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다음날 = 7월 2일 | | 다음날 = 7월 2일 | ||
}} | }} | ||
[[7월 1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과 기록들 | |||
===1913년=== | ===1913년=== | ||
29번째 줄: | 30번째 줄: | ||
===1927년=== | ===1927년=== | ||
[[파일:Boeing Model 40 over mountains circa 1930s.jpg|200px|섬네일|Boeing 40]] | [[파일:Boeing Model 40 over mountains circa 1930s.jpg|200px|섬네일|Boeing 40]] | ||
Boeing 40 항공기, Boeing Air Transport에서 첫 비행 시작 | Boeing 40 항공기, Boeing Air Transport에서 첫 비행 시작 | ||
=== | === 1927년 === | ||
BAT, 시카고와 샌프란시스코를 연결하는 항공우편, 여객 수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여객 [[운임]]은 편도 204달러였다. | BAT, 시카고와 샌프란시스코를 연결하는 항공우편, 여객 수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여객 [[운임]]은 편도 204달러였다. | ||
=== | === 1927년 === | ||
독일에 본사를 둔 브라질 항공 운송사인 Condor Syndikat, 폐사. 브라질 대표 항공사였던 [[Varig]]의 모기업이기도 했다. | 독일에 본사를 둔 브라질 항공 운송사인 Condor Syndikat, 폐사. 브라질 대표 항공사였던 [[Varig]]의 모기업이기도 했다. | ||
45번째 줄: | 44번째 줄: | ||
===1930년=== | ===1930년=== | ||
[[노스웨스트항공]], 운항 거점을 세인트폴의 Holman Fileld(현재 St. Paul Downtown Airport)로 이전했다. | [[노스웨스트항공]], 운항 거점을 세인트폴의 Holman Fileld(현재 St. Paul Downtown Airport)로 이전했다. | ||
=== | === 1930년 === | ||
[[체코항공]](CSA), 프라하를 거점으로 [[국제선]] 운항 개시. 당시 운용했던 비행기는 Ford 5AT(Ford Trimotor)였다. | [[체코항공]](CSA), 프라하를 거점으로 [[국제선]] 운항 개시. 당시 운용했던 비행기는 Ford 5AT(Ford Trimotor)였다. | ||
57번째 줄: | 54번째 줄: | ||
===1933년=== | ===1933년=== | ||
{{이미지 | {{이미지 | ||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09/071/6953e38dbbea8053ba45b5e8c953492c.jpg |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09/071/6953e38dbbea8053ba45b5e8c953492c.jpg | ||
| 설명 = | | 설명 =DC-1 | ||
}} |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Douglas의 첫 여객기 DC-1, 초도 비행. 단 한 대만 제작되었으나 그 기술은 고스란히 DC-2, DC-3 개발로 이어졌다. | ||
=== | === 1933년 === | ||
[[에어프랑스]]와 독일 [[루프트한자]], 남대서양을 횡단하는 항공우편 서비스 시작 | [[에어프랑스]]와 독일 [[루프트한자]], 남대서양을 횡단하는 항공우편 서비스 시작 | ||
82번째 줄: | 75번째 줄: | ||
===1946년=== | ===1946년=== | ||
B-29 폭격기 Superfortress, 태평양 섬 Bikini Atoll 에서 핵폭탄 투하 실험 | B-29 폭격기 Superfortress, 태평양 섬 Bikini Atoll 에서 핵폭탄 투하 실험 | ||
=== | === 1946년 === | ||
에어프랑스, 뉴욕-파리 노선 [[취항]]. DC-4 항공기로 19시간 50분 걸리는 노선이었다. | 에어프랑스, 뉴욕-파리 노선 [[취항]]. DC-4 항공기로 19시간 50분 걸리는 노선이었다. | ||
=== | === 1946년 === | ||
영국 [[BOAC]], 런던-섀넌-갠더-뉴욕을 잇는 항공노선 개설. 영국 민간 항공사로서는 첫 북대서양 횡단 항공 노선이었다. | 영국 [[BOAC]], 런던-섀넌-갠더-뉴욕을 잇는 항공노선 개설. 영국 민간 항공사로서는 첫 북대서양 횡단 항공 노선이었다. | ||
111번째 줄: | 102번째 줄: | ||
미 연방항공청([[FAA]])은 모든 항공사 [[터보제트]] 비행기에 거리측정장비인 [[DME]](Distance Measuring | 미 연방항공청([[FAA]])은 모든 항공사 [[터보제트]] 비행기에 거리측정장비인 [[DME]](Distance Measuring | ||
Equipment)를 장착하도록 의무화했다. (대상: 고도 24,000피트 이상에서 IFR 조건으로 비행하는 터보제트 비행기) | Equipment)를 장착하도록 의무화했다. (대상: 고도 24,000피트 이상에서 [[IFR]] 조건으로 비행하는 터보제트 비행기) | ||
===1964년=== | ===1964년=== | ||
130번째 줄: | 121번째 줄: | ||
===1970년=== | ===1970년=== | ||
일본항공(JAL), 태평양 노선에서 B747 [[점보]] 항공기 운항 개시 | 일본항공(JAL), 태평양 노선에서 B747 [[점보]] 항공기 운항 개시 | ||
=== | === 1970년 === | ||
[[TWA]], 보유 전 항공기에 대해 금연석(Non-smoking Seat) 운영을 시작했다. | [[TWA]], 보유 전 항공기에 대해 금연석(Non-smoking Seat) 운영을 시작했다. | ||
156번째 줄: | 145번째 줄: | ||
싱가포르의 [[창이공항]] 개항 | 싱가포르의 [[창이공항]] 개항 | ||
=== 1983년 === | |||
[[고려항공]] 전신인 조선민항 항공기(Il-62M)가 평안 순안공항을 출발해 기니(Guinea) 코나크리공항에 접근하던 중 산(Fouta Djallon)에 추락해 탑승자 23명 전원 사망했다. | |||
===1983년=== | ===1983년=== | ||
162번째 줄: | 154번째 줄: | ||
===1986년=== | ===1986년=== | ||
뉴질랜드 정부는 자국 항공사에 대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최대 50%까지 허용했다. | 뉴질랜드 정부는 자국 항공사에 대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최대 50%까지 허용했다. | ||
174번째 줄: | 161번째 줄: | ||
===1988년=== | ===1988년=== | ||
[[중국국제항공]](Air China) 설립 | [[중국국제항공]](Air China) 설립 | ||
중국 정부가 소유하고 있던 항공사([[CAAC]])를 6개 항공사(중국국제항공/Air China, [[중국동방항공]]/China Eastern, [[중국남방항공]]/China Southern, 중국북방항공/China Northern, 중국서남항공/China Southwest, 중국서북항공/China Northwest)로 분할한 정책에 따라 탄생했다. | 중국 정부가 소유하고 있던 항공사([[CAAC]])를 6개 항공사(중국국제항공/Air China, [[중국동방항공]]/China Eastern, [[중국남방항공]]/China Southern, 중국북방항공/China Northern, 중국서남항공/China Southwest, 중국서북항공/China Northwest)로 분할한 정책에 따라 탄생했다. | ||
=== | === 1988년 === | ||
[[일본에어시스템]](Japan Air System), 첫 정기 국제선 항공노선 취항 (도쿄/나리타-서울/김포) | [[일본에어시스템]](Japan Air System), 첫 정기 국제선 항공노선 취항 (도쿄/나리타-서울/김포) | ||
208번째 줄: | 193번째 줄: | ||
===2002년=== | ===2002년=== | ||
{{이미지 | {{이미지 | ||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09/071/0972188eb756e222768a0d44d281a4b3.jpg |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409/071/0972188eb756e222768a0d44d281a4b3.jpg | ||
| 설명 = Bashkirian Airlines 2937편, DHL 611편 항공기 충돌 | | 설명 = Bashkirian Airlines 2937편, DHL 611편 항공기 충돌 | ||
}} |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Bashkirian Airlines 소속 2937편 항공기([[투폴레프]] Tu-154)와 DHL 소속 611편 화물 항공기(B757)가 독일 남부 Üeberlingen 상공에서 공중 충돌해 탑승자 71명 사망했다. | ||
같은 [[고도]]로 날고 있던 두 항공기가 [[TCAS]](공중충돌방지장치)의 지시에 따라 Climb(상승) 혹은 Descent(하강) 해야 했으나, 바시키르 항공기가 Climb 하라는 TCAS의 지시를 무시하고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Descent 하다가 TCAS 지시대로 Descent(하강)하던 DHL 항공기와 충돌한 사고였다. | |||
이 사고 이후 관제사의 지시와 TCAS의 지시가 서로 다른 경우 TCAS의 지시를 따르도록 규정화되었다. (2001년에도 이와 유사한 사고 - [[니어미스]] - 가 발생했었다.) | 이 사고 이후 관제사의 지시와 TCAS의 지시가 서로 다른 경우 TCAS의 지시를 따르도록 규정화되었다. (2001년에도 이와 유사한 사고 - [[니어미스]] - 가 발생했었다.) | ||
=== | === 2002년 === | ||
[[파일:Pilatus pc-21 hb-hzc lands arp.jpg|200px|섬네일|Pilatus PC-21]] | [[파일:Pilatus pc-21 hb-hzc lands arp.jpg|200px|섬네일|Pilatus PC-21]] | ||
스위스 Pilatus가 개발한 단발 [[터보프롭]] 비행기 Pilatus PC-21, 초도 비행. 스위스 공군 등에서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스위스 Pilatus가 개발한 단발 [[터보프롭]] 비행기 Pilatus PC-21, 초도 비행. 스위스 공군 등에서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 ||
238번째 줄: | 219번째 줄: | ||
===2014년=== | ===2014년=== | ||
미국 저비용항공의 원조이자 대표격인 [[사우스웨스트항공]]이 운항을 시작한 지 44년 만에 [[국제선]] 항공편 운항을 시작했다. 볼티모어에서 각각 아루바, 몬테고베이로 향하는 B737 항공기 두편이 이륙했다. | 미국 저비용항공의 원조이자 대표격인 [[사우스웨스트항공]]이 운항을 시작한 지 44년 만에 [[국제선]] 항공편 운항을 시작했다. 볼티모어에서 각각 아루바, 몬테고베이로 향하는 B737 항공기 두편이 이륙했다. | ||
=== | === 2014년 === | ||
[[에어아시아 재팬]] 설립. 2011년 설립했던 에어아시아 재팬은 2013년 [[바닐라에어]]로 전환되었다. 이후 [[에어아시아]]가 일본 나고야를 거점으로 하는 에어아시아 재팬을 다시 설립한 것이다. | [[에어아시아 재팬]] 설립. 2011년 설립했던 에어아시아 재팬은 2013년 [[바닐라에어]]로 전환되었다. 이후 [[에어아시아]]가 일본 나고야를 거점으로 하는 에어아시아 재팬을 다시 설립한 것이다. | ||
=== 2020년 === | |||
에어버스가 개발한 중형 유틸리티 [[헬리콥터]] H160, EASA 인증([[형식증명]]) 획득 | |||
{{각주}} | {{각주}} | ||
__부분편집숨김__ | __부분편집숨김__ | ||
[[분류:항공역사]] | [[분류:항공역사]] |
2023년 3월 5일 (일) 22:05 기준 최신판
7월 1일 발생한 항공 관련 사건과 기록들
1913년
네덜란드군, 공군 부문 창설
1917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 비행학교(School of Aeronautics) 설립
1919년
영국 최초 공항인 Hounslow Heath Aerodrome 오픈. 국제선 공항으로 기본 시설인 세관(Custom) 기능까지 포함된 공항이었다. 파리 르부르제공항으로의 비행이 첫 국제선 상용비행이었다.
1920년
벨기에, 아프리카 벨기에 콩고에서 유럽 지역으로의 항공수송을 위한 LARA(Ligne Aérienne du Roi Albert) 설립
1925년
뉴욕 - 시카고 간 첫 야간 비행을 통한 정기 항공우편 수송 시작.
1926년
스웨덴공군(Royal Swedish Air Force) 창설.
1927년
Boeing 40 항공기, Boeing Air Transport에서 첫 비행 시작
1927년
BAT, 시카고와 샌프란시스코를 연결하는 항공우편, 여객 수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여객 운임은 편도 204달러였다.
1927년
독일에 본사를 둔 브라질 항공 운송사인 Condor Syndikat, 폐사. 브라질 대표 항공사였던 Varig의 모기업이기도 했다.
1928년
미 상무부(Commerce Department)는 텔렉스 형태의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30년
노스웨스트항공, 운항 거점을 세인트폴의 Holman Fileld(현재 St. Paul Downtown Airport)로 이전했다.
1930년
체코항공(CSA), 프라하를 거점으로 국제선 운항 개시. 당시 운용했던 비행기는 Ford 5AT(Ford Trimotor)였다.
1932년
Junkers社의 Ju 52/3 항공기, 헬싱키-스톡홀름 구간에서 상용비행 시작
1933년
Douglas의 첫 여객기 DC-1, 초도 비행. 단 한 대만 제작되었으나 그 기술은 고스란히 DC-2, DC-3 개발로 이어졌다.
1933년
1934년
미국 U.S Aeronautics Branch가 Bureau of Air Commerc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37년
1934년 설립된 미국 'Varney Speed Lines', 콘티넨탈항공(Continental Airlines)으로 이름 변경. 2012년 3월 유나이티드항공과 합병될 때까지 80년 가까이 전 세계 하늘을 비행했다.
1941년
Philippine Air Force 창설
1946년
B-29 폭격기 Superfortress, 태평양 섬 Bikini Atoll 에서 핵폭탄 투하 실험
1946년
에어프랑스, 뉴욕-파리 노선 취항. DC-4 항공기로 19시간 50분 걸리는 노선이었다.
1946년
영국 BOAC, 런던-섀넌-갠더-뉴욕을 잇는 항공노선 개설. 영국 민간 항공사로서는 첫 북대서양 횡단 항공 노선이었다.
1950년
사상 첫 헬리콥터 여객 운송 서비스 시작. 카디프(Cardiff)와 리버풀(Liverpool)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영국항공 전신인 BEA에 의해 운영되었다.
1952년
포르투갈 공군(Portuguese Air Force) 창설
1954년
일본자위공군(Japan Air Self-Defense Force) 창설
1955년
남베트남, Republic of Vietnam Air Force 창설
1963년
미 연방항공청(FAA)은 모든 항공사 터보제트 비행기에 거리측정장비인 DME(Distance Measuring Equipment)를 장착하도록 의무화했다. (대상: 고도 24,000피트 이상에서 IFR 조건으로 비행하는 터보제트 비행기)
1964년
일본항공(JAL), 국제선 항공편에 대해 전자 예약 시스템 운영을 시작했다. 당시 예약 취소 시에는 취소 수수료를 지불해야 했다.
1968년
Air West 탄생. Bonanza Air Lines과 Pacific Air Lines, West Coase Airlines 세 항공사가 합병(4월 17일)하여 탄생한 항공사다.
1969년
1970년
호주 멜버른(Melbourne) 국제공항 오픈
1970년
일본항공(JAL), 태평양 노선에서 B747 점보 항공기 운항 개시
1970년
TWA, 보유 전 항공기에 대해 금연석(Non-smoking Seat) 운영을 시작했다.
1971년
애틀랜타공항 이름 변경. 윌리엄 B 하츠필드 애틀랜타공항. 이날 이스턴항공(Eastern Airlines)은 이곳에서 멕시코와 몬테네그로 만을 연결하는 첫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다.
1975년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공군 기본훈련기인 Valmet L-70 Vinka, 초도 비행 성공. 핀란드 공군에서 사용되었다.
1976년
Clive Canning은 홈빌트(개인 조립형태)용 비행기(Homebuilt Aircraft)인 Thorp T-18을 몰고 호주에서 영국까지 비행해 무사히 도착했다.
1979년
노스 센트랄 항공(North Central Airlines)과 서던항공(Southern Airways) 합병하여 리퍼블릭항공(Republic Airlines)1) 탄생[1]
1981년
싱가포르의 창이공항 개항
1983년
고려항공 전신인 조선민항 항공기(Il-62M)가 평안 순안공항을 출발해 기니(Guinea) 코나크리공항에 접근하던 중 산(Fouta Djallon)에 추락해 탑승자 23명 전원 사망했다.
1983년
가고시마 지역 14개 도시가 연합해 Japan Air Commuter 설립.
1986년
뉴질랜드 정부는 자국 항공사에 대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최대 50%까지 허용했다.
1987년
AirCal, 아메리칸항공으로 합병
1988년
중국국제항공(Air China) 설립
중국 정부가 소유하고 있던 항공사(CAAC)를 6개 항공사(중국국제항공/Air China, 중국동방항공/China Eastern, 중국남방항공/China Southern, 중국북방항공/China Northern, 중국서남항공/China Southwest, 중국서북항공/China Northwest)로 분할한 정책에 따라 탄생했다.
1988년
일본에어시스템(Japan Air System), 첫 정기 국제선 항공노선 취항 (도쿄/나리타-서울/김포)
1991년
타이완 에바항공(EVA Air) 운항 개시
1992년
미국 네바다 주 리노를 거점으로 한 Reno Air, 운항 개시
1993년
일본 '서남항공(Southwest Airlines)', 이름을 Japan Transocean Air(JTA)로 변경했다. 현재 일본항공(JAL) 자회사다.
1998년
일본항공 자회사인 JAL Express 운항 시작
2000년
2001년
싱가포르항공, 화물 사업을 위해 Sigapore Airlines Cargo 운항 시작
2002년
Bashkirian Airlines 소속 2937편 항공기(투폴레프 Tu-154)와 DHL 소속 611편 화물 항공기(B757)가 독일 남부 Üeberlingen 상공에서 공중 충돌해 탑승자 71명 사망했다.
같은 고도로 날고 있던 두 항공기가 TCAS(공중충돌방지장치)의 지시에 따라 Climb(상승) 혹은 Descent(하강) 해야 했으나, 바시키르 항공기가 Climb 하라는 TCAS의 지시를 무시하고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Descent 하다가 TCAS 지시대로 Descent(하강)하던 DHL 항공기와 충돌한 사고였다.
이 사고 이후 관제사의 지시와 TCAS의 지시가 서로 다른 경우 TCAS의 지시를 따르도록 규정화되었다. (2001년에도 이와 유사한 사고 - 니어미스 - 가 발생했었다.)
2002년
스위스 Pilatus가 개발한 단발 터보프롭 비행기 Pilatus PC-21, 초도 비행. 스위스 공군 등에서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2004년
스페인 저비용항공사 Vueling, 운항 개시. 2017년 IAG(International Airlines Group)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2005년
2007년
SWISS(Swiss International Air Lines), 루프트한자 그룹으로 편입
2014년
미국 저비용항공의 원조이자 대표격인 사우스웨스트항공이 운항을 시작한 지 44년 만에 국제선 항공편 운항을 시작했다. 볼티모어에서 각각 아루바, 몬테고베이로 향하는 B737 항공기 두편이 이륙했다.
2014년
에어아시아 재팬 설립. 2011년 설립했던 에어아시아 재팬은 2013년 바닐라에어로 전환되었다. 이후 에어아시아가 일본 나고야를 거점으로 하는 에어아시아 재팬을 다시 설립한 것이다.
2020년
에어버스가 개발한 중형 유틸리티 헬리콥터 H160, EASA 인증(형식증명) 획득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