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 2025년 2월 17일 (월) 11:56 캄보디아항공 (역사 | 편집) [1,21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File:VN-A351 Airbus A321 Cambodia Angkor Air (7349077268).jpg | caption = A321 | iata = K6 | callsign = CAMBODIA AIR | icao = KHV | homepage = https://www.aircambodia.com | start = 2009년 7월 28일 | flying = 2009년 7월 28일 | end = | age = {{나이|2009|7|28}} | airplane = 5대 | pax = | cgo = | revenue = }} Air Cambodia, 캄보디아 국적 항공사 ==개요== 2009년 캄보디아 앙코르항공(Cambodia Angkor Air)으로 설립한 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7일 (월) 10:39 2025년 2월 17일 (역사 | 편집) [5,37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6일 (일) 19:33 대한항공 로고 (역사 | 편집) [99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대한항공공사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항공 로고/앰블럼 == 개요 == 1969년 한진그룹에 매각되어 설립된 대한항공의 로고/앰블럼 변천사 == 변경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6일 (일) 17:18 2025년 2월 16일 (역사 | 편집) [4,88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대한항공, 곧 신규 CI 공개 === 대한항공이 새로운 정체성을 담은 기업 이미지(CI)를 내달 공개한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발표 이후 약 4년 만에 선보이는 변화다. 이에 앞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임직원들과의 시간을 갖고 기업 가치 체계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ref>[https://m.ekn.kr/view.php?key=20250216025096491 대한항공, 내달 11일 신규 CI 공...)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5일 (토) 01:45 2025년 2월 15일 (역사 | 편집) [3,09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4일 (금) 21:09 클라이밋 임펄스 (역사 | 편집) [1,36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Climate Impulse, 액체 수소로 구동되는 비행기 == 개요 == '그린 수소' 비행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추진되는 프로젝트 비행기로 2025년 2월 발표와 함께 전세계 일부 비행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진행 사항 == * 2025년 2월 13일, 프로젝트 비행 발표 == 참고 == * 솔라 임펄스(태양광 비행기)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4일 (금) 00:20 인화정공 (역사 | 편집) [89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Inhwa Precision Co. Ltd. 대한민국 선박엔진부품 기업 == 개요 == 선박 엔진 부품 기업으로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다. == 항공산업 진출 == 2024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가 매물로 나오자 화물 항공사인 에어인천의 대주주로서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전에 뛰어들어 인수에 성공했다. {{참고 | 참고1 =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 | 참고2 = | 참고3...)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3일 (목) 23:32 2025년 2월 14일 (역사 | 편집) [4,76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눈 떄문에 지연 그런데 승무원은 날개 위 인증샷 === 13일 오전 청주공항에는 눈이 내려 항공기가 지연되는 일이 속출했다. 그런데 이스타항공 승무원들이 비상구를 열고 날개 위에서 인증샷을 찍는 일이 발생했다. 항공사 측은 이를 사실로 인정했고 추후 재발하지 않도록 교육하겠다고 밝혔다.<ref>[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5294 '눈 쌓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3일 (목) 12:04 항공안전감독관 (역사 | 편집) [2,96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 안전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전문 인력 == 개요 ==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항공사, 공항, 정비 시설 등 항공 관련 기관과 시설을 감독하고 검사하는 전문 인력이다. 1997년 대한항공 여객기 괌 추락사고 이후 정부가 ICAO(유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지적을 받아 1999년 도입한 제도다. == 내용 == 감독관은 국토교통부 소속 4급 상당...)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3일 (목) 11:07 2025년 2월 13일 (역사 | 편집) [7,02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한화에어로, 항공기 엔진 리스 사업 확장 === 지난해 항공기 엔진 리스 사업에 진출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출자 규모를 확대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14일, 자회사 한화에이에이션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225억 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앞서 두 차례에 걸쳐 각각 125억 원, 432억 원 규모의 자금을 투자한 바 있다. 총 투자 규모는 780억 원에 이르렀...)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2일 (수) 07:03 2025년 2월 12일 (역사 | 편집) [6,79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올해도 알테쉬 … 중국발 항공화물 호황 === 글로벌 이커머스 규모가 확대되면서 국내 항공업계에 화물 사업이 새로운 수익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도 중국발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쉐인)로 대변되는 온라인 쇼핑 거래가 글로벌화되면서 항공사들의 매출도 커질 전망이다.<ref>[https://www.etoday.co.kr/news/view/2444219 ‘올해도 알테쉬 특수’ 항...)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1일 (화) 12:38 진에어 무안공항 운항허가 손해배상 소송 (역사 | 편집) [4,46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무안공항 폐쇄 장기화에 따른 임시 운항허가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 == 개요 == 2024년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의 무안공항 참사 이후 무안공항에 여객기 한 대가 발 묶인 진에어가 임시 운항허가와 운항 중단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를 요구한 소송이다. == 배경 == 2024년 12월 29일 진에어 여객기가 대만 타이베이에서 출발해 오전 9시 54분 무안공항에...)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1일 (화) 10:41 2025년 2월 11일 (역사 | 편집) [4,09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0일 (월) 16:26 소방 항공기 (역사 | 편집) [41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화재 진압용 항공기 == 개요 == 산악 등 화재 진압이 어려운 지역에 투입해 소방 활동을 수행하는 항공기다. 이용되는 항공기종은 헬리콥터에서 제트 항공기까지 다양하다. air tanker, waterbomber 등으로 불리곤 한다. == 참고 == * Supertanker: B747 기종 기반의 소방 항공기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0일 (월) 03:59 2025년 2월 10일 (역사 | 편집) [4,34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대한항공 세계 최고 항공사 올라 === 에어라인레이팅스가 선정한 2025년 세계 최고 항공사에 대한항공이 선정됐다. 지난해 1위였던 카타르항공을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여행 쾌적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이코노미클래스의 승객 편안함을 최우수 항공사 선정의 결정적 이유로 꼽았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3629 대한항공, 2025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8일 (토) 22:17 2025년 2월 9일 (역사 | 편집) [3,50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8일 (토) 13:29 헝가리항공 (역사 | 편집) [81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 | img = | caption = | iata = HA | callsign = {{툴팁|BUDAPEST|HUNGARY로 변경 예정}} | icao = HUA | homepage = | start = 2021년 5월 | flying = | end = | age = {{나이|2021|5|1}} | airplane = | pax = | cgo = | revenue = }} Hungary Airlines, 헝가리항공 == 개요 == 2021년 설립된 헝가리 항공사로 화물을 주력 사업으로 항공운송사업을 시작했다. == 연혁 == * 2021년 5월, Universal Translink Airline Hungary(UTA) 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8일 (토) 08:51 SkyBreathe (역사 | 편집) [1,04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연료 최적화 플랫폼 == 개요 == OpenAirines의 항공연료 최적화 플랫폼으로 매 운항편 당 2천 개 이상의 인디케이터(비행 데이터)를 분석하는 솔루션으로 매일 1만2천 편 이상의 항공편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연료 효율성 데이터베이스다. 연료 소비 절감을 통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 65개 이상 항공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8일 (토) 07:31 2025년 2월 8일 (역사 | 편집) [7,02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항공업계, 항공기 부품 관세 면제 연장 요구 === 국내 항공업계가 항공기 부품에 관세를 면제하는 관세법 특례 조항 일몰을 앞두고 국회를 찾아 이를 연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항공기 부품 관세 감면 혜택이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져 2029년에는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ref>[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70166642068224&mediaCodeNo=257 항공업계 "항...)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9:59 2025년 3월 15일 (역사 | 편집) [9,17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유나이티드항공, 미국 항공사 처음 텔아비브 운항 재개 === 2025년 1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 이후 글로벌 항공사들이 이스라엘 텔아비브 운항을 재개하기 시작했다. 유나이티드항공이 미국 항공사로서는 처음으로 2025년 3월 15일 미국 본토-텔아비브 운항을 재개한다.[17]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30 2025년 2월 4일 (역사 | 편집) [436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항공 피해구제 현황 공개 의무 법률개정안 발의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의원(민주당)은 항공사가 여객기 탑승객이 제기한 이용 피해 신고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하는 항공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참고 | 참고1 = 피해구제신청 | 참고2 = 피해구제절차 | 참고3 =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14 2025년 1월 23일 (역사 | 편집) [48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유나이티드항공, 기내 압력 손실 비상착륙 === 나이지리아를 출발했던 유나이티드항공 여객기가 이륙 직후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다시 출발지인 라고스로 되돌아와 비상착륙했다. 6명이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2640 유나이티드, "기내 압력 손실" 비상 착륙 … 6명 심각한 부상(2025.1.25)]</ref>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12 2025년 1월 25일 (역사 | 편집) [68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치앙마이서 이륙 중단, 대체편 투입 === 태국 치앙마이에서 출발하려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운항이 기체 결함으로 취소됐다. 치앙마이공항에서 25일 새벽 0시 25분(현지시각) 출발하던 아시아나항공 766편 항공기(A330)가 활주로에서 이륙을 위해 활주를 시작하는 도중 엔진에 이상이 감지되면서 이륙을 중...)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10 2025년 1월 27일 (역사 | 편집) [52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대한항공 A350 국제선 운항 시작 === 대한항공 신형 항공기 A350 기종이 27일부터 국제선에 본격 투입된다. 에어버스 최신 중대형 기재인 A350-900 항공기를 27일부터 1호기(HL8598)는 인천-간사이 노선, 2호기(HL8597)는 인천-후쿠오카 노선에서 첫 국제선 운항을 시작한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2741 대한항공 A350, 27일부터 국제선 운항 시작(20...)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08 2025년 1월 28일 (역사 | 편집) [63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에어부산 여객기 이륙 준비 중 화재 === 1월 28일 밤 10시 경, 김해공항발 홍콩행 에어부산 391편 항공기(A321-200)가 출발을 위한 푸시백(Pushback) 직전 화재가 발생해 항공기 동체 상단 부분이 모두 소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승객과 승무원은 모두 무사히 탈출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2818 에어부산 김해공항 이륙 준비 중 화재 … 모...)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8:03 2025년 1월 29일 (역사 | 편집) [81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아메리칸항공 여객기, 헬기와 충돌 전원 사망 === 29일 오후 9시 경 미국 워싱턴 공항 인근에서 여객기와 군용 헬기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위치타 아이젠하워 내셔널 공항(ICT)을 출발해 워싱턴 로널드 레이건 내셔널 공항(DCA)에 접근 중이던 아메리칸항공 5342편 항공기가 포토맥강 상공 400피트에서 군용 헬기 블랙호크와 충돌해 강으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7:58 2025년 1월 31일 (역사 | 편집) [65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에어앰뷸런스 추락 사고 … 7명 사망 === 31일 오후 6시경 미국 미주리주 스프링필드-브랜슨공항으로 가기 위해 필라델피아에서 이륙 중이던 Jet Rescue Air Ambulance 소속 항공기(Learjet 55)가 불과 30여 초만에 주택가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6명과 지상에 있던 1명 등 총 7명이 사망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713134 에어앰뷸런스 추락 사고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7:56 2025년 2월 1일 (역사 | 편집) [1,10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일본 오사카공항 영문 명칭 변경 … 이타미공항 === 일본 오사카 지역을 배후로 하는 공항 중 하나인 '오사카국제공항(Osaka International Airport)' 영문 명칭이 '오사카 이타미공항(Osaka Itami Airport)'으로 변경됐다. 외국인 방문객들에게 간사이국제공항과 혼선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ref>[https://airtravelinfo.kr/apoinfo/1713192 "오사카국제공항"...)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7:52 2025년 2월 3일 (역사 | 편집) [1,21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제주항공 항공편 더 줄인다 === 제주항공은 4월부터 시작되는 하계시즌에도 제주항공은 일본 노선을 중심으로 항공편을 감축할 예정이다. 일본 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국제선 및 국내선이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는 주 33회에서 주 14회로, 오사카는 21회에서 14회, 후쿠오카도 28회에서 14회로 각각 감축한다. 무안공항 참사 이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17:49 2025년 2월 2일 (역사 | 편집) [1,10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유나이티드항공 이륙 준비 중 엔진 화재 === 2025년 2월 2일, 오전 8시 30분경 휴스턴 조지부시공항에서 출발해 뉴욕으로 향할 예정이던 유나이티드항공 1382편 항공기(A319)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활주로로 이동하던 중 오른쪽 날개 아래에서 붉은 화염과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승객과 승무원 109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2월 7일 (금) 15:58 2025년 2월 5일 (역사 | 편집) [4,33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승객이 또 비상구 조작, 문 열려=== 2025년 2월 5일, 제주발 김포행 대한항공 1326편 여객기가 출발 전 승무원이 비상구 안내 도중 30대 남성 승객이 비상구 패널을 건드려 열림 현상이 발생했다. 해당 승객은 경찰에 인계되었고 항공기는 후속 조치 및 제설 작업으로 1시간 30분가량 지연 출발했다.<ref>[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68...)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2월 7일 (금) 10:53 운항기술공시 (역사 | 편집) [34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운항기술기준을 근거로 항공사가 운영하는 규정 == 개요 == 국토교통부의 운항기술기준을 근거로 항공사가 마련해 운영하는 규정으로 항공종사자가 준수해야 하는 최소한의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7일 (금) 09:38 2025년 2월 7일 (역사 | 편집) [8,48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에어프레미아 지연 사태 해결 안돼 === 하이브리드 항공사를 표명하고 출범한 에어프레미아의 항공편 출도착 지연 사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2025년 1월 한 달 동안 정시 도착한 항공편은 4~5편에 불과하다.<ref>[https://sundayjournalusa.com/2025/02/06/%EB%82%A0%EC%9D%B4-%EA%B0%88%EC%88%98%EB%A1%9D-%EB%8D%94-%EC%8B%AC%ED%95%B4%EC%A7%80%EB%8A%94-%EC%97%90%EC%96%B4%ED%94%84%EB%A0%88%EB%AF%B8%...)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6일 (목) 20:33 2025년 2월 6일 (역사 | 편집) [9,507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소식}} === 대한항공 비상구 조작 사건 === 2025년 2월 5일, 제주발 김포행 대한항공 1326편 여객기가 출발 전 승무원이 비상구 안내 도중 30대 남성 승객이 비상구 패널을 건드려 열림 현상이 발생했다. 해당 승객은 경찰에 인계되었고 항공기는 후속 조치 및 제설 작업으로 1시간 30분가량 지연 출발했다.<ref>[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688577...)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5일 (수) 10:38 제휴 마일리지 (역사 | 편집) [91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 서비스 외 지불한 비용을 통해 적립하는 마일리지 == 개요 == 일반적으로 항공 마일리지는 항공기 탑승, 서비스 이용 등에서 발생한 비행거리, 운임 등에 따라 적립되지만, 항공 서비스 외에도 신용카드 등 제휴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마일리지를 적립받는 경우가 있다. 통상 제휴 서비스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로 적립된다. == 현황 == === 신용카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3일 (월) 11:22 한국형 항공엔진 개발 (역사 | 편집) [1,08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한국형 항공기 엔진 개발 == 개요 == 본격적인 초음속 전투기 KF-21 개발에 있어 상당한 부분이 국산화를 이루었지만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은 여전히 미국산 엔진을 사용했다. 이에 장기적으로 국산 엔진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2023년부터 본격적인 개발 움직임이 나타났다. == 진행 사항 == * 2023년, 국방과학연수소(ADD) 주관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일 (토) 12:15 필라델피아 에어앰뷸런스 추락 사고 (역사 | 편집) [2,59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고 | 이미지 = | 설명 = | 사고유형 = 이륙 실패(추락) | 항공사 = Jet Rescue Air Ambulance | 편명 = MTS056 | 기종 = Learjet 55 | 등록번호 = XA-UCI | 일자 = 2025년 1월 31일 | 위치 = 필라델피아 북동 공항 인근 | 출발지 = {{툴팁|PNE|필라델피아 북동 공항}}(KPNE), 미국 | 경유지 = | 목적지 = {{툴팁|SGF|스프링필드 브랜슨 국립공항}}(KSGF), 미국 | 탑승자 = 6명(조종사 2/승객 4) | 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2월 1일 (토) 08:14 배터리 화재 사고 (역사 | 편집) [4,26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 교통 이용 시 발생한 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 ==개요== 배터리는 외부 충격이나 압착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특히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 위험성이 있어 항공기 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통상 160Wh 이내 보조 배터리만 기내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기내에서도 종종 화재...)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31일 (금) 10:24 배터리 항공운송 기준 (역사 | 편집) [4,380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교통에서 배터리 운송/수송 기준 ==개요== 배터리는 특성 상 전기 반응, 화재 등을 일으킬 수 있어 항공교통에서는 수송과 운송에 까다로운 규정과 기준이 적용된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취약해 발화 가능성이 적지 않은 편이라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 ==규정== ===대한민국===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보조 배터리 용량에...)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30일 (목) 16:11 Mid-air Collision (역사 | 편집) [679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중충돌 사고 == 설명 == 두 개 이상의 비행체가 비행 중에 충돌하는 사고 유형이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30일 (목) 14:58 아메리칸항공 5342편 사고 (역사 | 편집) [6,548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5년 1월 29일 발생한 미국 워싱턴 공항 인근 추락 사고 == 개요 == 위치타에서 출발한 아메리칸항공 5342편 항공기가 워싱턴 공항 접근 중 포토맥강 상공에서 군용 헬기와 충돌해 강으로 추락했다. == 발생 경위 == 2025년 1월 29일 오후 위치타공항(ICT)을 출발한 아메리칸항공 5342편(실제 운항은 PSA항공) 항공기(CRJ-701ER)가 워싱턴 로널드 레이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9일 (수) 21:33 대한항공/항공기 (역사 | 편집) [5,96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대한항공 보유 항공기 == 보유 항공기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4년 12월 기준 |- !기종!!보유!!주문!!비고 |- |A220-300||10||-|| |- |A321neo||14||36||옵션 20대 별도<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4887 대한항공도 A321neo 30대 구매 계약 체결]</ref>, 2022년 10월 27일 첫 기체 도입<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3199 대한항공 첫 A321neo 항공기 도착 … 12월 국...)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9일 (수) 07:45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역사 | 편집) [8,175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공사고 | 이미지 = | 설명 = | 항공사 = 에어부산 | 편명 = 391편 | 기종 = A321-200 | 등록번호 = | 일자 = 2025년 1월 28일 22시 15분 | 위치 = 김해공항 | 출발지 = {{툴팁|PUS|부산 김해공항}} | 경유지 = | 목적지 = {{툴팁|HKG|홍콩 첵랍콕공항}} | 탑승자 = 176명(승무원 7/승객 169) | 사망자 = 없음 | 사고원인 = 기내 화재(추정) }} 2025년 1월,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5일 (토) 22:37 하네다국제공항 (역사 | 편집) [2,231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공항 | img = File:Haneda airport aerial photograph 202407.jpg | caption = | iata = HND | icao = RJTT | open = 1931년 8월 15일 | location = 도쿄 | asl = 6m / 21ft | rwy1 = 16R/34L | rwy_len1 = 3,000m | rwy_remarks1 = | rwy2 = 16L/34R | rwy_len2 = 3,360m | rwy3 = 04/22 | rwy_len3 = 2,500m | rwy4 = 05/23 | rwy_len4 = 2,500m | pax = 78,719,302명(2023년) | freight = | flight = | homepage = }} 하네다국제공항(Haneda International Airport), 일본 도쿄 배...)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5일 (토) 21:52 나리타국제공항 (역사 | 편집) [2,13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나리타국제공항(Narita International Airport), 일본 도쿄 배후 공항 중 하나 == 개요 == 일본 도쿄를 배후로 지원하는 공항으로 치바현 나리타시에 위치해 도쿄 도심에서 약 60km 떨어져 있다. 하네다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이관 받아 1978년 5월 20일 개항했다. == 연혁 == * 1966년, 착공 * 1977년, 제1기 공사 완료 * 1978년 5월 20일, 신도쿄국제공항 개항 * 2004년 4월 1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5일 (토) 15:32 레바논 출입국 정보 (역사 | 편집) [2,01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레바논(Lebanon) 출입국 관련 규정, 기준 및 여행정보 == 대한민국 국민 == 우리 국민은 레바논 입국 시 비자가 필요하다. 베이루트 도착 시 최대 1개월 체류 가능한 도착비자 발급 받을 수 있다. === 조건 === * 레바논 내 체류지 정보(전화번호 포함) * 잔여 여권 유효기간, 최소 1개월 == 출입국 일반 == === 주의 사항 === * 여권 내 이스라엘 비자, 입국 스탬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5일 (토) 09:48 일본항공 조종사 음주 사건 (역사 | 편집) [4,233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본항공(JAL) 조종사 음주로 인한 운항 차질 사건 == 개요 == 항공안전 상 비행 전 조종사 음주는 엄격히 금지되고 있으나 일본항공에서 여러 번 조종사 음주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사례 == === 2016년 === 2016년 6월 27일, 일본 가나자와에서 일본항공 부기장이 기장을 폭행하고 이를 조사하던 경찰마저 폭...)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5일 (토) 08:10 티웨이항공 에어프레미아 통합 (역사 | 편집) [86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국내 항공사 통합 움직임(2025년) == 개요 == 2025년 1월,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경영 참여를 선언하면서 향후 에어프레미아와의 통합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배경 == 2024년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지분 26.77%를 인수했으며 에어프레미아 지분도 22%(2025년 6월 매입 콜옵션 포함)를 사들이며 각각 2대주주 지위에 올랐다. 2025년 티웨이항공 경영 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4일 (금) 21:36 소시어스 (역사 | 편집) [1,382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기업 | 명칭 = 소시어스 | 영문 = Socius | 설립 = 2004년 10월 | 사업분야 = 사모펀드 운영 | 대표 = 이병국 | 상장 = | 모기업 = | 자회사 = | 본사 = 서울 | 매출 = | 웹사이트 = | 비고 = }} 소시어스(Socius), 한국계 사모투자회사 == 개요 == 2004년 설립된 사모펀드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사모투자펀드는 기업의 경영권 참여, 사업구조 개선 등의 목적이나 주식, 채권, 부동산...)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월 23일 (목) 23:47 운항정비 (역사 | 편집) [334 바이트] Sayme (토론 | 기여) (새 문서: 운항 중인 항공기에 대한 정비 == 개요 == 정기 혹은 비정기 스케줄로 운항하고 있는 항공기에 대한 정비를 말한다. 스케줄에서 제외하고 실시하는 입고정비와 상대되는 개념이다. {{각주}}) 태그: 시각 편집