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2004년, 화물 사업 세계 1위 ( ~ 2009년) | * 2004년, 화물 사업 세계 1위 ( ~ 2009년) | ||
*2014년 9월, [[아마데우스]] 기반의 신 여객 시스템([[PSS]]) 도입 | *2014년 9월, [[아마데우스]] 기반의 신 여객 시스템([[PSS]]) 도입 | ||
*2017년 6월, 델타항공과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협정 체결 | *2017년 6월, 델타항공과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협정 체결 | ||
*2000년 [[11월 16일]],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 발표 (※ [[아시아나항공 매각]] 참고) | *2000년 [[11월 16일]],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 발표 (※ [[아시아나항공 매각]] 참고) | ||
*2024년 [[3월 14일]], 영종도에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ref name=":20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4614 대한항공,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공장 기공식(2024.3.15)]</ref> | *2024년 [[3월 14일]], 영종도에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ref name=":20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4614 대한항공,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공장 기공식(2024.3.15)]</ref> |
2024년 12월 11일 (수) 18:43 판
대한항공 | ||
---|---|---|
대한항공 A380
| ||
KE |
KAL |
KOREAN AIR
|
설립 | 1969년 3월 1일 ( 55년 )
| |
취항 | 1969년 3월 1일 | |
항공기 | 163대 | |
여객 | 20,173,571명 (2023년) | |
매출 | 16조1118억 원(2023년/연결) | |
H/P | koreanair.com |
개요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요청으로 한진상사(대표 조중훈)가 인수한 대한항공공사를 바탕으로 1969년 3월 1일(55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대 항공사이다. 2023년 기준 2,017만 명 수송, 연결재무 기준 16조 1118억 원(별도재무 기준 14조 5751억 원) 매출을 기록했다.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하고, 경쟁당국 승인 등 통합 작업을 거쳐 2024년 12월 자회사로 편입하며 우리나라 양대 항공사(FSC) 시대를 마무리하고 단일 FSC 시대를 열었다.
연혁
- 1969년 3월 1일, 대한항공공사 인수하여 대한항공 설립
- 1971년 4월 26일, 미주 화물 정기 노선 개설 (서울-도쿄-로스앤젤레스)
- 1972년 4월 19일, 미주 여객 정기 노선 개설 (서울-도쿄-호놀룰루-로스앤젤레스)
- 1972년, B747 점보, A300 기종 도입 결정[1]
- 1973년 10월, 유럽 정기 화물노선(서울-파리) 개설, 여객은 1975년 개설
- 1979년 3월, 뉴욕 직항편 취항
- 1981년 12월, 로스앤젤레스공항 대한항공 전용 화물터미널 준공
- 1983년 1월, 신예약발권 시스템(TOPAS) 도입
- 1990년 4월, 대양주(시드니) 여객 노선 취항
- 1992년 5월, 대한항공 자체 양성 조종사 첫 배출 - 제주 비행훈련원 출신
- 1992년 10월, 남미(상파울루) 여객 노선 취항
- 1994년 12월, 중국(베이징) 여객 노선 취항
- 2000년 6월,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에어로멕시코와 함께 항공동맹체 스카이팀 창설
- 2004년, 화물 사업 세계 1위 ( ~ 2009년)
- 2014년 9월, 아마데우스 기반의 신 여객 시스템(PSS) 도입
- 2017년 6월, 델타항공과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협정 체결
- 2000년 11월 16일,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 발표 (※ 아시아나항공 매각 참고)
- 2024년 3월 14일, 영종도에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2]
- 2024년 12월 12일, 아시아나항공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
아시아나항공 인수
2019년 4월 유동성 위기를 넘기지 못한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아시아나항공과 자회사를 일괄 매각하기로 했다. HDC현대산업개발·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과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지만 인수 절차 진행 중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시장 악화로 2020년 9월 계약이 해제되며 매각은 무산됐다.[3]
이후 채권단(산업은행)의 제안으로 대한항공 모기업 한진칼이 2020년 11월 공식적으로 매각 계획을 발표하며 인수 절차에 들어갔다. 2022년 2월 21일, 공정위는 슬롯·운수권 반납 등의 조건을 걸어 양사의 통합을 승인했다.[4][5] 2024년 11월 유럽연합 최종 승인을 득하며 사실상 기업결합 승인은 모두 종료됐다. 12월 11일 1조5천억 원 투입해 아시아나항공 발행 신주(지분율 63.9%)를 확보한 대한항공은 12일부로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하며 약 5년 8개월에 걸쳐 진행된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마무리됐다.
양사는 이후 2년 준비기간을 거쳐 물리적으로 통합해 2026년말까지 통합사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
2020년 초 발발한 코로나19 사태는 전 세계 항공업계를 패닉으로 몰아 넣었지만 대한항공은 강력한 화물사업 경쟁력과 발빠른 확장 전략으로 오히려 재무구조 등이 대폭 개선되는 역설적인 상황을 만들었다. 기내식, 칼리무진 등 비주력사업을 매각하고 유상증자를 실시했고 앓던 이 송현동 부지를 매각하면서 대규모 자금을 확보했다. 대한항공은 2003년 세계적인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근) 유행으로 인해 여객사업이 위축됐을 때도 일시적으로 화물사업을 강화해 고비를 넘긴 바 있다.
대한항공은 한 때 세계 1위 자리에 올랐을 정도의 강력한 화물사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코로나19 기간 중 3년 연속 흑자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다. 2022년 1분기, 3분기 각각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하며 코로나19 회복과 함께 2022년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6]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비고 |
---|---|---|---|---|---|---|---|
자본총계 | 3조1527 | 2조8184 | 3조3694 | 6조9781 | 9조2256 | 9조6748 | |
부채총계 | 21조4835 | 22조9399 | 21조3779 | 19조2149 | 18조8401 | 19조5523 | |
부채비율(%) | 681.43 | 813.93 | 634.47 | 275.36 | 204.21 | 202.09 | 코로나19 기간 중 개선 |
자본잠식률(%) | N/A | N/A | N/A | N/A | N/A | N/A |
항공동맹체
- 소속: 스카이팀 (창립 멤버)
특징
기본적으로 여객 및 화물 운송사업이 주된 사업이지만 대한항공은 항공기 관련 제작,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항공우주사업본부를 주축으로 군용 항공기 정비사업(MRO), 보잉·에어버스 등 대형 항공기 제조사에 항공기 부품 제작 공급, 드론 등 무인 항공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운송사업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사업으로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주축 사업이다.
항공우주사업
여객·화물운송 등 전통적인 물류 사업을 펼치고 있는 대한항공은 업계에서는 매우 드물게 MRO 및 항공기 제조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투기를 비롯한 항공기 성능 개량 사업과 보잉, 에어버스, 엠브레어 등 세계적인 항공기 제조사의 항공기 부품을 생산해 공급하고 있으며, 군용 무기체계의 일환으로 무인기, 드론, 스텔스 전투기 등의 개발 사업을 펼치고 있다.
MRO
2000년대까지 대한항공 MRO 사업은 주로 군용 항공기를 대상으로 했다. 아울러 1976년부터 B707 항공기 엔진 중정비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5천대 가까운 엔진을 재탄생 시켰지만 이는 대부분 대한항공 자체 물량이었다. 하지만 저비용항공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 항공정비 수요가 급증하자 2020년대부터 대외로 확장하기 시작했다.
도심항공교통 사업
2021년에는 UAM(도심항공교통) 사업 진출을 위해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유관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7]
기내 인터넷
2005년 보잉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CBB에 참여했지만 사업성을 이유로 보잉이 사업을 접는 바람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는 이어지지 않았다. 이후 2018년 소형급 기종인 A220 도입과 함께 인터넷 서비스 준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 A220 기종은 기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만 가능했을 뿐 실질적인 인터넷 서비스는 이뤄지지 않았다. 2023년 6월 신기종 A321neo 도입과 함께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했다.
2024년 3월, 위성 인터넷 솔루션 제공업체인 비아샛과 B787 항공기 40대에 대한 기내 인터넷(IFC)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027년까지 A321neo를 포함 70대에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8]
보유 항공기
기종 | 보유 | 주문 | 비고 |
---|---|---|---|
A220-300 | 10 | - | |
A321neo | 14 | 36 | 옵션 20대 별도[9], 2022년 10월 27일 첫 기체 도입[10] |
A330-200 | 1 | - | |
A330-300 | 19 | - | |
A350-900 | 6 | 2024년 계약 | |
A350-1000 | 27 | 2024년 계약 | |
A380-800 | 7 | - | 3대 파트아웃 작업(2024년) |
B737-700 | - | ||
B737-800 | 2 | - | |
B737-900 | 9 | - | |
B737-900ER | 6 | - | |
B737 MAX 8 | 5 | 25 | 옵션 20대 별도, 2019년 B737 MAX 비행 중지 사태로 도입 연기 2022년 2월, 첫 기체 인도[11] |
B747-400 | - | - | |
B747-400F | 4 | - | 화물기 |
B747-8i | 8 | - | 1대는 대통령 전용기로 임대 |
B747-8F | 7 | - | 화물기 |
B777-200ER | 5 | - | |
B777-300 | 4 | - | |
B777-300ER | 25 | - | |
B777F | 12 | - | 화물기 |
B777-9 | 20 | ||
B787-8 | 1 | BBJ | |
B787-9 | 14 | 6 | B787 총 30대 도입(옵션 10대 포함) |
B787-10 | 5 | 35 | |
계 | 158 | 155 | |
기타 | 3 | - | BBJ(1대), BD700(1대), G650(1대) |
A300 도입
1974년 9월 5일, 에어버스 A300 기종 6대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설립 초기였던 에어버스에게 세 번째 주문이었고, 비유럽 항공사로서는 첫 번째 주문이었다. 항공기는 이듬해 8월 1일 대한항공에 인도됐다. 시장에 안착하기 전이었기에 에어버스에게는 민간 항공기 시장에서 신뢰를 얻는 기회가 됐다. 프랑스와의 관계 증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 정부는 대한항공에 호의적인 모습을 유지했다. 조중훈 회장은 프랑스 정부가 외국인에게 수여하는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을 수여 받기도 했다.
B737
2022년 2월 13일, 첫 B737 MAX(B737-8) 기종 도입
B747
1989년 6월, B747-400 도입
2015년 8월, B747-8i 도입
2019년 말 B747-400 여객기 퇴역을 시작했다. 2019년 10월 기준 B747-400 기종은 여객기 2대, 화물기 3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여객기를 퇴출하기로 한 것이다. [12]
2021년, A380 퇴출 계획과 함께 B747-8 기종 역시 10년 내 퇴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이었으며 대형 항공기의 미래가 매우 암울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13] 2024년 5월, 이사회에서 B747-8i 항공기 5대를 미국 우주항공기업 '시에라 네바다'에 매각(2025년까지, 9183억 원)하기로 결정했다.
B777
2019년에 이어 2024년, 보잉이 개발 중인 B777 개선 버전 B777X 기종 도입 소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대한항공과 보잉이 B777X 여객기 10대 도입을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14]
2024년 7월, B777-9 기종 20대, B787-10 기종 30대(옵션 10대 포함) 구매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34년까지 도입한다.[15]
A380
2011년 7월, 초대형 항공기 A380 도입
2010년대 후반 들어서면 항공교통의 흐름이 허브 앤 스포크 형태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로 바뀜에 따라 2011년 도입한 초대형 항공기 A380 기종의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기 시작했다. 결국 2021년 A380 기종을 퇴출시키기로 결정했다. 2023년 A380 기종 10대 모두를 송출하려 했지만 세계 항공기 시장에서 A380을 도입하려는 항공사가 없었다. 결국 2024년 대한항공 임차 3대는 반환하고 나머지 구매 7대는 파트아웃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 우선 3대에 대해 4월부터 파트아웃 작업에 들어갔다.
B787
2017년 2월, B787 드림라이너 도입
A220
2017년 12월, A220-300 항공기 도입
A321
2022년 10월 27일, 첫 A321neo 기종 도입
A350
2024년 3월, 에어버스 A350 기종 33대 도입 계획 발표. 4월 계약 체결 (A350-1000 27대, A350-900 6대)[16][17]
사건 / 사고
- 대한항공 631편 사고(2022년): 세부공항 착륙 중 오버런했다. 인명 피해 없었으나 항공기는 전손 처리됐다.[18]
- 대한항공 러시아 1200억 원 과징금 사건(2021년): 모스크바 출발 화물기가 세관 직인 없이 이륙해 과징금을 부과받은 사건이다.
- 물컵갑질(2018년): 조현민 당시 대한항공 전무가 광고 회의 관련해 물컵을 집어던진 사건으로 인한 논란이다. 이 사건은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진에어 국토부 제재 등을 불러왔다.
- 땅콩회항(2014년): 조현아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이 땅콩 서비스를 문제삼아 항공기를 되돌려 사무장을 하기시킨 갑질 사건으로 국민의 공분을 불러왔다.
- 대한항공 801편 사고(1997년): 괌공항 접근 과정에서 추락해 탑승자 228명이 사망한 항공사고이다.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1982년): 소련 영공에서 전투기의 공격으로 추락해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한 사건이다.
- 대한항공 902편 피격 사건(1978년): 파리를 출발해 서울로 비행 중 소련 영공 침범해 전투기에 의해 피격, 무르만스크 인근 호수에 비상착륙한 사건이다.
기타
지분구조
주주 | 지분율(%) | 비고 |
---|---|---|
한진칼 | 26.13 | 지주사 |
국민연금공단 | 7.32 | |
우리사주조합 | 4.14 | |
한국산업은행 | 3.32 | |
기타 | 58.02 |
참고
각주
- ↑ 여기에는 미국, 프랑스 등과의 정치적인 이해가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까지 안전 담보되지 않은 A300 기종을 정부의 요청으로 조중훈 회장이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 보잉의 독주를 막은 건 대한항공?
- ↑ 대한항공,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공장 기공식(2024.3.15)
- ↑ 결국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 채권단, 거래종결 통보한다
- ↑ 공정위, 대한항공·아시아나 결합이 시장 경쟁제한 판단 ·· 국토부와 대책 논의
- ↑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조건부 승인 … 운수권·슬롯 반납·운임 제한
- ↑ 대한항공, 3Q 역대 최대 8392억 영업이익 거둬 (2022.11.3)
- ↑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 진출 ·· 무인기·드론개발·항공교통체계 경쟁력 보유
- ↑ 대한항공, 비아샛과 협력...보잉 787기 40대에 초고속 와이파이 제공(2024.3.22)
- ↑ 대한항공도 A321neo 30대 구매 계약 체결
- ↑ 대한항공 첫 A321neo 항공기 도착 … 12월 국내선 투입 (2022.10.27)
- ↑ 대한항공 B737 MAX 8 첫 기체, 어제 김포 도착
- ↑ 대한항공 영광 이끈 하늘의 여왕 B747-400 여객기 퇴역 추진(219.10.22)
- ↑ 대한항공도 초대형 A380 퇴출, B747-8i도 10년 안에 내보낸다(2021.8.20)
- ↑ 대한항공, 보잉 777X 10대 도입 검토(2024.4.25)
- ↑ 대한항공, 차세대·친환경 항공기 50대 구매 … 30조 원(2024.7.22)
- ↑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 18조 원 규모(2024.3.21)
- ↑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계약 체결(2024.4.3)
- ↑ 대한항공, 세부공항서 불시착 … 무사히 비상대피 (2022.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