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2014년 국내 항공사, 누가 장사 잘했나?

Profile
마래바

2014년 한해는 항공업계에게 대단히 호의적인 환경이었던 것만은 틀림없다.

항공사 운영에 있어 가장 큰 비용부담 중 하나인 유류비의 부담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2014년 한해는 유가 하락으로 인해 항공사들의 재무부담을 한짐 던 해였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11조 9097억원, 5조 8362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에 비해 각각 1.7%, 1.9% 증가했다. 저비용항공사들은 이 보다 더 큰 폭으로 매출액을 증가시켰는데, 제주항공은 18% 증가한 5,106억원, 진에어는 24% 증가한 3,511억원, 에어부산은 26% 증가해 3,510억원을 기록했다. 

이스타항공과 티웨이항공 역시 각각 6%, 31% 증가한 2,701억원, 2,185억원의 매출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airlines_korea.jpg

 

하지만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것은 단순히 매출액의 증가만이 아닌 '얼마나 장사를 잘했나?'를 보여주는 영업이익률 면에서도 국내 항공사 모두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는 점이다. 대한항공은 3.7% 영업이익률은 기록했으며, 아시아나항공은 다소 낮은 1.7%를 나타냈다. 반면 저비용항공사들의 영업이익률은 일반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수준을 뛰어넘었다. 5개 저비용항공사 모두 적게는 3.6% 에서 최고 5.8%의 영업이익률을 나타낸 것이다.

흔히 저비용항공사는 항공요금이 저렴하기 때문에 박리다매 판매 형태를 띌 수 밖에 없으니 영업이익률이 낮을 것이라고 여기기 쉽지만 그렇지 많은 않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줬다.

항공상식 저비용항공사는 박리다매, 그래서 영업이익률 짜다?(2015/02/24)

지난 몇년 간의 각 항공사 실적을 보면 급격한 저비용항공사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 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역시 그 폭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는 이어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항공교통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2010년은 양사가 최고의 영업이익을 냈던 해

 

우리 저비용항공사들은 초기 저비용항공 시장의 불확실한 시기였던 2010년 ~2012년을 거치면서 점차 저비용항공시장을 안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4년에는 5개 항공사 모두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2015년에도 경제 여건과 영업 환경을 볼 때 긍정적인 실적이 예상되고 있다.

 

작성자의 다른 글
댓글
0
Profile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