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P: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FP(Frequent Flyer Program)==
FFP(Frequent Flyer Program): [[상용고객]] 프로그램, 마일리지 회원


FQTV, Frequent Traveler 를 위한 항공부문 회원 우대 프로그램(상용고객 프로그램)으로,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포인트 제도 중 하나다.
== 개요 ==
[[FQTV]], Frequent Traveler 를 위한 항공부문 회원 우대 프로그램(상용고객 프로그램)으로,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포인트 제도 중 하나다.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인트·[[마일리지]] 제도의 시작은 항공업계에서 시작됐다.


== 최초의 마일리지 프로그램 ==
{{:세계 최초 마일리지 프로그램}}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시초==
==주요 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회원제도)==


현대의 포인트 제도로 대표되는 로얄티 프로그램의 시초는 바로 항공 마일리지 프로그램이다. 1980년 Western Airlines 에서 탑승객을 대상으로 (탑승구에서 펀치카드로 탑승실적을 찍어주는) "$50 Travel Pass"라는 서비스 쿠폰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최초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이다.
* [[대한항공]]: [[SKYPASS]] (이전 [[FTBS]])
* [[아시아나항공]]: [[Asiana Club]]
* [[아메리칸항공]]: [[AAdvantage]]
* [[델타항공]]: [[SkyMiles]]


그리고 1년도 안돼 [[아메리칸항공]]이 컴퓨터 기반의 ''''AAdvantage'''' 라는 세계 최초의 공식적인 로얄티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ref>[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6433 마일리지 제도의 시초는 항공사]</ref>
==저비용항공사와 FFP==
 
 
==주요 [[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회원제도)==
 
* 대한항공 : [[SKYPASS]]
* 아시아나항공 : [[Asiana Club]]
* 아메리칸항공 : AAdvantage
* 델타항공 : SkyMiles
 
 
==기타==


저비용항공사([[LCC]])는 비용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태생적으로 회원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LCC|저비용항공사]]도 제한된 마일리지(포인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저비용항공사([[LCC]])는 비용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태생적으로 회원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LCC|저비용항공사]]도 제한된 마일리지(포인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lst: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lcc_ffp}}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 포인트 프로그램===
 
* 제주항공 : [[리프레시 포인트]](Refresh Point)
* 진에어 : [[나비포인트]]
* 에어부산 : [[플라이 앤 스탬프]] ([[Fly & Stamp]])
 




==참고==
==참고==


*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6512 항공 마일리지 1마일당 얼마의 가치가 있을까?]
*[항공상식] [http://www.airtravelinfo.kr/xe/6512 항공 마일리지 1마일당 얼마의 가치가 있을까?]
 
 


{{각주}}
{{각주}}


 
[[분류:마일리지]]
[[분류:여객]]

2024년 11월 2일 (토) 16:50 기준 최신판

FFP(Frequent Flyer Program): 상용고객 프로그램, 마일리지 회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FQTV, Frequent Traveler 를 위한 항공부문 회원 우대 프로그램(상용고객 프로그램)으로,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포인트 제도 중 하나다.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인트·마일리지 제도의 시작은 항공업계에서 시작됐다.

최초의 마일리지 프로그램[편집 | 원본 편집]

  • 1979년, 텍사스항공(Texas International Airlines)[1]이 세계 최초로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적립 마일리지에 따라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 1980년, 웨스턴항공(Western Airlines)[2]은 "$50 Travel Pass" 서비스 쿠폰 형식의 'Travel Bank'를 선보였으며 이는 카드에 구멍을 뚫는 펀치카드 방식이어서 활성화되지 못했다.
  • 1981년 5월 1일, 아메리칸항공은 컴퓨터 기반의 'AAdvantage'라는 세계 최초의 공식적인 로얄티 프로그램을 선보였다.[3]


주요 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회원제도)[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항공사와 FFP[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항공사(LCC)는 비용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태생적으로 회원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저비용항공사도 제한된 마일리지(포인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항공사 프로그램 특징
진에어 나비포인트 사용처는 국내선 항공권 구입
제주항공 J 포인트 적립 포인트 수하물, 기내식 구입 사용 가능
티웨이항공 티웨이플러스 구독형 멤버십 프로그램
에어부산 Fly & Stamp 적립 스탬프로 항공권 구입 가능
이스타항공 E-크레딧 2017년 12월 폐지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1982년 콘티넨탈항공으로 합병
  2. 1987년 델타항공으로 합병
  3. [항공상식] 마일리지 제도의 시초는 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