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우리나라 항공사 사업 전망 및 실적
- 전년 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항공여객시장 회복 늦어져
- 화물 경쟁력 가진 FSC를 제외한 항공사들은 올해도 극심한 수요 부진과 경영난 지속 전망
2020년 초에 발발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은 2021년에 이어 2022년에서 영향을 줄 전망이다.
2차까지의 백신 접종이 거의 완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돌파 감염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2022년 3월 하루 최대 신규 확진자가 30만 명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는 살아나지 않고 있다. 여전히 각국은 자국 입국에 대한 까다로운 방역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국제선 항공편 운항 확대가 더딘 상태이다.
각 항공사 수송실적 및 매출 등 사업실적을 월별·분기별로 집계한다.
※ 대형 항공사(FSC)는 연결재무 기준으로 사업실적 집계. LCC 등 항공사의 경우 동일 기준 적용 위해 개별재무 기준으로 실적 집계
대형 항공사
▩ 여객수송실적
▩ 화물수송실적
▩ 사업실적
구분 |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 ||||
---|---|---|---|---|---|---|
매출 | 영업손익 | 당기순손익 | 매출 | 영업손익 | 당기순손익 | |
1분기 | 2조8843억 | 7731억 | 5311억 | 1조2463억 | 1435억 | -466억 |
2분기 | ||||||
3분기 | ||||||
4분기 | ||||||
계 |
2. LCC & etc
▩ 여객수송실적
▩ 화물수송실적
- 기준 : 유상 화물(화물 + 우편물), 여객 수하물 제외
▩ 사업실적
구분 | 매출 | 영업손익 | 당기순손익 | ||||||||||||
---|---|---|---|---|---|---|---|---|---|---|---|---|---|---|---|
1Q | 2Q | 3Q | 4Q | TTL | 1Q | 2Q | 3Q | 4Q | TTL | 1Q | 2Q | 3Q | 4Q | TTL | |
제주항공 | 808 | -779 | -649 | ||||||||||||
진에어 | 675 | -464 | -310 | ||||||||||||
티웨이항공 | 597 | -388 | -392 | ||||||||||||
에어부산 | 508 | -363 | -619 | ||||||||||||
이스타항공 | |||||||||||||||
에어서울 | |||||||||||||||
플라이강원 | 35 | -49 | -28 | ||||||||||||
에어로케이 | |||||||||||||||
에어프레미아 |
분석
1분기
대한항공은 지난 2년여 팬데믹 극복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했던 화물사업 경쟁력이 여전히 유지되면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이 무려 약 26%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것이 무색할 사상 초유의 실적을 거뒀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등 저비용항공사들의 실적도 다소 호전되기 시작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가량 늘었으며 손실폭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사업실적과 마친가지로 항공사들의 재무구조 역시 변화가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전기말(2021년 12월) 대비 소폭 개선된 반면 제주항공을 비롯한 LCC들 모두 부채비율은 더욱 악화됐다. 특히 티웨이항공의 경우 전기말 1494.59%였던 부채비율이 올해 1분기 말에는 8470.15%까지 치솟아 최악의 상태가 됐다. 자본잠식율도 87.25%에 이르렀다.
항공사 | 부채비율 | 자본잠식율 | ||
---|---|---|---|---|
2021.12 | 2022.3 | 2021.12 | 2022.3 | |
대한항공 | 275.36% | 254.76% | - | - |
아시아나항공 | 2282.35% | 2218.80% | - | - |
제주항공 | 586.67% | 919.92% | - | - |
진에어 | 248.25% | 299.86% | - | - |
티웨이항공 | 1494.59% | 8470.15% | 35.20% | 87.25% |
에어부산 | 673.56% | 1431.50% | 32.69% | 65.64% |
플라이강원 | 711.64% | 6898.3 | 77.06% | 97.91% |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에어로케이는 지난해 말 기준 완전자본잠식 상태 |
< 소스 : 항공정보포털 확정 실적 및 각 항공사 공시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