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문서 : 2025년 2월 8일

2025년 2월 8일

항공위키
최근 항공 소식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4.18 | 오늘 | 4.20 |

2025년 2월 8일자 항공 및 여행 관련 소식이다.

강풍·강설 제주에 발묶인 2만 명 … 임시 항공편 검토[편집 | 원본 편집]

2월 7일, 제주 전역에 강풍이 불고 많은 눈이 내리면서 항공편이 무더기(약 305편, 오후 10시 기준) 결항하면서 1만5천여 명 체객이 발생했다. 전체 계획된 413편 가운데 74%가 운항하지 못했다. 항공사들은 체객 수송을 위해 8일 임시 항공편을 투입했다.[1][2]

항공업계, 항공기 부품 관세 면제 연장 요구[편집 | 원본 편집]

국내 항공업계가 항공기 부품에 관세를 면제하는 관세법 특례 조항 일몰을 앞두고 국회를 찾아 이를 연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항공기 부품 관세 감면 혜택이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져 2029년에는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3][4]

대한항공 2024년 사상 최대 매출 … 3년 연속 기록 경신[편집 | 원본 편집]

매출은 10.6% 늘어 16조1166억 원으로 3년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22.5% 증가한 1조9446억, 당기순이익 36.8% 증가한 1조2542억 원 기록했다.[5][6]

한국항공우주산업 2024년 영업이익 2407억 3% 감소[편집 | 원본 편집]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24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6337억 원, 영업이익 2407억 원, 순이익 1709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7일 공시했다. 2023년보다 매출은 4.9%, 영업이익은 2.8%, 순이익은 22.8% 줄었다.[7]

브라질 번화가에 소형 비행기 추락 … 최소 2명 사망[편집 | 원본 편집]

2025년 2월 7일, 오전 7시 20분쯤 브라질 상파울루 번화가에 소형 비행기가 추락해 버스와 충돌했으며 최소 2명이 사망했다.[8][9]

비엣젯, 연료 최적화 플랫폼 SkyBreathe 도입 계약 체결[편집 | 원본 편집]

2월 7일, 비엣젯은 OpenAirlines의 항공연료 분석, 최적화 플랫폼인 SkyBreathe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10]

3월 유류할증료 오른다[편집 | 원본 편집]

고유가·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며 국내선 유류할증료가 5개월 만에 다시 1만원대를 넘어섰다. 기존 7,700원에서 11,000원으로 약 43% 인상된다.[11]

제주항공 무안공항 참사 후 LCC 이용객 14% 줄어[편집 | 원본 편집]

2025년 1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Low Cost Carrier)의 항공편 당 평균 이용객 수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1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 항공사(FSC·Full Service Carrier)는 항공편 당 평균 이용객 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12]

울산공항에 하이에어 재유치 본격화[편집 | 원본 편집]

4일 울산시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하이에어의 기업회생 절차가 오는 5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후 항공운항증명(AOC) 재인증을 받기 위해 약 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빠르면 연말께 재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울산시는 하이에어의 울산공항 재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설 방침이다.[13]

무안공항 폐쇄 … 항공운항학과 훈련 대책 마련 어려워[편집 | 원본 편집]

지난해 12월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로 무안국제공항 폐쇄가 장기화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안공항에서 비행교육을 진행하던 대학들 또한 교육이 올스톱 되면서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4]

프론티어항공, 스피리트항공 인수 재시도[편집 | 원본 편집]

프론티어항공이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스피리트항공 인수 조건을 제시했다. 2022년 인수 실패한 이후 재도전이다. 스피리트항공 채권자에게 4억 달러 원금과 프론티어항공 지분 19% 양도하는 조건이다. 제트블루와의 합병이 무산된 스피리트항공은 경영난에 빠졌고 파산보호를 신청한 상태다.[15]

하와이안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하와이안항공이 올해 프리미엄 이코노미클래스를 도입한다. 이코노미 대비 넓은 레그룸, 넓은 좌석 및 추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지만 비즈니스클래스 대비 저렴한 운임으로 대부분의 미국 메이저 항공사에서 도입하고 있다.[16]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