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항공위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1년 2월 27일 (토) 13:09 가덕도신공항 (역사) [2,79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가덕도 신공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일원에 건설되는 공항으로 2021년 2월 26일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면서...) 처음에 "가덕도 신공항"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1년 2월 26일 (금) 11:05 일본 정부 전용기 (역사) [10,385 바이트] 113.36.237.226 (토론) (일본 정부 전용기)
- 2021년 2월 20일 (토) 17:28 Link Trainer (역사) [4,60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Link Trainer== 세계 최초의 비행 시뮬레이터다. ==참고== * {{각주}} 분류:비정상운항 분류:비행 분류:항법 분류:항공기)
- 2021년 2월 19일 (금) 09:36 Supertanker (역사) [97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화재 진압 항공기, 수퍼탱커(B747-400) ==Supertanker== B747 항공기를 기반으로 개조된 화재 진압, 소방용 항공기...)
- 2021년 2월 18일 (목) 12:35 국적 저비용항공사 통합(2021년) (역사) [70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국적 저비용항공사 통합== 2020년말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로 하면서 양사 자회사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
- 2021년 2월 16일 (화) 10:11 Flybmi (역사) [1,0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Flybmi(British Midland Regional Limited)== ==연혁== ==항공기== {{각주}})
- 2021년 2월 16일 (화) 10:09 British Midland International (역사) [1,23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British Midland International(bmi)== ==연혁== ==항공기== {{각주}} 분류:항공사)
- 2021년 2월 12일 (금) 22:16 콜간항공 3407편 추락 사고 (역사) [3,62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콜간항공 3407편 추락 사고== {{각주}} 분류:항공사고) 처음에 "콜간항공 3407편 사고"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1년 2월 11일 (목) 09:52 오토스로틀 (역사) [78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오토스로틀(Auto Throttle, 자동출력제어장치)== 조종사가 원하는 속도를 입력하면 비행기가 스스로 엔진 출력을 조절해 정해진 속도...)
- 2021년 2월 8일 (월) 12:20 항공기 타이어 (역사) [2,98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기 타이어== 대부분 항공기의 랜딩기어 형태는 항공기 동체와 휠(바퀴)로 구성되어 있다. 항공기 타이어는 자동차의 그것과...)
- 2021년 2월 5일 (금) 20:38 항공협력 단계에 따른 구분 (역사) [67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협력 단계에 따른 구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구분 !! 내용 !! 협력 강도 |- | 공동운항 || 항공기 좌석 일부를 제...)
- 2021년 2월 5일 (금) 20:34 조인트벤처 (역사) [2,92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JV)== 조인트벤처(Joint Venture)는 항공사 사이에 가장 강화된 협력의 형태다. {{:항공협력 단계에 따른 구분}} ==...)
- 2021년 2월 5일 (금) 19:51 메탈중립 (역사) [1,94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메탈 중립(Metal Neutral)== 항공사간의 적극적 협력 단계인 조인트벤처(JV)의 전제 조건 혹은 형태에 가까운 개념이다. JV 참여 항공사가...) 처음에 "메탈 중립"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1년 2월 5일 (금) 18:33 SLA (역사) [47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SLA(Service Level Agreement)== 항공사가 조업사에게 지상조업 업무 등을 위탁할 때 체결되는 계약 가운데 일정한 요구조건(수준)을 요...)
- 2021년 2월 5일 (금) 09:28 Deutsche Luft-Reederei (역사) [27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Deutsche Luft-Reederei(D.L.R)== 1917년 12월 설립된 독일 항공사다. 1919년 운항을 시작했으나 1923년 Aero Lloyd AG로 전환되었다가 1926년 Junkers Luft...)
- 2021년 2월 3일 (수) 00:15 출향 (역사) [1,69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출향(出向)== 출향이란 기존에 근무하던 기업(출향원기업)의 임직원이 다른 회사(출향처기업)에 옮겨가서 그 회사 사용자의 지휘명령을...)
- 2021년 2월 2일 (화) 12:04 BNO 여권 (역사) [1,41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BNO 여권 (British National Overseas Passport)== 영국이 홍콩인들에게 발급하는 여행 증명서(여권)다. 1985년 홍콩을 중국에 반환하기로 영국·...)
- 2021년 2월 2일 (화) 00:00 기내불법행위 (역사) [1,51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내 불법 행위(In-flight Unlawful Act)==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로 항공 보안법 제2...)
- 2021년 2월 1일 (월) 23:57 불법방해행위 (역사) [1,24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불법방해행위(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로서 다음의 행...)
- 2021년 2월 1일 (월) 23:53 기내서비스 가동시간 (역사) [20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내서비스 가동시간(In-Flight Service Time)== 기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참고== * 객실 승무원 {{각주}} 분류:승...)
- 2021년 2월 1일 (월) 23:27 노선 이익 (역사) [25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노선 이익(Route Profit)== 노선 사업에서 발생한 이익을 말한다. 노선 수익에서 노선 원가를 차감한 후 남는 금액이다 ==참고== * 노선...)
- 2021년 2월 1일 (월) 23:27 노선 수익 (역사) [23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노선 수익(Route Revenue)== 노선 사업을 통해 창출된 수익으로, 항공편 운항을 통해 각 지역 노선별로 발생한 수익의 총합이다. ==참...)
- 2021년 2월 1일 (월) 23:21 장착석 (역사) [21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장착석(Installed Seat)== 항공기에 장착된 좌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제원에 좌석 수가 표기되어 있다. ==참고== * 공급석 {{...)
- 2021년 2월 1일 (월) 23:20 공급석 (역사) [21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급석(Salable Seat)== 항공기 장착석 가운데 실제로 승객에게 판매가 가능한 좌석을 말한다. ==참고== * 장착석 {{각주}})
- 2021년 2월 1일 (월) 23:00 IATA Aircraft Type (역사) [36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IATA Aircraft Type== 동일 IATA Aircraft Group 코드하에서 동체 길이, 윙스팬 또는 Category가 상이한 경우 별도의 Type으로 구분된다. 참고로...)
- 2021년 2월 1일 (월) 22:57 IATA Aircraft Group (역사) [27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IATA Aircraft Group== IATA에서 항공기 분류 시 최상위 체계로서, 항공기 모델 시리즈, 동체 모양 및 서비스 목적 (여객/화물/공통)을 기...)
- 2021년 2월 1일 (월) 17:00 T'pet coupon (역사) [79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t'pet coupon== 저비용항공사 티웨이항공의 반려동물 포인트 프로그램이다. 티웨이항공의 경우 국내선 기내 반입의 경우에만 반...)
- 2021년 2월 1일 (월) 13:50 스카이펫 (역사) [1,23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스카이펫(SKYPETS)== 대한항공의 반려동물 포인트 제도로 본인의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함께 여행할 때마다 스탬프를 모을 수 있다....)
- 2021년 1월 30일 (토) 21:05 쇼퍼서비스 (역사) [92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쇼퍼 서비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1년 1월 30일 (토) 16:53 에어트란 (역사) [1,28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에어트란(AirTran Airways)== {{항공사|airlines=에어트란|iata=FL|icao=TRS|callsign=CITRUS|homepage=[http://airtran.com]|start=1993년 - {{나이|1993|1|1|2014|12|28}}년...)
- 2021년 1월 30일 (토) 11:38 에어원 (역사) [1,79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에어원(Air One)== {{각주}} 분류:공항)
- 2021년 1월 30일 (토) 10:35 스팬에어 (역사) [1,40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스팬에어(Spanair)== 1986년 설립된 스페인 항공사로 유럽, 서아프리카까지 운항했으나 2012년 재무위기로 운항을 중단하고 사라졌다. ==연...)
- 2021년 1월 30일 (토) 00:30 게이트그룹 (역사) [1,23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게이트그룹(Gategroup)== 기내식, 식품 물류 등을 중심으로 여행 사업을 영위하는 스위스 기업이다. 게이트그룹의 모태는 스위스항공...)
- 2021년 1월 26일 (화) 19:01 쿠웨이트항공 (역사) [1,36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쿠웨이트항공 B777 ==쿠웨이트항공(Kuwait Airways)== {{항공사|airlines=...)
- 2021년 1월 26일 (화) 18:44 국내 항공노선 없는 국가 (역사) [1,02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국내 항공노선 없는 나라== 항공교통의 특성상 어느 정도 비행시간이 있어야 비행에 효율성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비행시간 필요하다. 그...)
- 2021년 1월 26일 (화) 09:38 일류신 (역사) [28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류신(Ilyushin)== 1933년에 설립된 러시아 항공기 제작사다. ==연혁== * 1933년 1월 13일, 설립 * 2006년, 러시아 정부의 통합 방침에 따라...)
- 2021년 1월 21일 (목) 23:35 PBN (역사) [25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성능기반항행 (Performance-based navigation, PBN)== 계기접근절차 또는 지정된 공역에서 ATS 항로를 따라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성능요...)
- 2021년 1월 21일 (목) 23:33 WAFC (역사) [33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세계공역예보센터 (World Area Forecast Centre, WAFC)== 인터넷기반서비스의 항공고정업무를 이용하여 전 지구 기반의 디지털 형태의 중요기상...)
- 2021년 1월 21일 (목) 23:23 산악파 (역사) [36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산악파(Mountain Wave)== 산의 영향으로 대기의 흐름 속에 발생하는 정체파를 말한다. 강한 바람이 산맥을 불어 넘을 때 산맥의 풍하측에서...)
- 2021년 1월 21일 (목) 10:53 VeriFLY (역사) [1,32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VeriFLY== 디지털 면역 여권의 한 종류다. 여행자의 건강 및 면역 정보 등을 담은 디지털 정보로 2020년 발발한 코로나19 펜데믹 속에...)
- 2021년 1월 19일 (화) 00:33 이나모리 가즈오 (역사) [1,04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나모리 가즈오(稲盛和夫)== {{인물|출생=1932년 1월 21일|사망=|나이={{나이|1932|1|21}}세}} 일본 기업인으로 교세라, KDDI 창업주로 일본항...)
- 2021년 1월 18일 (월) 09:41 일본항공 파산(2010년) (역사) [8,296 바이트] Oiiiio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본항공 파산 및 회생(2010년)== {{각주}} 분류:항공사 분류:항공경영)
- 2021년 1월 17일 (일) 16:32 알 베이커 (역사) [2,64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알 베이커(Akbar Al Baker)== {{인물|출생=1962년|사망=|나이={{나이|1962|1|1}}세}} 중동 항공사 카타르항공 최고 경영자다. 공격적인 전략으로...)
- 2021년 1월 15일 (금) 12:45 공정거래위원회 (역사) [1,99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정거래위원회(Korea Fair Trade Commission)==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 행위 규제에 관한 사항, 기업결합의 제한 및 경제력 집중의 억제, 부...)
- 2021년 1월 15일 (금) 11:28 기업결합 (역사) [3,12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업결합== {{각주}} 분류:항공사 분류:항공시장 분류:항공정책)
- 2021년 1월 14일 (목) 01:05 세브고 (역사) [1,25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세브고 ATR 72-500 ==세브고(Cebgo)== {{항공사 |airlines=세브고 |iata=DG |icao=SRQ |callsign=BLUE JAY |hom...)
- 2021년 1월 14일 (목) 00:39 Budget Aviation Holdings (역사) [30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Budget Aviation Holding== 싱가포르항공 자회사로 산하 LCC를 운영하기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2016년 5월 18일 설립되었으며 2020년 기준 산...)
- 2021년 1월 14일 (목) 00:30 타이거에어 (역사) [1,67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타이거에어(Tigerair, Tiger Airways Singapore)== {{항공사|airlines=타이거에어|iata=TR|icao=TGW|callsign=GO CAT|homepage=[https://tigerairways.com], [https://tigerair.co...)
- 2021년 1월 13일 (수) 10:56 APEX(Airline Passenger Experience Association) (역사) [4,48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APEX ==APEX(Airline Passenger Experience Association)== 1979년 설립된 항공 비영리 단체다. {{각주}} 분류:서비스 분류:항공...)
- 2021년 1월 13일 (수) 10:49 APEX 운임 (역사) [33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APEX(Advance Purchase Excursion Fare)== 할인 항공 운임의 하나로 RTN, OPEN, WT 발권이 불가한 요금이다. 유효기간은 지역마다 다르다. 동남아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