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 2025년 1월 22일 (수) 22:27 에어빌리티 (역사 | 편집) [2,20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업 | 명칭 = 에어빌리티 | 영문 = Airbility | 설립 = 2023년 11월 | 사업분야 = 비행체, 드론 개발 | 대표 = 이진모/류태규 | 상장 = 비상장 | 모기업 = | 자회사 = | 본사 = 경기도 성남시 | 매출 = | 웹사이트 = | 비고 = }} Airbility, 수직이착륙 AAM 기업 == 개요 == 2023년 11월 설립된 한국 스타트업이다. 주 사업분야는 항공기, 드론, 유통 분야의 수직이착륙 기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2일 (수) 21:13 JKL파트너스 (역사 | 편집) [95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JKL Partners, 대한민국 사모펀드 == 개요 == 대한민국 사모펀드로 국내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고사 위기에 있던 항공산업에 투자해 적지 않은 투자 성과를 거두었다. == 항공산업 투자 == === 티웨이항공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자금난에 빠진 티웨이항공에 총 1000억 원 규모(1차 800억 원, 2차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217억 원 투자)했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2일 (수) 20:40 비행과 음주 (역사 | 편집) [2,08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행과 관련된 음주 현황 ==개요== 서비스 측면에서 대부분 항공사는 기본적으로 기내에서 맥주, 위스키, 와인 등 주류를 제공한다. 하지만 업무 수행 중인 승무원은 기본적으로 음주가 불가능하다. 특히 조종사 등 항공종사자는 비행 등 업무 수행 전 음주 측정을 통해 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도 한다. 때로는 음주로 인한 기내 난동으로 항공 안...)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0일 (월) 21:27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변동 (역사 | 편집) [7,43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에어프레미아 설립 이후 경영권 변동 내용 ==개요== 2017년 설립 후 2019년 사업면허를 취득하며 취항을 눈 앞에 두었으나 설립자와 투자자 간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대표가 물러났다. 이후에도 지분을 확고히 한 대주주 없이 투자자 중심으로 경영이 이루어지면서 경영권 변동 가능성이 커졌다. ==경영권 변동== ===JC파트너스 & 코차이나=== 항공운송사업 면허...)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0일 (월) 17:18 에어돌로미티 (역사 | 편집) [1,04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Air Dolomiti, 루프트한자 그룹 산하의 이탈리아 지역항공사 ==개요== 1989년 설립된 이탈리아 지역항공사로 이탈리아 베로나, 플로렌스, 베니스 등을 거점으로 운항하고 있다. ==연혁== *1989년 12월 30일, Linee Aeree Europee (L.A.E). 설립 *1991년 1월, 운항 개시 *1999년, 루프트한자, 지분 26% 매입 → 2003년 100% 매입 ==항공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0일 (월) 16:56 루프트한자 시티 (역사 | 편집) [1,45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Lufthansa City Airlines, 루프트한자 그룹 지역항공사 ==개요== 2024년 운항을 시작한 루프트한자 그룹 산하의 지역항공사로 뮌헨공항을 거점으로 운항하고 있다. ==연혁== *2022년, City Airlines 설립 → Lufthansa City Airlines *2023년 6월, AOC 취득 & Lufthansa City 브랜드 전환 *2024년 6월 26일, 운항 개시 2024년 6월, 루프트한자 그룹 산하의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0일 (월) 16:41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역사 | 편집) [1,40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루프트한자 그룹 항공사 == 개요 == 1958년 설립된 독일 지역항공사로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다. == 연혁 == * 1958년, Ostfriesische Lufttaxi(OLT) 설립 * 1970년, Ostfriesische Lufttransport (OLT) 전환 * 1974년 10월 1일, DLT Luftverkehrsgesellschaft mbH 전환 * 1978년, 단거리 국제선 개시 * 1989년, 루프트한자 항공편 운행 * 1992년 3월, 루프트한자 자회사로 편입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0일 (월) 16:23 루프트한자 그룹 (역사 | 편집) [1,14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업 | 명칭 = | 영문 = Deutsche Lufthansa AG | 설립 = 1919년(루프트한자) | 사업분야 = 항공, 항공기술, 항공교육 | 대표 = | 상장 = | 모기업 = | 자회사 = | 본사 = | 매출 = | 웹사이트 = [https://lufthansagroup.com lufthansagroup.com] | 비고 = }} 루프트한자 항공을 포함하는 독일 항공 그룹 == 개요 == 루프트한자를 포함한 다양한 항공 관련 기업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독일 기...)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8일 (토) 23:36 자메이카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19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Jamaica, 카리브해의 도서 국가 == 대한민국 국민 ==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무비자 입국, 90일 체류 가능하다.(관광 목적) === 조건 === * 귀국/이원 항공권 * 여행서류 유효기간, 체류일까지 유효 === 주의사항 === * 18세 미만 여행자의 동반자가 부모가 아닌 경우 법적 보호 대리인임을 증명하는 서류가 필요하다. == 출입국 일반 == === 입국/세관 신고서 === 입국 전 [h...)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8일 (토) 22:57 니제르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67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출입국 | 비자 = 필요 | 비자형태 = 실물 비자 | 체류기간 = - | ETA = 없음 | 입국신고 = - | 주의사항 = 입국, 체류 규정 엄격 }} Republic of the Niger, 서아프리카에 있는 내륙국으로 수도는 니아메다. ==대한민국 국민==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은 유효한 비자 또는 체류 허가증을 소지해야 한다. ==출입국 일반== === 체류 신고 === 외국인 체류 시 숙박 제공자는 반드시 경찰 당...)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8일 (토) 22:30 EAW (역사 | 편집) [24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E-Freight 적용 스페셜 코드 == 개요 == E-Freight Project가 적용되는 화물 중 부속 서류(paper)없이 운송되는 화물에 대한 Special Code 중 하나이다. == 관련 용어 == * EAP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8일 (토) 22:29 EAP (역사 | 편집) [50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E-Freight 적용 스페셜 코드 중 하나 == 개요 == E-Freight 프로젝트가 적용되는 화물 중 부속 서류(종이 형태)를 동반하고 운송되는 화물을 의미하는 스페셜 코드다. E-Freight가 적용되는 화물이라 해도 IATA에서 지정한 paperless 대상 서류에 포함되지 않는 부속서류(미주행 보안각서 등)가 있을 시 paper서류가 동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 기타 == * EAW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8일 (토) 22:26 E-Freight (역사 | 편집) [27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Paperless 전자 화물 == 개요 == 화물 운송 및 통관에 필요한 서류를 전자 문서화하여 항공 화물의 Paperless를 구현하는 IATA의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다. == 참고 == * EAW * EAP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7일 (금) 07:19 코모로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25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Comores Island(코모로)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입국 시 비자 필요하다. 공항이나 항구에서 45일 체류 가능한 비자 구매할 수 있다. ===도착비자=== *도착 시 공항, 항구에서 비자 취득 가능 *체류기간: 45일 *수수료: 30유로(50달러) ※ 외교관, 관용여권 면제 ===조건=== *이원 혹은 왕복 항공권 *호텔(숙박) 예약 확인 서류 또는 체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5일 (수) 08:02 Sky Airlines (역사 | 편집) [89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Sky Airlines, 튀르키예 항공사 == 개요 == 튀르키예 안탈랴공항을 거점으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운항했다. 2013년 파산했다. == 연혁 == * 2000년, 설립 * 2001년, 운항 개시 * 2010년, 튀르키예 국내선 운항 개시 * 2013년 6월 4일, 파산 == 항공기 == {| class="wikitable" |+2013년 2월 !기종 !보유 !주문 !비고 |- |B737-400 |1 | | |- |B737-900ER |4 | | |- !계 !5 ! ! |} == 기타 == === 자회사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5일 (수) 07:39 Sky Airline (역사 | 편집) [1,02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File:CC-AZE SCEL Feb. 23rd 2019.jpg | caption = A320neo | iata = H2 | callsign = AEROSKY | icao = SKU | homepage = https://skyairline.com | start = 2001년 12월 | flying = 2002년 6월 | end = | age = {{나이|2001|12|1}} | airplane = 36대 | pax = | cgo = | revenue = }} Sky Airline, 칠레 항공사 == 개요 == 2001년 설립된 칠레 항공사로 산티아고항공(SCL)을 거점으로 운항하고 있다. 에콰도르, 페루에 각각 산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3일 (월) 14:44 RIPS (역사 | 편집) [3,71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독립 전원공급 기록장치, Recorder Independent Power Supply == 개요 == 10명 이상의 승객을 태운 모든 항공기에 블랙박스(CVR)에 10분간의 독립적인 백업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다. 항공기의 전원이 모두 꺼진 후에도 계속 녹음되도록 자동으로 작동한다. 미국 FAA는 2018년 이후 생산되는 항공기에 설치하도록 의무화했다. == 기타 == 2024년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3일 (월) 06:10 서왈보 (역사 | 편집) [1,53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인물 | 이미지 = | 설명 = | 직업 = 비행사, 독립운동가 | 출생 = 1886년 | 사망 = 1926년 6월 28일 | 나이 = {{나이|1886|5|1|1926|6|28}} }} 서왈보,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이자 비행사 == 개요 == 일제 치하에서 중국 항공학교에서 비행훈련을 수료해 조종사가 되었으며 중국 군대 등에 복무하며 항일운동을 벌였다. == 생애 == 1886년 함경도 덕원도호부(현재 강원도 원...)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1일 (토) 23:12 MK항공 1602편 사고 (역사 | 편집) [4,91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고 | 이미지 = | 설명 = | 항공사 = MK항공 | 편명 = 1602 | 기종 = B747-200SF | 등록번호 = 9G-MKJ | 일자 = 2004년 10월 14일 | 위치 = 할리팩스공항 | 출발지 = {{툴팁|BDL|코네티컷 브래들리공항}}(KBDL) 미국 | 경유지 = {{툴팁|YHZ|할리팩스스탠필드공항}}(CYHZ) 캐나다 | 목적지 = {{툴팁|ZAZ|사라고사공항}}(LEZG) 스페인 | 탑승자 = 7명(승무원) | 사망자 = 7명 전원 | 사고원인 =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0일 (금) 17:13 남수단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38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South Sudan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 대한민국 국민 == 대한민국 국민은 남수단 입국 시 비자가 필요하다. 입국 전에 전자비자를 받아야 한다. === 조건 === * == 출입국 일반 == == 세관 == === 면세 한도 === 없음 (승무원도 면세 한도 없음) === 무기/화약류 === 금지 === 애완 동물 === 건강 증명서 필요 == 검역 == === 예방 접종 === 황열병 예방 접...)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0일 (금) 14:17 MIBA (역사 | 편집) [2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다자간 인터라인 비즈니스 협정, Multilateral Interline Business Agreement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10일 (금) 12:43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통합 과정 (역사 | 편집) [6,29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4년 12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한 후 약 2년에 걸친 통합을 진행했다. ==개요== ==참고== {{온글 | 온글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9일 (목) 21:03 제주항공 2216편 사고 신고 (역사 | 편집) [7,85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제주항공 2216편 무안공항 추락 사고에 대한 신고 == 개요 == 사고 직후 여러차례 소방대로 일반인 신고가 접수되었다. == 현황 == ==== 1차 ==== 119: 네.. 119입니다. 신고자: 예.. 지금 무안공항인데요.. 119: 어디요? 신고자: 비행기 착륙하다가.. 지금.. 뭐지.. 랜딩기어가 안 내려와서.. 지금 사고 났거든요.. 지금 빨리..무안공항.. 아..무안공항이래.. 잠시만요.. 잠시만요....)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9일 (목) 17:57 안도라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5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출입국 | 비자 = 무비자 | 비자형태 = | 체류기간 = 90일 | ETA = 없음 | 입국신고 = 없음 | 주의사항 = 프랑스, 스페인 출입국 규정 우선 적용 }} Andora(Principat d'Andorra)의 출입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카탈루냐와 프랑스 사이에 있는 470㎢(제주도의 약 1/4 정도) 크기의 작은 공국이다. 출입 자체가 프랑스나 스페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별도의 출입국 절차가 없다. 대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9일 (목) 13:44 카보베르데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3,06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프리카 서쪽 대서양의 도서 국가 카보베르데(República de Cabo Verde)의 출입국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 대한민국 국민 == 대한민국 국민은 카보데르데 입국 시 비자(사증)가 필요하다. 국내 대사관 없으므로 주변국(세네갈 등) 카보데르데 대사관을 통해 사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 비자 발급 === * 카보베르데 공관: 독일, 앙골라, 미국(워싱턴), 벨기에, 쿠바, 세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9일 (목) 11:35 무안공항 (역사 | 편집) [3,64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항 | img = | caption = | iata = MWX | icao = RKJB | open = 2007년 11월 8일 | location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asl = 16m (52ft) | rwy1 = 01/19 | rwy_len1 = 2800m | rwy_remarks1 = 콘크리트 | pax = | freight = | flight = | homepage = }} 전남 무안에 소재한 공항이다. == 개요 == 2007년 개항한 전남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으로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이 운항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8일 (수) 02:44 Maldivian (역사 | 편집) [1,07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몰디비안, 몰디브 국적 항공사 ==개요== 2000년 설립된 몰디브 국적 항공사로 수도 말레에 거점을 두고 있다. ==연혁== *2000년, Island Aviation Services 설립 *2008년 1월 26일, 국제선(인도) 취항 *2008년 8월 25일, 몰디비안(Maldivian)으로 리브랜드 *2009년 4월 23일, IAS(Island Aviation Services) 100% 국영화 ==항공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5년 1월 !기종 !보유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8일 (수) 00:35 브래니프항공 (역사 | 편집) [4,49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Braniff International Airways, 미국 항공사 == 개요 == 1928년 설립해 1982년까지 운항했던 미국 항공사다. 이후 '브래니프(Braniff)'라는 브랜드로 항공사, 여행사 등이 운영되기도 했다. == 연혁 == * 1926년 4월, Braniff Air Lines 설립 (Paul Revere Braniff, 비행학교 겸 정비) * 1928년 5월 29일, 주식회사 Paul R. Braniff 설립 (동생 Thomas Elmer Braniff와 함께) * 1928년 6월 20일, 운항 개시 (오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7일 (화) 23:39 Wardair (역사 | 편집) [72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File:Wardair 747-1D1.jpg | caption = B747-100 | iata = WD | callsign = WDA | icao = WARDAIR | homepage = | start = 1952년 | flying = 1953년 6월 6일 | end = 1989년 | age = {{나이|1952|7|1|1989|7|1}} | airplane = 30대(합병 시점) | pax = | cgo = | revenue = }} 와드에어(Wardair Canada), 캐나다 항공사 == 개요 == 1952년 설립해 1989년 캐나다항공으로 인수되기까지 운항했던 캐나다 항공사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7일 (화) 23:26 모나크항공 (역사 | 편집) [1,20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File:Airbus A320-214, Monarch Airlines JP7603646.jpg | caption = A320-200 | iata = ZB | callsign = MON | icao = MONARCH | homepage = | start = 1967년 6월 5일 | flying = 1968년 4월 5일 | end = 2017년 10월 2일 | age = {{나이|1967|6|5|2017|10|2}} | airplane = 35대 | pax = | cgo = | revenue = }} Monarch Airlines, 영국 항공사 == 개요 == 1967년 설립한 영국 항공사로 루턴(Luton)을 거점으로 운항했으나 2000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7일 (화) 19:21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역사 | 편집) [2,12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Aviation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사조위) == 개요 == 항공 및 철도교통 사고의 원인 규명과 예방을 위한 사고조사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이다. == 연혁 == * 1963년 12월 17일, 교통부 항공국 시설과 설치 (항공기 사고조사 및 처리 담당) * 1984년 2월 16일, 철도청에 안전관실 설치 (철도 사고 원인 조사 및 처리 담당) * 1990년 6월 12일, 교통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7일 (화) 14:30 부산에어 (역사 | 편집) [86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5년 부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사회에서 설립 추진 중인 항공사 (가칭) == 개요 == 2025년 부산 시민단체와 지역 사회가 설립 추진 중인 신생 항공사다. == 설립 == 2024년 12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확정에 따라 이후 에어부산이 진에어로 흡수 통합될 것을 우려하여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을 요구했으나 받아 들여지지 않자 부산 지역 상공회와 시민단체 등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7일 (화) 12:28 오만에어 (역사 | 편집) [1,30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File:A4O-SF - Boeing 787-9 Dreamliner - Oman Air - MSN 39294 - VGHS.jpg | caption = B787-9 | iata = WY | callsign = OMAN AIR | icao = OMA | homepage = https://omanair.com | start = 1993년 | flying = 1993년 3월 | end = | age = {{나이|1993|1|1}} | airplane = 35대 | pax = | cgo = | revenue = }} 오만항공(Oman Air), 오만 국적 항공사 ==개요== 1993년 설립된 오만 국적 항공사로 무스카트공항을 거점으로 운항하고...)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23:13 탄자니아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56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탄자니아(Tanzania) 출입국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대한민국 국민은 탄자니아 입국 시 비자가 필요하다. 입국 전에 전자비자를 받을 수 있다. ===조건=== *전자비자 발급해 e-Visa 확인증 인쇄해 소지 *체류 중 사용 경비: 하루 USD 50, 100 *귀국 항공권<br /> === 전자비자 발급 === * 온라인 발급 사이트 접속: https://www.visitzanzibar.go.tz/ * Visa 발급...)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22:42 스웨덴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62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스웨덴(Sweden) 출입국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대한민국 국민은 무비자 입국해 3개월 체류할 수 있다. 최대 180일까지 체류 연장할 수 있다. ===주의 사항=== *발급 10년 경과한 여행서류(여권) 불인정 *이원/귀국 항공권 소지 ==출입국 일반== ==세관== ===면세 한도=== 유럽 면세 한도 적용 (담배, 1안 적용) {{참고 | 참고1 = EU 면세 한도 | 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17:39 가즈프로마비아 9608편 사고 (역사 | 편집) [2,22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4년 7월, 시험비행 중 추락 사고 == 개요 == 2024년 7월 12일, 정비를 마치고 시험비행 중이던 가즈프로마비아 소속 슈퍼제트 100 항공기가 추락해 승무원 3명 전원 사망했다. == 발생 경위 == 정비를 마친 후 루호비즈키 정비 공장에서 페리(Ferry) 비행을 하던 중 이륙 3분 경 사고기는 관제와 마지막 교신이 있었다. 최대 5250피트까지 상승했으나 이륙 7분 만에...)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03:21 Seat Recline (역사 | 편집) [67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좌석 등받이 기울기 == 개요 == 항공기 좌석의 등받이를 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는 각도를 말한다. 통상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표현한다. 이코노미클래스의 경우 보통 113~118도 정도의 기울기다. 프리미엄 클래스일 수록 이 기울기는 180도에 가까워진다. == 참고 == * Reclining Seat / Non-Reclining Seat * Full Flat Seat / Lie Flat Seat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02:52 Under Load (역사 | 편집) [45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Dead Load를 제외하고 남은 중량 == 개요 == 항공편의 탑승수속 승객과 Dead Load 탑재를 마감한 후 허용탑재중량에서 탑승수속 완료 승객과 Dead Load 총량을 공제한 후 남아있는 중량을 말한다. Under Load = 허용탑재중량 - (탑승수속 승객 + Dead Load 총 무게) == 참고 == * Dead Load * 탑재관리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6일 (월) 02:48 No-Fit (역사 | 편집) [60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화물 등이 실리지 않은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 == 개요 == 항공기 Compartment의 특정 위치에 화물, 수하물, 우편물 등의 Dead Load가 실리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탑재 지시서에 "N"으로 표시된다. 특정 위치에 Dead Load가 실리지 않았을 때 빈칸(Blank)으로 놔두기 보다는 "N"을 표기하여, 특정 위치에 Dead Load가 실리지 않았음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5일 (일) 23:25 Intelsat (역사 | 편집) [62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다국적 위성 서비스 제공기업 == 개요 == 1964년부터 2001년까지 국제통신위성기구로 설립되어 정부간 컨소시엄이었으나 2001년 7월 민영화됐다. 2020년 12월 Gogo의 상업항공사업(CA)을 인수해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와 Gogo 사업을 결합해 기내 엔터테인먼트 및 IFEC 사업을 본격화했다. == 기내 인터넷 == == 참고 == === 기내 인터넷 기업 === * Intelsat * PAC (파나소닉 에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4일 (토) 23:25 감비아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57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감비아(Gambia) 출입국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우리나라와 감비아는 사증면제협정 체결국이 아니므로 입국 시 사증이 필요하다. 사전에 신청한 후 현지에서 도착비자를 받는 형식이다. ===도착비자=== *감비아 초청자에게 여권 사본 및 사증 발급 신청서를 송부, 초청자가 사증 및 입국심사를 요청한다. *입국 시 입국허가서 사본을 출력,...)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4일 (토) 22:57 말리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08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말리(Mali)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 대한민국 국민 == 우리 국민이 말리에 입국하기 위해서는 사증이 필요하다. === 입국 사증 신청 === * 대한민국에는 말리대사관이 없으므로 주변국(일본 등) 재외공관을 통해 사증 발급을 신청, 승인을 받은 후 입국 가능하다. * 구비 서류 ** 여권 원본 및 사본 (잔여 유효기간 6개월 이상) ** 사진(4 x 4cm) 3장 , 6...)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4일 (토) 22:44 기니비사우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95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니비사우(Guinea-Bissau)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대한민국과 기니비사우는 사증면제협정 체결국이 아니므로 입국 시 사증이 필요하다. 인근 국가 또는 기니비사우대사관 소재 국가(중국, 세네갈, 프랑스 등)를 경유해 사증을 발급 받은 수 입국 가능하다. ===사증 신청 구비 서류=== *사증 발급 신청서 *사진 2매 *여권 원본 및 사본(잔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4일 (토) 22:29 기니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06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니(Guinea)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 대한민국 국민 == 대한민국과 기니는 사증면제협정 체결국이 아니라 입국 시 사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 비자 발급 === * 입국 전 전자비자(e-Visa) 발급 신청 * 발급 사이트: https://www.paf.gov.gn/visa * 수수료 지불 후 e-Visa 확인증 * 자동 수신된 이메일 및 수수료 결제 영수증을 기내 초청자에게 전달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4일 (토) 08:22 대한항공 175편 사고 (역사 | 편집) [2,08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1989년 김포공항 이륙 중 추락 사고 == 개요 == 1989년 11월 25일, 울산공항으로 가기 위해 김포공항에서 이륙하던 대한항공 175편 항공기(F28)가 엔진 정지와 조종사의 대처 미흡으로 추락해 1명이 사망했다. == 발생 경위 == 11월 25일 오전 7시 46분, 울산공항으로 가기 위해 김포공항에서 이륙을 시작했다. 이륙 활주 중 항공기 기체가 왼쪽으로 쏠리기 시작했고 기장(김석...) 태그: 시각 편집 처음에 "대한항공 175편 추락 사고"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5년 1월 4일 (토) 08:10 대한항공 803편 사고 (역사 | 편집) [2,74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고 | 이미지 = | 설명 = | 항공사 = 대한항공 | 편명 = KE 803 | 기종 = DC-10 | 등록번호 = HL7328 | 일자 = 1989년 7월 27일 | 위치 = 리비아 트리폴리공항 인근 | 출발지 = {{툴팁 | SEL | 서울 김포공항}}(RKSS) 대한민국 | 경유지 = {{툴팁 | BKK | 방콕 돈무앙공항}}(VTBD) 태국 {{툴팁 | JED | 제다 킹 압둘아지즈공항}}(OEJN) 사우디아라비아 | 목적지 = {{툴팁 | TIP | 트리폴리공항}}(H...) 태그: 시각 편집 처음에 "대한항공 803편 착륙 사고"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5년 1월 3일 (금) 20:27 폴란드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51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폴란드(Poland) 출입국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무사증 입국== 대한민국 국적자는 무사증 입국, 90일 체류 가능하다. ===조건=== *여권 잔여 유효기간: 체류 예정일로부터 3개월 이상 *10년 이전에 발급된 여행서류(여권 등) 불인정 *이원/귀국 항공권 ==출입국 일반== {{빈 문단}} ==세관== ===면세한도=== ===무기류/화약류=== *반입...)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3일 (금) 12:31 보잉 247 (역사 | 편집) [1,50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보잉 247 (보잉 247D)]] 미국의 초기 항공기로 현대적인 기술이 통합된 현대적인 기체 == 개요 == 미국 보잉이 개발한 1930년대 여객기, 민간 수송기다. 1933년 2월 8일, 첫 비행한 최초의 현대적인 수송 비행기로 동체 전체가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자동조종장치, 접을 수 있는 개폐식 착륙장치, 수정 안정판용 제빙장치 등의 첨단...)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3일 (금) 11:38 블레리오 11호 (역사 | 편집) [3,4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루이 블레리오가 개발한 비행기로 사상 처음으로 영국해협 횡단 == 개요 == 항공개척 시대, 프랑스 항공 개발자 루이 블레리오가 개발한 비행기로 1909년 7월 25일 영국해협을 가로질러 최초로 비행한 동력 비행기다. 항공기 개척 시대의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로 현대 비행기의 모범이라 평가된다. 많은 국가에서 군용 버전으로 구매해 1914년 1차...)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일 (목) 22:23 가봉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1,91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Gabon(가봉)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 정보 ==대한민국 국민== 대한민국 국적자는 비자가 있어야 입국할 수 있다. 전자비자(e-Visa)를 받을 수 있다. ===조건=== *전자비자 사전 획득 (인쇄해서 소지) *숙박지(호텔) 예약 혹은 스폰서 초청 레터 *16세 미만 소아는 비자 필요 없음 *귀국/이원 항공권 ==출입국 일반== {{빈 문단}} ==세관== ===면세 한도=== *담배: 400...)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