기 등록, 신규 채용 금지 등 제재 시작 (진에어 국토부 제재 → 2020년 3월 31일 해제됨)
  • 2022년 10월 30일, 무료 기내식 서비스 종료[1]

코로나19 사태와 경영 위기[편집 | 원본 편집]

2019년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매출감소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업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맞았으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 재무구조는 이전 대비 크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자본·부채 현황 (개별, 단위: 억 원)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비고
자본총계 2662 1917 982 1727 1090 1430
부채총계 2533 5127 4586 4288 6629 8093
부채비율(%) 95.17 267.37 467.20 248.25 607.87 566.02
자본잠식률(%) N/A N/A N/A N/A N/A N/A 2022년 3분기 완전 자본잠식

유니폼[편집 | 원본 편집]

진에어 직원 유니폼은 여타 항공사와 달리 캐쥬얼한 분위기다. 청바지(진)와 셔츠, 그리고 스니커즈 형태의 신발이 기본이며 형광 그린색 야구 모자를 착용하기도 했다. 객실승무원 역시 같은 유니폼이나 최근에는 야구 모자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운항승무원 역시 청바지에 자켓을 착용하고 있다. 2019년 7월부터 블랙진/청치마로 제작한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노선[편집 | 원본 편집]

진에어는 저비용항공사가 일반적으로 단거리 노선만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호놀룰루[2], 케언즈[3] 등의 장거리 노선도 비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이는 여타 LCC가 B737, A320 등 소형 제트항공기만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B777이라는 중대형 장거리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어 가능하다.

운임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항공사 콘셉트대로 기본 항공권 운임과는 별도로 (유료) 부가 서비스가 추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좌석 지정, 수하물 구매, 라운지 이용 등이 있으며 일부 상품을 묶어 번들 형태(좌석팩, 수하물팩, 라운지팩)로 판매하기도 한다.

  • 좌석팩: 전 좌석 지정, 수하물 우선 서비스, 전용 체크인 카운터 (19,000~42,000원)
  • 수하물팩: 초과 수하물 5KG, 일부 좌석 지정 (47,000~61,000원)
  • 라운지팩: 공항 라운지 이용권, 전 좌석 지정, 전용 체크인 카운터 (55,000~70,000원)

기내 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프리미엄 LCC를 표방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기내식은 기존 일반 항공사(FSC)와 마찬가지로 무료로 제공되었다. (2022년 10월 30일 부로 무료 기내식 중단) 좌석간 앞뒤 간격인 피치(좌석)도 넓은 편이고 그 보다 더 넓은 '지니 플러스'라는 일종의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와 유사한 운임도 제공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기내 서비스에 대해서 다른 여타 LCC 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1년 12월 B737-900 기종 도입과 함께 비즈니스클래스 '지니비즈'를 도입했다. 좌석 위치 및 특징에 따라 사전좌석구매 요금을 추가했다.


좌석 종류 내용 요금 비고
지니비즈 좌석 간 간격이 일반석 보다 24CM 더 넓은 비즈니스 좌석 지니비즈 운임에 포함 B737-900
지니플러스 좌석 간 간격이 일반석 보다 15CM 더 넓은 좌석 12,000~50,000원 B777-200ER
지니스트레치 첫 번째 열에 위치해 일반석 보다 넓은 좌석 12,000~40,000원
비상구열 비상구에 위치하여 일반석 보다 넓은 좌석
비상구열(등받이 고정) 비상구에 위치하여 일반석 보다 넓은 좌석 비상상황 대비 통로 확보를 위해 등받이 고정
지니프론트 항공기 앞 쪽에 위치한 좌석 7,000~20,000원
지니스탠다드A 일반 좌석 중 앞 쪽에 위치한 좌석 4,000~12,000원
지니스탠다드B 일반 좌석 중 뒤 쪽에 위치한 좌석 2,000~7,000원


프리미엄 저비용항공사를 지향하며 출범 이래 줄곧 기내식 무료 제공을 지켜왔으나 2022년 10월 무료 제공은 중단했다.[1]

회원 프로그램[편집 | 원본 편집]

보유 항공기[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10월 기준
항공기 보유 주문 비고
B737-8 3 -
B737-800 19 - 2021년 1-2월 4대 송출
B737-900 3 - 2021년 12월 도입
B777-200ER 4 -
29 -

2018년 추가 도입 예정이었으나 물컵갑질 영향으로 인한 국토부 제재(항공기 신규 도입 금지, 신규 노선 취항 금지, 증편 금지 등)로 제재가 풀린 2020년 3월까지 단 한 대의 항공기도 추가하지 못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2021년 1월 고정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리스 계약기간이 만료된 항공기 2대를 반납했으며 2월 추가로 2대도 반납할 예정이어서 항공기 규모는 28대에서 24대로 줄게 됐다.[4]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국토교통부 제재(2018년)[편집 | 원본 편집]

진에어 국토부 제재 문서의 토막(일부) 내용입니다.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가 벌인 물컵 갑질로 야기된 것으로, 2018년 8월 시작되어 2020년 3월 31일까지 1년 7개월 동안 국토교통부진에어에 대해 행정적인 제재를 가했다.

제재 기간 동안 신규 운수권 배분에서 배제된 이후에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통합 이슈에 맞물려 2022년까지 단 한 개의 신규 운수권을 확보하지 못하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5][6]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지분률[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6월 기준
주주 비중(%) 비고
대한항공 54.91 모기업, 2022년 6월 한진칼로부터 취득
국민연금공단 8.28
우리사주조합 3.92

지배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조원태 외 특수관계인 → 한진칼대한항공진에어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