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우리나라 항공사 사업 실적 분석
- 2020년 발발한 코로나19에서 벗아난 본격적 회복기
- 전년까지 부진했던 LCC들도 본격적 회복 전망
2023년은 그동안 전세계를 패닉으로 몰아넣었던 코로나19에서 본격 회복하는 해가 되었다.
연초부터 국내 항공업계는 멈춰섰던 항공기 운항을 다시 늘렸지만 여전히 2019년 대비해 부족한 운항편수와 승무원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항공기 운항편수는 지속 늘어나 연말이 되면 항공시장은 2019년에 근접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각 항공사 수송실적 및 매출 등 사업실적을 월별·분기별로 집계한다..
※ 개별재무(별도매출) 기준으로 실적 집계
대형 항공사
여객수송실적
화물수송실적
사업실적
LCC & etc
여객수송실적
화물수송실적
- 기준 : 유상 화물(화물 + 우편물), 여객 수하물 제외
사업실적
분석
1분기
2023년 1분기는 코로나19 사태에서 벗어난 본격적인 회복 실적을 보여준 기간이었다. 대한항공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매출은 사상 최대를 기록할 만큼 호실적을 거뒀다. 전세계 여객기 벨리카고 공급 증대로 화물 운임 단가 하락하면서 코로나19 기간 동안 수혜를 입었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영업이익) 감소는 정상화의 예견된 움직임이었다.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등 국내 LCC는 나란히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을 거두며 코로나19 보복 소비의 수혜를 톡톡히 누렸다.
항공사 | 부채비율 | 자본잠식율 | ||
---|---|---|---|---|
2022.12 | 2023.3 | 2022.12 | 2023.3 | |
대한항공 | 204.21% | 207.12% | N/A | N/A |
아시아나항공 | 1482.04% | % | N/A | |
제주항공 | 430.96% | % | N/A | |
진에어 | 607.87% | 607.87% | N/A | N/A |
티웨이항공 | 1744.08% | 1050.89% | 41.22% | 1.64% |
에어부산 | 869.44% | % | N/A | N/A |
에어서울 | 계산 불가 | % | 1367.01% | |
이스타항공 | 계산 불가 | % | 140.86% | |
플라이강원 | 계산 불가 | % | 232.82% | - |
에어로케이 | 계산 불가 | % | 148.67% | |
에어프레미아 | 685.90% | % | 66.92% | |
자본잠식 구분: 부분잠식 / 완전잠식 |
< 소스 : 항공정보포털 확정 실적 및 각 항공사 공시자료 >
항공정보 2022년 국내 항공사 사업실적
한국은 항공기 타이어를 어디서 구입할가요?
대한항공 지인에게 들은 정보로는 브릿지스톤, 미셰린, 굿이어 제품 사용한다고 한네요
예전에 금호도 항공기용 타이어 만든다고 했던 것 같은데... 그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하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