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1월 28일 (화) 15:39 PRL (역사 | 편집) [42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설명== IATA PSCRM의 Recommended Practice에 명시된 Standard Operational Message의 일종으로, 항공편 출발 시 실제 탑승한 승객들의 탑승 수속 세부 사항을 담고 있다. === IATA Standard Operational Message === {{#lst:IATA Standard Operational Message|IATA_SOM}} ==SMI 종류== {{:SMI}}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27일 (월) 14:00 Qualiflyer (역사 | 편집) [1,29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다수 항공사가 운용 중인 마일리지 프로그램 == 개요 == 1992년 4월 스위스항공, 크로스에어, 오스트리아항공이 유럽 최초로 출범시킨 항공동맹체였다. 하지만 1998년 스위스항공이 다른 유럽 항공사 지분을 인수하면서 해당 항공사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으로 확대됐다. == 현황 == 최초 설립 멤버였던 스위스항공(Swissair)은 법인(Swiss International Air Lines)이 바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27일 (월) 13:52 Miles & Smiles (역사 | 편집) [36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터키항공 마일리지 프로그램 == 개요 == 터키항공이 2000년까지 운영하던 Qualiflyer를 대체한 새로운 상용고객 프로그램(마일리지)이다. 터키항공과 항공동맹체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 이용 실적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23일 (목) 22:31 대한항공 82편 비상구 개방 시도 사건 (역사 | 편집) [1,92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3년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 비상구 개방 시도 사건이다. == 개요 == 2023년 11월, 미국 뉴욕을 출발해 인천으로 비행 중이던 대한항공 여객기에서 20대 여성이 비상구 문을 열려고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승무원의 제지로 무산됐다. 이 여성은 필로폰 투약 상태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 항공편 == * 편명: 대한항공 082편 * 일시: 2023년 11월 22일 * 구간: 뉴욕(미...) 태그: 시각 편집 처음에 "대한항공 082편 비상구 개방 시도 사건"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3년 11월 22일 (수) 13:17 에어로몽골리아 (역사 | 편집) [70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파일:Aero Mongolia Airbus A319.jpg | caption = | iata = M0 | callsign = AERO MONGOLIA | icao = MNG | homepage = https://aeromongolia.mn | start = 2001년 | flying = 2003년 5월 25일 | end = | age = {{나이|2001|7|1}} | airplane = 4대 | pax = | revenue = }} 몽골 국적 항공사다. == 개요 == 2002년 설립된 몽골 국적 항공사로 칭기즈칸공항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 연혁 == * 2001년, 설립 * 2003년 5월 25...)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22일 (수) 08:49 영국 전자여행허가 (역사 | 편집) [2,00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ETA(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영국 전자여행허가 제도 == 개요 == 영국이 자국 방문객/환승객들을 대상으로 발급하는 전자여행허가로 2024년 5월 정식 시행 예정이다. 2023년 10월 카타르 국민을 대상으로 시범 시행에 들어갔으며 2024년 2월 요르단, 바레인, 오만, 쿠웨이트, UAE,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발급 대상 == 영국에 입국하거나 통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20일 (월) 14:24 Rush Tag (역사 | 편집) [1,02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미지 | 이미지 = https://www.deadlinenews.co.uk/wp-content/uploads/2022/12/JET2_LUGGAGE_RETURNS_DN04-scaled-e1671025802662.jpg | 설명 = | 스타일 = 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 }} 러시태그(Rush Tag): 급하게 보내는 무주 수하물에 부착하는 수하물 태그 == 개요 == 일반적으로 위탁수하물은 소유주가 탑승한 항공기로 운송되어야 하지만 수하물 사고 등으로 인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9일 (일) 23:37 Ice Runway (역사 | 편집) [59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얼음 위에 조성된 항공기 이착륙 활주로 == 개요 == 남극 혹은 북극 대륙의 경우 연중 극히 짧은 기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눈으로 덮여있어 항공기 이착륙 시 지상 활주로가 아닌 얼음 또는 눈 위에 조성된 활주로를 말한다.<ref>[https://airtravelinfo.kr/apoinfo/1030156 남극 얼음 비행장/활주로를 아시나요?]</ref>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6일 (목) 09:01 제트캡 (역사 | 편집) [1,19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제트캡(ZETCAB), 항공기 공유 서비스 제공, 전용기 운용 == 설명 == 2023년 출범한 글로벌 항공 서비스 플랫폼 제트캡(ZETCAB)은 국내에선 처음으로 항공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 세계 항공 사업자 및 개인 사업자들로부터 등록된 항공기를 일반 소비자에게 개인 일정에 맞춰 비행기를 빌려주거나, 항공편 좌석을 판매하는 항공 전용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18:11 킹스포드 스미스 (역사 | 편집) [48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찰스 에드워드 킹스포드 스미스(Charles Edward Kingsford Smith), 호주 출신 비행사 == 개요 == 호주 출신 비행사로 1928년 사상 최초로 태평양 횡단 비행에 성공했다. == 태평양 횡단 비행 == == 참고 == * 세계일주비행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16:36 Service Bulletin (역사 | 편집) [73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기 제작사가 발행하는 Technical Document (SB) == 설명 == 점검, 수리, 개조 절차가 포함된 것으로 항공기 제작사가 발행하는 Technical Document이다. 운영 중인 항공기, 엔진, 부분품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감항당국의 승인 하에 발행한다. SB를 발행하는 이유는 대부분 감항성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며 실제 항공기 운항 가능 여부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13:47 에어부산 분리 매각 (역사 | 편집) [3,42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0년 합병 합의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관련해 에어부산 분리 매각 움직임 == 개요 == <onlyinclude> 2020년 말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결정에 따라 산하 LCC(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통합 계획이었으나, 2023년 말까지 합병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통합 LCC 거점이 수도권으로 예상되자 부산시 및 부산지역 기업들이 부산을 거점으로 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4일 (화) 14:19 순화물 (역사 | 편집) [73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순수하게 화물 성격으로 분류되는 물품 == 설명 == 항공화물은 화물, 수하물, 항공우편 등으로 구분되나, 엄밀하게 유상 화물 성격을 가진 순화물을 화물로 표현한다. 화물대리점, 항공사 영업점 등 영업망을 통해 판매·접수된 화물은 운송장(AWB)발행해 항공기로 수송된다. 수하물의 경우 여객기에 탑승한 승객에 소속된 물품으로 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3일 (월) 13:52 프론트 존(아시아나항공) (역사 | 편집) [1,59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시아나항공에서 제공하는 앞 좌석 지정 유료 서비스 == 개요 == 아시아나항공 항공기 이코노미클래스 앞쪽 구역에 위치한 좌석을 유료로 판매하고 있다. 비행기 도착 후 다른 승객보다 우선적으로 내리는 데 유리하다. 사전에 구매할 수 있으며 체크인이 시작되면(국제선, 48시간 전 / 국내선, 24시간 전) 잔여 좌석은 무료로 배정된다. 국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3일 (월) 13:41 아시아나항공 유료 좌석 (역사 | 편집) [3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시아나항공에서 제공하는 유료 좌석 현황 * 이코노미 스마티움 * 엑스트라 레그룸 * 듀오 좌석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3일 (월) 13:41 듀오 좌석(아시아나항공) (역사 | 편집) [92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시아나항공 좌석 2개 서비스 == 개요 == 아시아나항공 A380 기종의 2층 창가 쪽 2명 착석 좌석 배정을 유료로 제공한다. 체크인이 시작되면 (출발 48시간 전) 잔여 좌석은 무료로 배정된다. 온라인 사전 구매 시 5% 할인 구매할 수 있다. == 가격 == {| class="wikitable" |+ !노선 !요금 !비고 |- |한국/일본/중국/동북아 |20,000원 | rowspan="4" |한국, 미국, 인도네시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3일 (월) 13:32 엑스트라 레그룸(아시아나항공) (역사 | 편집) [1,33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시아나항공 레그룸 유료 서비스 ==개요== 일반석보다 다리 공간이 최소 16cm 더 넓은 좌석을 유료로 구매해 구입할 수 있다. 주로 일반석 각 구역별 가장 앞 열 및 비상구열에 위치하고 있다. 출발 48시간 전까지 홈페이지에서 사전 구매하면 최대 5% 할인해 구매할 수 있다. ==가격== {| class="wikitable" |+ !노선 !금액 !비고 |- |한국-일본/중국/동...)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3일 (월) 08:07 아시아나항공 742편 지연 손해배상 소송 (역사 | 편집) [4,67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19년 발생한 방콕발 아시아나항공 742편 22시간 지연 손해배상 소송이다. == 개요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0일 (금) 16:14 LAGs (역사 | 편집) [22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Liquids(액체), Aerosols(분무) and Gels(겔)의 약어로 항공 안전에 주의해야 할 물품을 일컫는 표현이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8일 (수) 09:00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 (역사 | 편집) [3,63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대한항공과의 통합 전제 조건으로 진행된 사업 매각 == 개요 == 2020년 대한항공으로 매각 작업이 시작됐지만 각국 경쟁당국의 승인 과정에서 2023년 유럽연합이 한국-유럽 화물시장 경쟁제한 가능성이 있다며 해소 방안을 요구했고 이에 대한 시정안으로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이 진행됐다. == 진행사항 == 2023년 5월 유럽연합이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7일 (화) 07:53 호반건설 (역사 | 편집) [1,47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건설기업으로 대한항공 지주사인 한진칼 2대 주주이다. == 개요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3일 (금) 17:49 전용기 (역사 | 편집) [1,28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용이 아닌 개인 혹은 단체가 사용하는 항공기 또는 항공편 == 개요 == 교통수단으로서 공용 성격의 상용 항공기가 아닌 '''특정인 혹은 단체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개인 전용기, 대통령 전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무용으로 도입해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으며 재벌이나 유명 연예인 등 갑부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5일 (수) 14:06 EPNdB (역사 | 편집) [66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피엔데시벨(EPNdB, Effective perceived noise in decibels): 유효 인지 소음 수준 == 개요 == 개별 항공기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상대적인 소음을 측정한 값이다. 공항의 소음도가 아닌 개별 항공기(기종)에 적용된다. 이륙, 비행, 착륙 이벤트에 대해 별도의 등급이 지정되며 이들 소음도의 합계로 나타낸다. EPNL(Effective Perceived Noise Level)로 표현되기도 한다. == 참고 == *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5일 (수) 08:49 콩코드 오류 (역사 | 편집) [1,82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콩코드 오류(Concorde Fallacy), 매몰 비용에 집착해 더 나은 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 == 개요 == 성과가 나지 않는 사업에 지속적으로 시간과 인력, 자금 등을 투입하는 현상을 말한다. == 배경 == 콩코드는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 개발한 초음속 여객기로 1976년 상업비행을 시작했다. 하지만 많은 연료 소모와 비싼 요금, 엄청난 소음 등으로 개발 당시부터 사업성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4일 (화) 13:40 호라이즌에어 (역사 | 편집) [2,04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파일:HorizonAirEmbraerE175N633QX YYCNovember2018.jpg | caption = E175 | iata = QX | callsign = HORIZON | icao = QXE | homepage = | start = 1981년 5월 | flying = 1981년 9월 1일 | end = | age = {{나이|1981|5|1}} | airplane = 41대 | pax = | revenue = }} Horizen Air, 미국 지역항공사로 알래스카항공 자회사이다. == 개요 == 1981년 설립된 미국 지역항공사로 알래스카항공 그룹 산하다. 포틀랜드, 시...) 태그: 시각 편집 처음에 "호라이즌항공"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3년 10월 24일 (화) 13:07 알래스카항공 2059편 사건 (역사 | 편집) [3,04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행 중 조종사가 엔진을 끄려 시도했던 사건 == 개요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4일 (화) 09:42 국내항공운송사업 (역사 | 편집) [1,37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운송사업 가운데 국내선을 운용할 수 있는 사업 ==개요== 국토교통부 법령이 정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국내 공항과 공항 사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항공기를 운항하는 운송사업을 말한다. == 사업내용 == *국내 정기편운항: 국내 공항과 공항 사이에 일정한 노선을 정하고 정기적(하계절, 동계절 항공기 운항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3일 (월) 16:57 MUM-T (역사 | 편집) [1,20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멈티(MUM-T, Manned-Unmanned Teaming), 유무인 복합 운용체계 == 개요 == 유무인 비행기 운용 체계로 조종사가 탑승한 일반 전투기와 무인으로 운영되는 무인 드론(비행기)이 한 팀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보잉이 호주 왕립 공군을 위해 개발 중인 무인 전투기(로열 윙맨, Loyal Wingman) 첫 테스트 비행에 성공하면서 전투기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비행기 운용 체계가 각광...)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0일 (금) 10:34 FOM (역사 | 편집) [34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행운영교범(FOM, Flight Operations Manual) == 개요 == 항공사가 국제항공운송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항공기 운항에 관련된 정책, 절차, 기준 지침 등을 수립해 제작된 교범(Manual)으로 국토교통부 신고 규정이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9일 (목) 09:24 멀티토큰 (역사 | 편집) [95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필리핀항공 멀티토큰(PMT, PAL Multi Token), 무기명 항공권 회수권 상품 == 개요 == 한국-필리핀 전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명 항공권 상품이다. (2023년 출시) == 특징 == * 구성 ** 한국-필리핀 구간 왕복 항공권 10매 ** 가격: 200만 원 ** 사용: 무기명(본인 뿐 아니라 지정한 누구나 이용 가능) ** 기간: 구매일로부터 2년 * 한국 출발, 필리핀 출발 모두 사용 가능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7일 (화) 20:45 서울 ADEX (역사 | 편집) [85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방위산업 전시회 (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ce Exibition) == 개요 == 서울 에어쇼(Seoul Air Show)와 동반해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항공 및 방위산업 관련 국제 전시회이다. 대한민국 군수 산업 발전 및 수출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군수산업의 연장으로 시작되었다. 방위산업전시회(1981년, CODEX), 항공우주 심포지엄(1984년), 서울 군수산업전(19...)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7일 (화) 17:49 항공레저 페스타 (역사 | 편집) [84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레저 페스타(KASF), 태안비행장에서 개최되는 항공 레저 축제 == 개요 == 2014년부터 충남 태안군 남면에 위치한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에서 매년 열리는 항공 레저 축제다. 2020년~2021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중단됐다가 2022년 재개됐다. == 주요 행사 내용 == === 대회 === * 패러글라이딩 대회 * 모형항공기 대회 * 스카이다이빙 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6일 (월) 10:07 Beond (역사 | 편집) [1,30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온드, 프리미엄 레저 항공사 ==개요== 몰디브 말레공항 거점으로 럭셔리 레저 항공사를 지향하고 있다. ==연혁== *2023년 11월 9일, 말레-리야드 운항 예정 (15일 뮌헨, 17일 취리히 취항) ==특징== 럭셔리 항공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160석 규모의 A319 기종 좌석을 44석으로 개조해 좌석 클래스 구분 없이 모든 승객이 누운 상태로 여행할...)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4일 (토) 21:43 앙골라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81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앙골라(Angola)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과 정보 ==대한민국 국민 입국== 우리 국민은 앙골라에 관광 목적으로 입국할 경우 비자 없이 30일(해당 연도 총 90일) 체류 가능하다. 2023년(9.29) 대통령령을 통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98개국 국민에 대한 관광비자를 면제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조건=== *도착일 기준 여권 잔여 유효기간 6개월 이상 (체류기간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4일 (토) 21:02 KX (역사 | 편집) [38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KX(Airport Tax), 캄보디아 공항세(항공권 세금) == 개요 == 캄보디아 공항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승객에게 부과하는 항공권 세금이다. {| class="wikitable" !공항 !금액 !적용(출발일) !비고 |- |PNH, REP |USD 30 |2023.10.1 |CHD USD 18 |} == 참고 == * 항공권 세금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4일 (토) 20:47 ASR(Advanced Seat Request) (역사 | 편집) [60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사전좌석배정 요청 사전좌석배정을 허용하도록 계약을 맺은 Participating Carrier의 Flight Segment에 대해서 승객의 좌석(번호)을 신청하고 확약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아마데우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4일 (토) 13:49 GTF (역사 | 편집) [1,03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Geared Turbo Fan, 차세대 터보팬 엔진 형태 == 설명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1일 (수) 08:38 항행요건 (역사 | 편집) [59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Navigation Specification, 요구되는 항공기와 운항승무원의 요건 == 설명 == 지정된 공역에서 성능 기반 항행 운항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항공기와 운항승무원의 요건을 말한다. == 종류 == * RNP 요건: 성능 감시 및 경고 발령에 관한 요건을 포함하는 지역항법을 기초로 한 항행 요건 * RNAV 요건: 성능 감시 및 경고에 관한 요건을 포함...)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1일 (수) 08:32 필수항행성능 (역사 | 편집) [48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Required Navigation Performance, RNP == 설명 == 특정 공역에 설정된 항공기 횡적 항법 정확도 요건을 말한다. 공역 요건에 따라 RNP10, RNP4, RNP2, RNP1, RNP0.3 등으로 표시한다. (숫자는 횡적 정확도 허용 범위) RNP 공역에서는 항법 정확도 충족 확인을 위해 항공기에 항법 성능 감시 및 경보 기능이 요구된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1일 (수) 08:10 항공권 최저가격제 (역사 | 편집) [1,75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권 최저 가격을 설정하는 것 == 설명 == 프랑스에서 처음 제기된 것으로 지구 환경 문제를 극복하자는 취지에서 항공권 최저가격 설정하자는 것이다. 최저가격을 일정 수준으로 설정하면 비싼(?) 항공요금 탓에 철도 등 지상교통으로 수요가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항공기 운항에 따른 탄소배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이 뒷받침했다.<ref>[https://airtraveli...)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0일 (화) 17:14 Wright Electric (역사 | 편집) [1,30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라이트 일렉트릭, 전기 비행기용 배터리 개발社 == 개요 == 2016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전기 비행기용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 연혁 == * 2016년, 설립 * 2017년 9월, 영국 저비용항공사 이지제트와 180인승 전기 항공기 개발 계획 발표 * 2021년 9월, 이지제트·Viva Aerobus와 협력해 800nm(약 1500km) 운항 가능한 186인승 여객기용 전기 모터 테스트 * 2021년 11월, 로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10일 (화) 10:51 MARS (역사 | 편집) [1,074 바이트] 121.166.237.90 (토론) (MARS는 2대의 소형기를 1대의 대형기 주기공간 내, 또는 1대의 대형기를 2대의 소형기 주기공간내 주기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주기형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7일 (토) 16:38 도심항공교통법 (역사 | 편집) [80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도심항공교통법 == 개요 == 2023년 제정된 법으로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기존 항공 관련 법인 항공안전법, 항공보안법,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 등의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UAM 관련 신기술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개발, 검증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 규제 특례 입법이다. == 참고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6일 (금) 15:50 무상승객 (역사 | 편집) [44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무상승객(Non-Revenue Passenger, 無償乘客) == 설명 == 운임을 지불하지 않거나 특별한 조건 하에서 일부 최소한의 금액만을 지불하고 항공권을 구매한 승객을 말한다. 통상 SUBLO 조건 항공권이거나 24개월 이하 유아(Infant) 운임(10%)을 지불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참고 == * 항공권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5일 (목) 11:12 본에어 (역사 | 편집) [86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본에어(VONAER), UAM 스타트업 모비에이션이 출시한 서비스 플랫폼 == 개요 == UAM 서비스 플랫폼으로 모비에이션이 2023년 2월 출시했다. 뉴욕 등에서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에어택시 서비스를 서울에 도입해 운용하고 UAM 시대가 본격화되면 eVTOL 등을 이용한 서비스로 확대할 예정이다. == 참고 == * 모비에이션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5일 (목) 11:02 모비에이션 (역사 | 편집) [1,08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모비에이션(Moviation), 대한민국 UAM 스타트업 == 개요 == 2021년 11월 설립된 UAM (Urban Air Mobility)관련 모빌리티 플랫폼, 운영체제 개발 및 인프라 구축 사업을 하는 기업이다. 헬리콥터, eVTOL 및 각종 모빌리티를 활용해 AAM(Advanced Air Mobility) 서비스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 연혁 == * 2021년 11월 11일, 설립 * 2023년 2월, UAM 서비스 본에어(VONAER) 런칭 {{각...)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3일 (화) 23:31 백령공항 건설 (역사 | 편집) [3,40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7년 개항을 목표로 건설 추진 중인 도서지역 공항이다. ==개요== <onlyinclude> 2013년 추진된 백령도 소형 공항 건설은 여러차례 사업 타당성이 검토된 끝에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2022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됐다. </onlyinclude> ==규모== *위치: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솔개간척지 (부지: 25만4000㎡) *활주로: 길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3일 (화) 23:17 흑산공항 건설 (역사 | 편집) [3,56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6년 개항을 목표로 건설 추진 중인 도서지역 공항이다. ==개요== 2008년 건설 계획이 확정됐으며, 2015년 신규 공항 건설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 중이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7282 울릉도/흑산도 공항 건설 - 유스카이,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호재]</ref> ==건설== <onlyinclude> 2008년 울릉공항과 함께 건설 확정했으며 2015년 신규 공항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일 (월) 13:22 AVJET ASIA (역사 | 편집) [1,37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에브제트아시아, 비즈니스 제트 운항 지원 서비스 지상조업사 == 개요 == 2008년 설립된 비즈니스 제트 항공기에 대한 운항지원, 지상조업, 항공기 정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조업사로, 우리나라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 격납고 운영 사업자다. 에브제트아시아는 항공기취급업, 항공기정비업, 정비조직인증(AMO) 등의 자격을 보유하고...)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0월 2일 (월) 12:48 씨피케이 (역사 | 편집) [47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CPK(Cargo Partners Korea), 인천공항 램프 부문 지상조업사 == 개요 == 2013년 설립한 지상조업사로, 인천공항에서 램프 부문 지상조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서비스 == === 램프 조업 === * 수하물 및 화물 상하역 * 항공기 유도 * 항공기 출·도착 지원 업무 == 참고 == * 대한민국 지상조업사 {{각주}})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